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5
1.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5
1.1.1. 연구의 배경 15
1.1.2. 연구의 목적 19
1.2. 연구의 방법과 범위 21
1.2.1. 연구의 방법과 내용 21
1.2.2. 연구의 대상과 범위 25
1.2.3. 용어와 개념의 정의 26
제2장 '대조비평'의 구도 32
2.1. '영향에 대한 불안'과 독창성 문제 32
2.1.1. '영향에 대한 불안'과 독창성 32
2.1.2. 대조비평의 이론적 배경 36
2.2. 대조비평의 구도 54
2.2.1. 오독의 지도 54
2.2.2. 수정주의 변증법의 구조 56
2.2.3. 여섯 가지 '수정비율' 66
2.3. 대조비평의 건축이론화 84
2.3.1. 문학비평의 적용 사례 84
2.3.2. 대조비평의 건축이론화 방안 87
제3장 건축가의 사승관계와 독창성 문제 90
3.1. 사승관계로 본 르 꼬르뷔제와 김중업 건축 90
3.1.1. 선정의 단계 92
3.1.2. 유아주의의 단계 114
3.1.3. 정체화의 단계 125
3.1.4. 김중업의 정체성 144
3.2. 김수근의 건축의 복합적 사승관계 147
3.2.1. 김수근 건축의 복합적 사승관계 147
3.2.2. 김수근 건축의 대조비평 152
3.2.3. 김수근의 정체성 188
3.3. 이후 세대의 사승관계와 행보 191
3.3.1. 선배작가 김중업과 김수근 191
3.3.2. 김중업과 김석철 193
3.3.3. 김수근과 승효상 203
3.3.4. 이후 세대의 사승관계와 행보 224
제4장 결론 233
4.1. 건축가의 사승관계와 독창성의 문제 233
4.2. 한계와 전망 238
참고문헌 243
Abstract 256
후기 259
그림3-1-1. Le corbusier 90
그림3-1-2. 김중업 90
그림3-1-3. 김중업, 밀바의 집 계획안, 1954 - 배치도 94
그림3-1-4. 김중업, 밀바의 집 계획안, 1954 - 모형 94
그림3-1-5. 김중업, 서울신문 기고문의 일부, 1954 -1 95
그림3-1-6. 김중업, 필그림홀 계획안, 1956 - 스케치 96
그림3-1-7. 김중업, 필그림홀 계획안, 1956 - 모형 96
그림3-1-8. 르 꼬르뷔제, 롱샹성당, 1950 - 서측입면 97
그림3-1-9. 르 꼬르뷔제, 라 뚜레뜨 수도원의 빵 드 베르, 1957 97
그림3-1-10. 김중업, 필그림홀, 1956 - 1층 투시도 98
그림3-1-11. 르 꼬르뷔제, 빌라 사보아, 1929 - 1층 부분 98
그림3-1-12. 김중업, 서울신문 기고문, 1954 - 2 99
그림3-1-13. 김중업, 경주국립박물관 계획안, 1956 - 모형 99
그림3-1-14. 김중업, 명보극장, 1956 - 평면도 100
그림3-1-15. 김중업, 명보극장, 1956 - 정면도 100
그림3-1-16. 르 꼬르뷔제, 오장팡 주택, 1922 100
그림3-1-17. 김중업, 부산대학교 본관, 1956 101
그림3-1-18. 김중업, 부산대학교 본관, 1956 - 스케치 101
그림3-1-19. 르 꼬르뷔제, 샹디갈 행정청사, 1951-1958 101
그림3-1-20. 르 꼬르뷔제, 샹디갈 행정청사, 1951 - 입면 부분 102
그림3-1-21. 김중업, 인천지방해무청사, 1957 - 투시도 102
그림3-1-22. 김중업, 건국대학교 도서관(1956) - 입면 부분 102
그림3-1-23. 김중업, 부산대학교 본관, 1956 - 1층 평면도와 입면도 102
그림3-1-24. 르 꼬르뷔제, 롱샹성당, 1950 - 광창 103
그림3-1-25. 김중업, 부산대학교 본관, 1956 - 광창 103
그림3-1-26. 김중업, 부산대학교 구정문, 1956 103
그림3-1-27. 에로 사리넨, 세인트루이스 게이트웨이 아치, 1947 104
그림3-1-28. 르 꼬르뷔제, 소비에트궁 계획안, 1931 104
그림3-1-29. 김중업, 서강대학교 본관, 1958 106
그림3-1-30. 르 꼬르뷔제, 섬유산업클럽, 1954 107
