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감사의 글
목차
I.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8
2. 연구 방법 10
II. 이론적 배경 12
1. 구역과 의사소통 12
1) 구역의 의미 13
2) 구역의 성서적 접근 14
3) 구역의 역사적 이해 15
(1) 세계 교회사적 이해 15
(2) 한국 교회사적 이해 16
4) 구역의 역할과 기능 17
5) 구역의 의사소통의 문제점 18
2. Satir의 의사소통 20
1) 용어 정리 22
(1) 가치체계(Value System) 22
(2) 성숙(Maturation) 23
(3) 자기 존중감(Self-Esteem) 23
(4) 가족규칙(Family Rule) 24
(5) 의사소통(Communication) 24
(6) 성장모델(Growth Model) 25
2) Satir의 인간이해 25
(1) 세상을 지각하는 관점 : 계급모델과 성장모델의 비교 27
가. 관계성에 대한 정의 27
나. 인간에 대한 정의 28
다. 사건에 대한 설명 30
라. 변화에 대한 태도 31
3) Satir의 인간경험의 수준 31
(1) 열망(Yearnings) 32
(2) 기대(Expectations) 33
(3) 지각(Perceptions) 33
(4) 감정(Feelings) 34
(5) 대처(Coping) 34
(6) 행동(Behavior) 35
4) Satir의 의사소통 유형 35
(1) 역기능적 의사소통 유형 36
가. 회유형 36
나. 비난형 37
다. 초이성형 38
라. 산만형(부적절형 혹은 혼돈형) 39
(2) 기능적 의사소통 유형 : 일치형 40
III. 프로그램 개발 44
1. 선행 프로그램 연구 44
2.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목적 48
3. 프로그램의 구성 51
1) 실시 대상 51
2) 프로그램 실시 시간, 진행방법 및 장소 51
4. 프로그램의 회기별 목표 및 내용 52
IV. 프로그램의 실제 55
1. 인사 및 소개 55
2. 일치된 의사소통을 위한 듣기 기본기술 익히기 60
3. 일치된 의사소통을 위한 말하기 기본기술 익히기 65
4. 나의 의사소통방식 확인 71
5. 첫 번째 나의 빙산 76
6. 두 번째 나의 빙산 80
7. 세 번째 나의 빙산 86
8. 일치적 의사소통 91
V. 결론 및 제언 99
참고문헌 102
부록 106
[부록-1] 구역 의사소통 프로그램 참가 신청서 106
[부록-2] 참가 동의서 107
[부록-3] 나는 누구인가? 107
[부록-4] 자존감 검사지 109
[부록-5] 나의 의사소통 유형검사지 113
[부록-6] 감정 단어 모음 115
[부록-7] 나의 분노 표현 119
[부록-8] 나의 감정 경험 보고서 123
[부록-9] 나의 왜곡된 비합리적 신념 찾기 125
[부록-10] 긍정적 상호작용 만들기 127
Abstract 129
국문초록 132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