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 서론 13
II. 국내외 건축물 성능평가 기준 조사 및 분석 16
III. 건축물 구조안전성능 평가 항목 및 기준 71
IV. 구조안전성능 평가기법 개발 방안 94
V. 결론 및 제언 107
표목차[Table 2.1-1] 조립식주택 성능인정제도의 평가항목 및 인정방법 16
[Table 2.1-2] 건축물의 상태 및 안전성 평가등급(안전진단세부지침) 22
[Table 2.2-1] 손상도와 구조물의 상황(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25
[Table 2.2-2] 내구성 등급의 평가기준(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25
[Table 2.2-3] 콘크리트 건축물의 상태평가 등급기준(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26
[Table 2.2-4] 열화도 판정기준(일본건설성) 26
[Table 2.2-5] 분류별 평가와 조치의 관계(일본 淸水建設 연구소) 27
[Table 2.2-6] 건축물의 기울기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28
[Table 2.2-7] 벽 또는 기둥 경사 판정기준(일본 건설성) 29
[Table 2.2-8] 건물변형 평가기준(일본 淸水建設) 29
[Table 2.2-9] 거푸집공사 수직 시공오차(“D”사) 30
[Table 2.2-10] 기둥의 기울기 시공오차(건축공사 표준시방서, 1999) 30
[Table 2.2-11] 건물기울기에 대한 평가기준 비교 30
[Table 2.2-12] 지반침하 판정기준(일본 建設省) 32
[Table 2.2-13] 기초의 부동침하 평가기준(일본 淸水建設) 32
[Table 2.2-14] 허용 부동침하량(Skempton & Macdonald, 1955) 33
[Table 2.2-15] 빌딩 구조물의 손상한계(Hunt, 1984) 33
[Table 2.2-16] 여러 구조물에 대한 최대 허용침하량(Sowers, 1962) 33
[Table 2.2-17] 여러 가지 건물 형태에 대한 평균 허용침하량(Wahls, 1981) 34
[Table 2.2-18] 지반상태에 대한 평가기준 비교 35
[Table 2.2-19] 콘크리트 강도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35
[Table 2.2-20] 콘크리트 강도 평가기준1(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36
[Table 2.2-21] 콘크리트 강도 평가기준2(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36
[Table 2.2-22] 콘크리트 강도 평가기준(일본 建設省) 37
[Table 2.2-23] 콘크리트 강도 평가기준(일본 淸水建設) 37
[Table 2.2-24] 콘크리트 강도에 대한 평가기준의 비교 37
[Table 2.2-25] 철근 배근 및 부재단면치수 평가기준(일본 淸水建設) 38
[Table 2.2-26] 철근배근상태 및 부재단면치수 평가기준 비교 38
[Table 2.2-27] 부재의 변위 변형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39
[Table 2.2-28] 바닥판 처짐에 대한 평가기준(일본 건설성) 39
[Table 2.2-29] 바닥 슬래브 및 보의 처짐 평가기준(일본 淸水建設) 40
[Table 2.2-30] 최대 허용처짐(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40
[Table 2.2-31] 처짐에 관한 평가기준 41
[Table 2.2-32] 콘크리트 중성화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42
[Table 2.2-33] 콘크리트 중성화 평가기준 42
[Table 2.2-34] 중성화 깊이의 측정결과의 판정(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43
[Table 2.2-35] 콘크리트 중성화 평가기준(일본 建設省) 43
[Table 2.2-36] 콘크리트 중성화 평가기준(일본 淸水建設) 44
[Table 2.2-37] 콘크리트 중성화에 따른 열화원인의 강도 분류(일본건축학회) 44
[Table 2.2-38] 콘크리트 중성화 평가기준 비교 45
[Table 2.2-39] 철근의 최소 피복두께(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건교부, 1999) 45
[Table 2.2-40] 콘크리트 염화물 함유량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46
[Table 2.2-41] 염화물 이온 함유량 시험결과와 염해에 의한 영향의 평가 46
[Table 2.2-42] 염해 평가기준 47
[Table 2.2-43] 염화물 이온 함유량 평가기준(일본 建設省) 47
[Table 2.2-44] 콘크리트 중성화 평가기준(일본 淸水建設) 48
[Table 2.2-45] 콘크리트 중의 염화물량에 따른 열화요인의 강도 분류(일본건축학회) 48
[Table 2.2-46] 각 국의 염화물 함유량의 규제치 48
[Table 2.2-47] 염분함유량에 대한 평가기준비교 50
[Table 2.2-48] 콘크리트 내부의 철근부식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51
[Table 2.2-49] 철근 부식도 판정 51
[Table 2.2-50] 철근 부식도 평가등급 52
[Table 2.2-51] 철근부식 평가기준(일본 建設省) 52
[Table 2.2-52] 녹의 등급과 점수(일본 淸水建設) 53
[Table 2.2-53] 녹 정도와 평가(일본 淸水建設) 53