그림3-1-31. 서강대학교 본관, 1958 - 후면의 열주들 107
그림3-1-32. 김중업, 서강대학교 본관, 1958 - 입면의 브레이즈 솔레이유 107
그림3-1-33. 르 꼬르뷔제, 파리 대학생촌의 스위스관, 1930 - 평면도 108
그림3-1-34. 르 꼬르뷔제, 도미노 시스템, 1914 108
그림3-1-35. 김중업, 서강 대학교 본관, 1958 - 외부계단 108
그림3-1-36. 르 꼬르뷔제, 마르세이유 유니떼 다비따시옹, 1946 - 캐노피와 외부계단 108
그림3-1-37. 김중업, 주한프랑스대사관, 1959 - 대사관저와 집무실 109
그림3-1-38. 불국사 범영루와 석축 110
그림3-1-39. 김중업, 주한프랑스대사관, 1959 - 배치도 111
그림3-1-40. 김중업, 주한프랑스대사관, 1959 - 평면도 112
그림3-1-41. 르 꼬르뷔제, 샹디갈의 주지사관저, 1953 - 평면도 112
그림3-1-42. 르 꼬르뷔제, 샹디갈의 주지사관저, 1953 - 모형 112
그림3-1-43. 김중업, 주한프랑스대사관, 1959 - '+'자형 기둥 112
그림3-1-44. 김중업, '인'자의 집, 1958 - 입면도 113
그림3-1-45. 가우디, 카사 바틀로, 1904 113
그림3-1-46. 김중업, 유유산업공장, 1959 115
그림3-1-47. 김중업, 고려인삼공장, 1960 115
그림3-1-48. 김중업, 청평산장, 1962 116
그림3-1-49. 김중업, 청평산장, 1962 - 평면도 116
그림3-1-50. 김중업의 스케치, 1955 117
그림3-1-51. 라이트, 하퍼 주택, 1950 118
그림3-1-52. 라이트, 에이델먼 주택, 1952 118
그림3-1-53. 르 꼬르뷔제, 시트로앙 주택, 1922 - 모형 118
그림3-1-54. 창덕궁 애련정의 난간 118
그림3-1-55. 김중업, 부산 유엔묘지 채플, 1963 120
그림3-1-56. 김중업, 뉴욕박람회 한국관, 1963 - 모형 120
그림3-1-57. 김중업, 뉴욕박람회 한국관, 1963 - 단면도 121
그림3-1-58. 김중업, 뉴욕박람회 한국관, 1963 - 1층 평면도 121
그림3-1-59. 김중업, 뉴욕박람회 한국관, 1963 - 2층 평면도 121
그림3-1-60. 알바 알토의 유기적 디자인 122
그림3-1-61. 알바 알토, 핀란드관, 1939 122
그림3-1-62. 르 꼬르뷔제, 섬유산업클럽, 1946 122
그림3-1-63. 김중업, 설씨주택, 1963 - 모형 123
그림3-1-64. 김중업, 설씨주택, 1963 - 스케치 123
그림3-1-65. 김중업, 행촌병원, 1964 - 모형 124
그림3-1-66. 르 꼬르뷔제, 가르슈 주택, 1927 124
그림3-1-67. 김중업, 제주대학교 본관, 1964 - 모형 127
그림3-1-68. 김중업, 제주대학교 본관, 1964 - 지상 1층, 2층, 3층 평면도 127
그림3-1-69. 김중업, 제주대학교 본관, 1964 - 캐노피와 연못 128
그림3-1-70. 김중업, 제주대학교 본관, 1964 - 옥상 부분 128
그림3-1-71. 김중업, 서산부인과 병원, 1964 - 평면도 128
그림3-1-72. 르 꼬르뷔제, 롱샹성당, 1950 - 평면도 129
그림3-1-73. 김중업, 서산부인과 병원, 1964 - 모형 130
그림3-1-74. 김중업, 서산부인과 병원, 1964 - 입면도 130
그림3-1-75. 김중업의 서산부인과 병원(1964), 가우디의 카사밀라(1905), 불국사 석가탑의 상륜부 132
그림3-1-76. 르 꼬르뷔제, 마르세이유 유니떼 다비따시옹, 1946 - 옥상정원 132
그림3-1-77. 김중업, 부산 유엔묘지 정문, 1966 133
그림3-1-78. 김중업, 유엔묘지 정문, 1966 - 천창 부분 133
그림3-1-79. 김중업, 유엔묘지 정문, 1966 - 물받이 134
그림3-1-80. 불국사의 석축의 물받이 134
그림3-1-81. 르 꼬르뷔제, 롱샹성당, 1950 물받이 134
그림3-1-82. 김중업, 주한 이탈리아 대사관, 1966 135
