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8
Ⅱ. 채색화 이해와 이론적 배경 10
1. 한국화의 개념 10
2. 한국화 속의 채색화 역사 11
3. 수묵화와 채색화의 차이 16
Ⅲ. 채색화 지도의 필요성 22
1. 전통미술의 중요성 22
2. 채색화 교육 내용의 필요성과 가치 23
3. 채색화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25
Ⅳ. 중학교 채색화 지도의 내용 30
1. 내용 체계 30
2. 채색화 지도 방안의 실제 31
3. 평가방법 38
4. 채색화 감상 및 감상 활동 38
(1) 인왕제색도 (수묵 채색/79.2×138.2cm), 국보216호, 호암미술관소장 41
(2) 자화상 (수묵 담채/38.5×20.5cm)국보 240호, 개인소장 43
(3) 기명절지 (수묵 담채/38.9×230.5cm)부분 44
(4) 군선도 8곡병 (群仙圖8曲屛)(지본 수묵 담채/132.8×575.8m)1776년 작 45
(5) 금강전도 (수묵담채/130.7×94.1cm)1734년 작, 45
(6) 탈 (채색/69×69.9cm)1984년 작 46
(7) 청록산수(靑綠山水)(수묵 채색/69×69.9cm)1980년 작 47
(8) 삼선암 (수묵 담채/150×117cm)1959년 작 48
(9) 횡폭기명도 (지본 담채/34.7×172.8cm)19세기 전 48
(10) 이재 초상 (견본 담채/97×56.5cm/17세기/조선시대) 49
(11) 청일(晴日)(수묵 담채/248×180cm),1959년 작 50
(12) 총석정 (지본 담채/23×27.7cm)1795년 작 50
(13) 백로 (수묵 채색/96×180cm)1993년 작 51
(14) 묘작도 (견본 담채/93.7×42.9cm) 51
(15) 까치와 호랑이 (수묵 담채/72×59.4cm/조선시대) 52
(16) 민화에 나타난 그림 문자 (忠)수묵 채색/56.0×39.0cm/조선시대) 53
(17) 미인도 부분 (수묵 채색/114×45.2cm) 54
(18) 십장생도 10곡병 (十曲屛)부분(수묵 채색/151.0×370.0cm/조선시대) 56
(19) 군상 (수묵 담채/34.5×55.5cm)1987년 작 56
(20) 목련꽃이 있는 산 (수묵 채색/72.7×91.7cm)1997년 작 57
(21) 만남 9760(한지 암채 묵/66×50cm)1997년 작 58
(22) 계(지본 수묵/72×55㎝)1923년 작. 59
Ⅴ. 결론 60
도판목록 63
도판 65
참고문헌 70
Abstract 72
부록 75
활동지 1. 전통회화란 전통회화란? 76
활동지 2. 민화 엿보기 77
활동지 3. 조선시대 화가들 알아보기 알아보기1 78
활동지 4. 조선시대 화가들 알아보기 알아보기2 79
활동지 5. 김홍도의 풍속화 감상하기 80
도판목차
(圖 1) 수묵화와 채색화의 바탕 재 비교 19
(圖 2) 반수 처리된 바탕 재에서 안료의 발색원리 20
(圖 3) 흡수력이 큰 바탕 재에서의 안료의 발색원리 20
(圖 4) 감정을 수묵으로 나타내기 33
(圖 5) 채색화 학생 활동 작품 36
(圖 6) 정선, [인왕재색도], (수묵 채색/79.2×138.2cm) 65
(圖 7) 윤두서, [자화상], (수묵 담채/38.5×20.5cm), 국보 240호, 개인소장. 65
(圖 8) 장승업, [기명절지], (수묵 담채/38.9×230.5cm) 65
(圖 9) 김홍도, [군선도 8곡병], (지본 수묵 담채/132.8×575.8cm), 1776. 65
(圖 10) 정선, [금강전도], (수묵 담채/130.8×94cm), 1734. 66
(圖 11) 박생광, [탈], (채색/69×69.9cm), 1984 66
(圖 12) 김기창, [청록산수], (수묵 채색/69×139cm), 1980. 66
(圖 13) 변관식, [삼선암], (수묵 담채/150×117cm), 1959. 66
(圖 14) 작자 미상, [횡폭기명도], (지본 담채/34.7×172.8cm)19세기 전. 67
(圖 15) 작자 미상, [이재 초상],( 견본 담채/97×56.5cm) 67
(圖 16) 안상철, [청일], (수묵 담채/248×180cm), 1959 67
(圖 17) 김홍도, [총석정], (지본 담채/23×27.7cm), 1795. 67
(圖 18) 박노수, [백로], (수묵채색/96×180cm), 1993. 67
(圖 19) 변상벽, [묘작도], (견본 담채/93.7×42.9cm) 68
(圖 20) 작자 미상, [까치와 호랑이], (수묵 담채/72×59.4cm). 68
(圖 21) 작자 미상, [민화에 나타난 그림 문자], (수묵 채색/56.0×39.0cm). 68
(圖 22) 신윤복, [미인도 ], (수묵 채색/114×45.2cm), 조선시대, 비단에 채색. 68
(圖 23) 작자 미상[십장생도 10곡병 부분], (수묵 채색/151.0×370.0cm) 68
(圖 24) 이응로, [군상], (수묵 담채/34.5×55.5cm), 1987. 69
(圖 25) 민경갑, [목련꽃이 있는 산],( 수묵 채색/72.7×91.7cm), 1997. 69
(圖 26) 이경수, [만남 9760], (한지, 암채, 묵/66×50cm), 1997. 69
(圖 27) 이한복, [계], (지본 수묵/72×55cm), 1923. 69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