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 개요 6
I. 서론 8
1. 연구목적 8
2. 연구방법과 범위 10
II. 본론 12
1. 카덴차의 역사와 음악적 기능 12
2. 모차르트 「바이올린 협주곡 제5번」(A장조 K. 219) 제1악장의 분석 23
3. 카덴차 분석과 연주해석에 대한 제안 42
(1) 5개의 카덴차 분석 42
(2) 요하임 카덴차의 상세분석과 연주해석 64
III. 결론 73
참고문헌 76
악보 78
부록 79
ABSTRACT 89
예1) Entlaubt ist uns der walde, volkslied(Forster, 1539) 12
예2) Caccini : Euridice 13
예3) Monteverdi : L' Orfeo 14
예4) 코렐리 「소나타 제3번」(op.5) 제2악장 15
예5) 바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제5번」 제1악장(마디 211∼220) 16
예6) 제1제시부(R)의 제1주제(마디 1∼8) 25
예7) 제1제시부(R)의 제2주제(마디 19∼27) 26
예8) 제2제시부(S)의 제1주제(마디 46∼54) 27
예9) 제2제시부(S)의 제2주제(마디 80∼88) 28
예10) 제1제시부(R)의 제1주제 경과부(마디 9∼15) 31
예11) 제1제시부(R)의 제1주제 경과부(마디 16∼19) 33
예12) 제1제시부(R)의 제2주제 경과부(마디 28∼31) 33
예13) 제1제시부(R)의 코데타(마디 37∼39) 33
예14) 아다지오 선율(마디 40∼43) 34
예15) 제2제시부(S)의 제1주제부(마디 54∼56) 36
예16) 제2제시부(S)의 제1주제 경과부(마디 61∼69) 37
예17) 제2제시부(S)의 경과부(마디 74∼77) 38
예18) 제2제시부(S)의 코데타①의 변형(마디 98∼103) 38
예19) 제2제시부(S)의 발전부 선율A(마디 118∼124) 39
예20) 제2제시부(S)의 발전부 선율B(마디 127∼134) 40
예21) 제2제시부(S)의 발전부 선율C(마디 135∼138) 40
예22) 마르또의 카덴차(마디 1∼12) 44
예23) 마르또의 카덴차(마디 14∼16) 45
예24) 마르또의 카덴차(마디 20∼21) 45
예25) 마르또의 카덴차(마디 17∼21) 46
예26) 마르또의 카덴차(마디 26∼27) 46
예27) 마르또의 카덴차(마디 30∼37) 47
예28) 헤쓰의 카덴차(마디 1∼7) 49
예29) 헤쓰의 카덴차(마디 9∼14) 50
예30) 제2제시부(S)의 코데타①(마디 101∼102) 50
예31) 헤쓰의 카덴차(마디 18∼19) 51
예32) 헤쓰의 카덴차(마디 21∼31) 51
예33) 헤쓰의 카덴차(마디 33∼37) 52
예34) 로스탈의 카덴차(마디 1∼5) 54
예35) 로스탈의 카덴차(마디 7∼10) 55
예36) 로스탈의 카덴차(마디 19∼22) 55
예37) 로스탈의 카덴차(마디 26∼34) 56
예38) 로스탈의 카덴차(마디 35∼37) 57
예39) 로스탈의 카덴차(마디 39∼44) 57
예40) 군트너의 카덴차(마디 1∼5) 59
예41) 군트너의 카덴차(마디 6∼18) 60
예42) 군트너의 카덴차(마디 28∼36) 60
예43) 군트너의 카덴차(마디 44∼50) 61
예44) 군트너의 카덴차(마디 52∼59) 61
예45) 요하임 카덴차(마디 1∼6) 64
예46) 요하임 카덴차(마디 6∼10) 65
예47) 요하임 카덴차(마디 11∼18) 66
예48) 요하임 카덴차(마디 19∼20) 67
예49) 요하임 카덴차(마디 21∼29) 68
예50) 요하임 카덴차(마디 29∼32) 68
예51) 요하임 카덴차(마디 33~37) 69
본 논문은 협주곡을 연주하는데 있어서 연주자들이 각자에게 잘 맞는 카덴차를 선택하는데 하나의 지침이 되고자 하는 목적을 바탕으로 모차르트『바이올린 협주곡 제5번』(A장조 K. 219) 제1악장의 카덴차를 분석하였다. 국내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악보인 요셉 요하임(Joseph Joachim, 1831~1907)을 비롯해 앙리 마르또(Henri Marteau, 1874~1934), 에른스트 헤쓰(Ernst Hess, 1912~1968), 막스 로스탈(Max Rostal, 1905~1991), 쿠어트 군트너(Kurt Guntner)의 카덴차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5개의 카덴차에 대한 분석 연구는 각 카덴차와 모차르트의 협주곡과의 연관성을 제시함을 넘어, 절대적으로 한국에서뿐 아니라 국외 음반에서도 가장 많이 연주되고 있는 요하임 카덴차의 의미를 확인시켜주고자 하였다.