그림3-1-83. 김중업, 진해해군공관, 1968 -지붕 부분 135
그림3-1-84. 김중업, 삼일로빌딩, 1969 136
그림3-1-85. 김중업, 니제 도자기공장, 1970 - 모형 137
그림3-1-86. 김중업, 외환은행본점 계획안, 1973 - 스케치 137
그림3-1-87. 김중업, 이븐 올루아 스포츠 호텔 계획안, 1978 - 평면도 138
그림3-1-88. 김중업, 이븐 올루아 스포츠호텔 - 입면도 138
그림3-1-89. 가우디, 성가족성당, 1882 138
그림3-1-90. 김중업, 민족대성전 계획안, 1979 - 스케치와 모형 139
그림3-1-91. 김중업, 바다호텔 계획안, 1979 - 투상도 139
그림3-1-92. 김중업, 부산시 충혼탑, 1980 140
그림3-1-93. 김중업, 육군박물관, 1981 - 평면도 141
그림3-1-94. 김중업, 육군박물관, 1981 - 외부 전경 142
그림3-1-95. 김중업, 육군박물관, 1981 - 내부 중정 142
그림3-1-96. 김중업, 예술의 전당 설계안, 1984 143
그림3-1-97. 김중업, 올림픽 평화의 문, 1983 143
그림3-2-1. 김수근 147
그림3-2-2. 요시무라 준죠와 단게 겐죠 148
그림3-2-3. 북촌 한옥군의 지붕 149
그림3-2-4. 요시무라 준죠, 카루이자와의 산장, 1962 150
그림3-2-5. 단게 겐죠, 카가와현청사(1955)와 동경만계획(1960) 151
그림3-2-6. 김수근, 국회의사당 현상설계안, 1959 154
그림3-2-7. 김수근, 국회의사당 현상설계, 1959 - 스케치 154
그림3-2-8. 현재의 국회의사당 155
그림3-2-9. 단게 겐죠, 카가와현청사, 1955 155
그림3-2-10. 르 꼬르뷔제, 유니떼 다비따시옹, 1947 155
그림3-2-11. 김수근, 워커힐 힐탑바, 1961 156
그림3-2-12. 김수근, 자유센터, 1963 - 입면도 157
그림3-2-13. 김수근, 자유센터, 1963 - 전면과 후면의 조형 157
그림3-2-14. 김수근의 스케치 158
그림3-2-15. 김수근, 자유센터, 1963 - 내부 공간 158
그림3-2-16. 김수근, 자유센터, 1963 - 평면도 158
그림3-2-17. 김수근, 부여박물관, 1965 - 외관 및 평면도 160
그림3-2-18. 김수근, 부여박물관, 1965 - 지붕 부분과 입구의 조형 161
그림3-2-19. 이세신궁 161
그림3-2-20. 카마쿠라(겸창) 엔카구지(대본사)의 도리이, 1282 161
그림3-2-21. 김수근, 부여호텔, 1965 162
그림3-2-22. 김수근, 문화방송사옥, 1966 164
그림3-2-23. 김수근, KIST본관, 1966 164
그림3-2-24. 김수근, KIST본관, 1966 - 평면도 165
그림3-2-25. 김수근, 헤피홀, 1966 - 평면도 165
그림3-2-26. 김수근, 헤피홀, 1966 165
그림3-2-27. 김수근, 구인회씨 댁, 1966 165
그림3-2-28. 김수근, 몬트리올박람회 한국관, 1968 166
그림3-2-29. 김수근, 오사카박람회 한국관, 1970 166
그림3-2-30. 김수근, 오사카박람회 한국관, 1970, 평면도 166
그림3-2-31. 김수근의 여의도계획 (1967)과 단게 겐죠의 동경만계획 (1960) 167
그림3-2-32. 김수근, 퐁피두센터 현상설계안, 1971 168
그림3-2-33. 김수근, 퐁피두센터 현상설계안, 1971 - 초기 스터디 모형 169
그림3-2-34. 김수근, 내장산국립공원 개발계획, 타누 신정부청사 현상설계, 탄지에만 휴게소 현상설계, 1972 170
그림3-2-35. 김수근, 공간사옥, 1971 - 구관과 신관 170
그림3-2-36. 김원석이 그린 공간사옥의 공간구성 개념도 171
그림3-2-37. 공간사옥 내부의 공간구성 171
그림3-2-38. 김수근, 공간사옥, 1971 - 단면도 172
그림3-2-39. 공간사옥과 창덕궁 연경당의 평면 비교 172
그림3-2-40. 공간사옥 내 김수근의 방 173
그림3-2-41. 김수근, 창암장, 1974 - 평면도 174
