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ABSTRACT
목차
I. 서론 12
II. 기존의 연구 13
1. 실내투수시험 방법 13
가. 정수위 투수시험 13
나. 변수위 투수시험 14
다. 실내투수시험의 문제점 16
2. 경험적 방법 18
가. Hazen의 경험식 18
나. Creager의 제안 18
다. Moulton의 제안식 20
라. Kozeny-Carman 제안식 21
마. 미 공병단 수로국의 추정도표 24
바. 미 해군성의 추정도표 25
3. 현장투수시험 방법 26
가. 양수시험(Pumping Test) 26
나. 시추공을 이용한 투수시험 28
III. 현장투수시험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36
1. 현장투수시험의 문제점 36
2. 현장투수시험의 개선 방안 37
가. 부표형 투수시험기 37
나. 실린더형 수위측정기 38
다. 자동수위측정 투수시험기 39
IV. 현장적용 41
1. 현장적용 41
가. 대상현장 현황 41
나. 대상현장 토질특성 41
2. 개선된 현장투수시험기의 적용성 평가 45
가. 부표형 투수시험기 45
나. 실린더형 투수시험기 45
다. 자동수위측정 투수시험기 45
3. 각종 투수계수 산정법의 비교 46
가. 경험적 방법을 이용한 투수계수 산정 46
나. 현장투수시험을 이용한 투수계수 산정 47
다. 각종 투수계수 산정법의 비교 49
V/IV. 결론 50
참고문헌 51
부록
1. 입도시험 결과 54
2. 현장투수시험 결과 59
그림 2.1. 정수위 실내투수시험 모식도 14
그림 2.2. 변수위 실내투수시험 모식도 16
그림 2.3. Moulton(1980)의 투수계수 추정 도표 20
그림 2.4. 유효입경에 대한 현장 수평방향 투수계수 24
그림 2.5. 간극비에 따른 투수계수 추정도표 25
그림 2.6. 양수시험 모식도 27
그림 2.7. 나공에 대한 정수위 투수시험법 개요도(US Department of Interior, 1990) 29
그림 2.8. Case(a) 32
그림 2.9. Case(b) 32
그림 2.10. Case(c) 33
그림 2.11. 변수위 투수시험에 의한 log s-t 곡선 34
그림 3.1. 부표형 투수시험기 38
그림 3.2. 실린더형 투수시험기 39
그림 3.3. 자동수위측정투수시험기 40
그림 4.1. 현장 위치도 42
그림 4.2. 경험식을 이용한 투수계수 산정결과 비교 47
그림 4.3. 현장투수시험 결과 48
그림 4.4. 경험식과 현장투수시험 결과의 비교 49
Permeability of soil is an essential element of design and construction. For estimation, laboratory test, empirical method and in situ permeability test applied. On coarse grained soil, because of sampling disturbance and specific ground condition, laboratory tests and empirical methods do not make good coincidence with in situ permeability. In situ borehole test is, in comparison with others, very inexpensive, simple and easy way to estimation the "in-situ" permeability of soil.
In this research, were reviewed and recommended useful practice for in-situ testing and estimating permeability of soil. Recommended practice and estimating method can be presented as following
1) Using auto-sensing equipment was proved to be the mose accurate method for recoding the water level, which is resulting in personal error, when perform an in-situ permeability test.
2) For estimation of permeability, it is recommended that in-situ test should be done. And when using empirical methods, they must be applied with sand, classified SP, SW in the 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3) When analysing the result of in-situ permeability test, it is recommend that the primary data should be adopted as described in JGS(Japanese Geotechnical Society) 1314.
4) Generally, most in-situ permeability testing and analysisng methods has assumption of saturated soil, so more study should be made on permeability of unsaturated soil.*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