이 연구목적에 도달하기 위한 연구방법으로는 제2장 본론에서 카덴차의 역사와 음악적 기능을 문헌을 통해 요약·정리하여 카덴차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을 우선적으로 제시하였다. 각각의 카덴차 분석의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제1악장의 악곡분석을 선행하여 주제음형과 파생된 음형을 분석했으며, 그 결과 크게 3가지의 음형을 끌어낼 수 있었다. 주제음형은 각각 음형a와 b, 그리고 c로 나누었는데, 음형a는 8분음표+8분쉼표 반복을 통한 리듬적 특징과 분산화음의 모습을 가지고 있었고, 음형b는 16분음표에 의한 순차하행의 모습이며, 음형c는 리듬적 특징은 음형a로부터 가지고 왔으나 동음에 의해서 반복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제1악장은 이 3가지 음형들과 그로부터 파생되어 변형·발전된 음형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면서 전개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었다. 제1악장의 분석이 선행됐음에도 불구하고 5개의 카덴차 분석에 있어서 나타날 수 있는 주관적 해석을 배제하기 위해 카덴차 역사에서 언급한 티르크(D. G. Turk)의 카덴차 규칙에 얼마만큼 근접하는가를 또 하나의 분석관점으로 포함시켰다.
작품에 대한 분석과 티르크의 18세기 카덴차 규칙을 바탕으로 각각의 카덴차를 분석한 결과 모두 원곡을 바탕으로 작곡이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마르또, 헤쓰, 군트너는 원곡을 상당부분 큰 변형 없이 사용하여 티르크의 카덴차 규칙 제1항 '카덴차는 간단한 요점, 즉 작품의 중요한 아이디어를 제공함으로서 곡의 느낌을 강화한다'를 잘 살려주고 있었고, 아주 기교적이지도 않았다. 로스탈은 원곡의 특징적인 음형을 골고루 사용하였지만, 너무나 기교적이고 낭만적인 성향이 짙어서 티르크의 카덴차 규칙 제2항 '너무 어려워서는 안 된다' 를 많이 벗어나고 있었다. 반면 요하임 카덴차는 다른 사람들보다 원곡에서 적은 소재를 따왔지만,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너무 기교적이지 않으면서도 화려함과 주제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는 형태로 작곡하였고, 티르크의 카덴차 규칙들, 예를 들어 '곡의 느낌을 강화하고 원곡과 통일된 느낌을 전달하면서도 청중의 관심을 끌 수 있는 음악적 변화를 포함해야 한다' 는 것과도 잘 맞고 있었다.
본론에서 이루어진 이론적 배경, 제1악장의 분석, 5개 카덴차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요하임 카덴차가 많은 연주자들에 의해 선택되어 연주되고, 청중들에게 사랑 받는 이유가 악곡에 대한 철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카덴차였기에 가능했다는 피상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었고, 나아가 연주자가 협주곡 연주에 있어서 카덴차의 선택은 단지 유명한 것을 선택할 것이 아니라, 악곡의 내용을 얼마나 잘 담고 있는지, 카덴차에 포함된 기교적인 내용이 자신의 능력과 감성에 잘 맞는지를 염두에 두고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을 결론적으로 담았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