그림3-2-42. 김수근, 창암장, 1974 - 전경 174
그림3-2-43. 김수근, 창암장, 1974 - 스케치 175
그림3-2-44. 라이트, 낙수장, 1935 175
그림3-2-45. 김수근, 세이장, 1973 - 스케치 175
그림3-2-46. 요시무라 준죠, 카루이자와의 산장, 1962 175
그림3-2-47. 김수근, 서울대학교 예술대학, 1973 - 모형과 투상도 177
그림3-2-48. 김수근, 문예회관 전시관 및 공연장, 1977 178
그림3-2-49. 김수근, 주인도 한국대사관, 1977 - 평면도 178
그림3-2-50. 김수근, 주인도 한국대사관, 1977 178
그림3-2-51. 김수근, 올림픽주경기장, 1977 178
그림3-2-52. 김수근, 마산성당, 1977 - 전경과 투상도 180
그림3-2-53. 김수근, 마산성당, 1977 - 당초 평면안의 스케치 180
그림3-2-54. 김수근, 마산성당, 1977 - 좌로부터 새로운 안을 만들기 위한 평면 스케치, 김수근이 직접 그린 새로운 안의 평면 스케치, 최종계획안 평면도 181
그림3-2-55. 김수근, 마산성당, 1977 - 평면도 181
그림3-2-56. 김수근, 마산성당, 1977 - 입면도 182
그림3-2-57. 김수근, 마산성당, 1977 - 내부 공간 182
그림3-2-58. 고트프리트 뵘, 순례자교회, 1964 182
그림3-2-59. 김수근, 우촌장, 1970 183
그림3-2-60. 김수근, 청주박물관, 1979 183
그림3-2-61. 김수근, 청주박물관, 1979 - 스케치 184
그림3-2-62. 김수근, 진주박물관, 1980 - 전경, 스케치와 평면도 184
그림3-2-63. 김수근, 진주박물관, 1980 - 단면도 184
그림3-2-64. 김수근, 경동교회, 1980 - 전경과 내부공간 185
그림3-2-65. 김수근, 경동교회, 1980 - 옥상 예배공간과 스케치 186
그림3-2-66. 김수근, 경동교회, 1980 - 투상도와 평면도 186
그림3-2-67. 김수근, 구미문화회관, 1983 - 외관과 평면도, 스케치 187
그림3-2-68. 김수근, 벽산 125, 1985 - 전경과 평면도 187
그림3-3-1. 김중업과 김수근 말년의 스케치(1978, 1985) 191
그림3-3-2. 김석철, 벽돌집과 콘크리트집, 1967 194
그림3-3-3. 김석철, 금속집과 케미컬 하우스, 1967 194
그림3-3-4. 김석철, 김포공항, 1968 195
그림3-3-5. 유걸, 비행장계획안, 1965 195
그림3-3-6. 김석철, 조선호텔, 1968 195
그림3-3-7. 김석철, 언덕위의 집, 1968 195
그림3-3-8. 김수근, 김포공항 종합계획, 1968 - 모형 195
그림3-3-9. 김석철, 미음자의 집, 1968 196
그림3-3-10. 김석철, 플라자 하우스, 1968 196
그림3-3-11. 김석철, 썸머 하우스, 1968 196
그림3-3-12. 김석철, 과학기술정보센터, 1968 196
그림3-3-13. 김석철, 월 스트릿 하우스 I, II, 1969 196
그림3-3-14. 김석철, 허씨 주택, 1972 197
그림3-3-15. 김석철, 박씨 주택, 1974 197
그림3-3-16. 김석철, 문씨 주택, 1975 197
그림3-3-17. 백씨 주택, 1976 197
그림3-3-18.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로비하우스, 1910 197
그림3-3-19. 김석철, U 아틀리에, 1983 198
그림3-3-20. 김석철, 예술의 전당, 1984-93 - 변경안 배치도와 모형 198
그림3-3-21. 김석철, 예술의 전당, 1984-93 - 오페라하우스 스케치 199
그림3-3-22. 김석철, 예술의전당, 1984-93 - 전경과 오페라하우스 내부 공간 199
그림3-3-23. 김석철, 나라 컨벤션홀 국제설계경기안, 1992 200
그림3-3-24. 김석철, 한샘타워, 1993 200
그림3-3-25. U.C. 종합복지관 설계경기안, 1993 200
그림3-3-26. 김석철, 조선호텔(1968)과 한샘타워 3차안(1994) 200