[Table 2.2-54] 철근 부식도 평가기준(일본 건축학회) 54
[Table 2.2-55] 자연전위와 철근부식의 관계(ASTM C876-91) 54
[Table 2.2-56] 철근부식 평가기준 비교 54
[Table 2.2-57] 콘크리트 균열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56
[Table 2.2-58] 균열 평가등급 및 상태(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56
[Table 2.2-59] 균열에 의한 손상도 판정(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57
[Table 2.2-60] 균열 평가기준(일본 建設省) 57
[Table 2.2-61] 균열 평가척도(일본 淸水建設) 58
[Table 2.2-62] 균열 평가기준(일본 淸水建設) 58
[Table 2.2-63] 열화원인의 강도에 따른 균열폭 분류(일본 건축학회) 59
[Table 2.2-64] 균열에 대한 평가기준 비교 59
[Table 2.2-65] 각국의 허용 균열폭 비교 60
[Table 2.2-66] 콘크리트부재에서 철근노출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1
[Table 2.2-67] 콘크리트 박리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1
[Table 2.2-68] 콘크리트 박락 및 층분리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1
[Table 2.2-69] 콘크리트 누수 및 백태에 대한 상태평가등급 기준 62
[Table 2.2-70] 표면노후화(SD) 등급 및 상태(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62
[Table 2.2-71] 정밀 외관조사 결과에 의한 외관 손상도(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63
[Table 2.2-72] 결손 및 녹락 평가기준(일본 建設省) 63
[Table 2.2-73] 표면상태와 평가(일본 淸水建設) 64
[Table 2.2-74] 표면 노후화 평가기준 비교 64
[Table 3.1-1] 구조안전성능 평가를 위한 평가등급 73
[Table 3.2-1] 기본구조안전성능의 평가 항목 76
[Table 3.2-2] 정밀구조안전성능의 평가항목 77
[Table 3.2-3] 정밀구조안전성능평가시 구조내력 평가를 위한 구조해석 수행자료 77
[Table 3.2-4] 콘크리트 강도의 평가기준 78
[Table 3.2-5] 부재 내력의 평가기준 78
[Table 3.2-6] 균열의 평가기준 79
[Table 3.2-7] 변위변형 평가기준 79
[Table 3.2-8] 건물 기울기의 평가기준 79
[Table 3.2-9] 기초 및 지반침하의 평가기준 80
[Table 3.2-10] 콘크리트 중성화 평가기준 80
[Table 3.2-11] 철근의 최소 피복두께(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건교부, 1999) 80
[Table 3.2-12] 염분 함유량의 평가기준 81
[Table 3.2-13] 철근부식의 평가기준 81
[Table 3.2-14] 강재의 부식 환경조건(대한건축학회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 82
[Table 3.2-15] 박리의 평가기준 82
[Table 3.2-16] 박락의 평가기준 83
[Table 3.2-17] 누수, 녹물, 백태, 백화의 평가기준 83
[Table 3.2-18] 철근노출의 평가기준 83
[Table 3.2-19] 하중경로의 평 84
[Table 3.2-20] 약층의 평가기준 85
[Table 3.2-21] 연약층의 평가기준 85
[Table 3.2-22] 평면변화의 평가기준 86
[Table 3.2-23] 질량변화의 평가기준 86
[Table 3.2-24] 비틀림의 평가기준 86
[Table 3.2-25] 건물인접성의 평가기준 87
[Table 3.2-26] 최종 평가를 위한 가중치 90
[Table 3.2-27] 부재별 가중치 90
[Table 3.2-28] 층별 가중치 90
[Table 3.2-29] 구조내력 평가항목의 가중치(기본구조안전성능 평가시) 91
[Table 3.2-30] 기울기 및 침하 평가항목의 가중치 91
[Table 3.2-31] 내구성 평가항목의 가중치 91
[Table 3.2-32] 표면노후화 평가항목의 가중치 91
[Table 3.2-33] 기본구조안전성능의 가중치 요약 92
[Table 3.2-34] 정밀구조안전성능의 가중치 요약 93
[Table 4.2-1] 단지규모에 따른 조사 동수 선정 기준 95
[Table 4.2-2] 조사 층수의 선정방법 95
[Table 4.2-3] 부재의 선정 기준 96
[Table 4.2-4] 철근콘크리트 구조 평가항목 96
[Table 4.3-1] 가중합에 의한 기본구조안전성능평가 예제 98
[Table 4.3-2] 퍼지 집합별 상태기준 99
[Table 4.4-1] 구조안전성능평가 결과 104
[Table 4.4-2] 종합 점수에 따른 구조안전성능 등급 결정 104
[Table 4.4-3] 기본구조안전성능평가 가중치 비교 결과표 106
[Fig. 2.1-1] 건축물의 안전관리 체계도 23
[Fig. 2.2-1] 여러 가지 구조물에 대한 각변위의 한계(Bjerrum, 1963) 28
[Fig. 2.2-2] 기초 침하의 유형 31
[Fig. 3.2-1] 기본구조안전성능 평가절차 88
[Fig. 3.2-2] 정밀구조안전성능 평가절차 89
[Fig. 4.3-1] 퍼지 평가를 위한 소속도 함수 99
[Fig. 4.3-2] 퍼지 규칙의 변환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