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6

1. 연구 동기 6

2. 연구 범위 9

II.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 12

1. 제6차 교육과정과의 비교 12

2. 기타 외국어 교육과정과의 비교 15

III. 중국어 교과서의 방향보어 분석 18

1. 고등학교 《중국어 I》, 《중국어 II》의 방향보어 사용 상황 19

1.1. 부민문화사 19

1.2. 시사에듀케이션 25

1.3. 정진출판사 32

1.4. 진명출판사 (강식진 외) 37

1.5. 진명출판사 (이재돈 외) 43

2. 소결 47

IV. 교수ㆍ학습 방법 62

1. 동작을 활용한 지도 방안 62

2. 마인드맵을 활용한 지도 방안 67

V. 결론 75

참고문헌 78

표목차

【표 1】부민에서 제시한 방향보어 23

【표 2】부민 방향보어 문형 종류 24

【표 3】시사에서 제시한 방향보어 30

【표 4】시사 방향보어 문형 종류 31

【표 5】정진에서 제시한 방향보어 36

【표 6】정진 방향보어 문형 종류 36

【표 7】진명(강)에서 제시한 방향보어 41

【표 8】진명(강) 방향보어 문형 종류 42

【표 9】진명(이)에서 제시한 방향보어 45

【표 10】진명(이) 방향보어 문형 종류 46

【표 11】5종 교과서 방향보어 출현 빈도 49

【표 12】5종 교과서 방향보어 문형 종류 58

그림목차

【도표 1】부민에서 출현한 방향보어 마인드맵 69

【도표 2】시사에서 출현한 방향보어 미인드맵 70

【도표 3】정진에서 출현한 방향보어 마인드맵 71

【도표 4】진명(강)에서 출현한 방향보어 마이드맵 72

【도표 5】진명(이)에서 출현한 방향보어 마이드맵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