그림3-3-27. 김석철, 조인자패션빌딩, 1991 201
그림3-3-28. 김석철, 제주영화박물관, 1993 - 전경과 단면도 202
그림3-3-29. 김석철, 제주영화박물관, 1993 - 초기스케치와 1, 2층 평면도 202
그림3-3-30. 김수근 문하에서 승효상이 진행한 프로젝트들 - 마산성당(1977), 경동교회(1980), 구미문화회관(1983) 205
그림3-3-31. 승효상, 눌원빌딩, 1887 205
그림3-3-32. 승효상, 영동제일병원, 1992 206
그림3-3-33. 승효상, 영동제일병원, 1992 - 1층 평면도 206
그림3-3-34. 승효상, 이문 291, 1992 207
그림3-3-35. 승효상, 이문 291, 1992 - 투상도 207
그림3-3-36. 승효상, 학동 수졸당, 1992 208
그림3-3-37. 승효상, 문화공간종합예술관, 1993 209
그림3-3-38. 승효상, 문화공간종합예술관, 1993 - 스케치 209
그림3-3-39. 승효상, 당진 돌마루공소, 1994 209
그림3-3-40. 승효상, 당진 돌마루공소, 1994 - 내부공간과 투상도 210
그림3-3-41. 승효상, 경주 율동법당, 1995 210
그림3-3-42. 안도 다다오, 빛의 교회, 1989 210
그림3-3-43. 김승익, 오름2, 1996 210
그림3-3-44. 조성룡, 양재 287-3, 1994 210
그림3-3-45. 승효상, 중곡동성당, 1996 211
그림3-3-46. 승효상, 신동방사옥, 1996 211
그림3-3-47. 승효상, 미즈메디병원, 1996 211
그림3-3-48. 승효상, 수백당, 1998 211
그림3-3-49. 승효상, 파주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마스터플랜, 1999 - 모형 212
그림3-3-50. 승효상, 포천중문의대 도서관, 1999 212
그림3-3-51. 승효상, 대전대 복지문화관, 2000 212
그림3-3-52. 승효상, 박영사 사옥, 2000 212
그림3-3-53. 승효상, 웰콤시티, 2000 213
그림3-3-54. 승효상, 웰콤시티, 2000 214
그림3-3-55. 승효상, 중국 만리장성 클럽하우스, 2001 215
그림3-3-56. 승효상, 동광감리교회, 2001 215
그림3-3-57. 승효상, 김포 나리병원, 2001 215
그림3-3-58. 승효상, 최가철물 쇳대박물관, 2002 215
그림3-3-59. 승효상, 분당 휴멕스빌리지, 2002 216
그림3-3-60. 승효상, 북경 M시티 마스터플랜, 2003 216
그림3-3-61. 승효상, 중국 차오웨이 소호 상업업무시설, 2004 216
그림3-3-62. 승효상, 책 테마파크, 2004 217
그림3-3-63. 승효상, 아름다운 가게 파주 헌책방, 2004 217
그림3-3-64. 승효상, 메타폴리스, 2004 217
그림3-3-65. 곽재환, 건축찬가 1, 2 224
그림3-3-66. 곽재환, 고요한 비례, 눈의 집2 224
그림3-3-67. 곽재환, DG빌딩, 1995 225
그림3-3-68. 곽재환, 은평구립도서관, 1997 225
그림3-3-69. 장세양, 국립대구박물관, 1989 226
그림3-3-70. 장세양, 경기도립박물관, 1991 226
그림3-3-71. 장세양, 국립김해박물관, 1991 226
그림3-3-72. 김수근의 공간사옥(1971)과 장세양의 공간사옥 신관(1995) 227
그림3-3-73. 김수근, 한계령휴게소, 1979 228
그림3-3-74. 류춘수, 삼하리주택, 1986 228
그림3-3-75. 류춘수, 강촌휴게소, 1990 228
그림3-3-76. 류춘수, 서울 월드컵경기장, 1998 228
그림3-3-77. 이종호, 바른손센터, 1993 229
그림3-3-78. 이종호, 홍천휴게소, 1994 229
그림3-3-79. 이종호, 명지대 방목기념관, 1999 229
그림3-3-80. 이종호, 박수근미술관, 2003 - 드러나는 오브제 22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