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의 문제 11
3. 연구의 범위와 제한점 12
4. 용어의 정의 12
II. 이론적 배경 13
1. 현직교육 13
가. 현직교육과 자율연수와의(자율수와의) 관계 13
나. 현직교육의 절차와 방법 14
2. 자율연수 15
가.교내 자율연수의 개념 15
나. 자율연수의 모형 18
3. 선행연구의 분석 22
III. 교내 자율연수의 실태분석 26
1. 조사의 대상 및 표집 26
2. 조사도구 27
3. 자료처리 28
4. 교내 자율연수 계획의 실태 분석 결과 29
가. 교내 자율연수 계획의 실태 분석 29
나. 교내 자율연수의 실행의 실태 분석 32
다. 교내 자율연수에 대한 기대 분석 39
IV. 맞춤형자율연수의 실행과정 44
1. 연구 기간 및 대상 44
가. 연구 기간: 2006년 3월 2일 - 2006년 9월 30일까지(7개월간) 44
나. 연구대상 44
2. 실행과제 45
3. 연구의 실제 45
가. 교내 자율연수의 연수과정 선정 방침 45
나. 요구 조사서를 통한 의견 수렴 46
다. 연수과정 선정 46
라. 맞춤형 자율연수팀의 구성 49
마. 맞춤형자율연수의 실시 50
V. 맞춤형자율연수 실행결과의 분석 53
1. 조사의 대상 53
2. 조사도구 54
3. 자료처리 55
4. 사례연구의 결과 분석 55
가. 맞춤형자율연수의 효과 55
나. 교내 자율연수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 방안 65
VI. 요약 및 결론 75
1. 요약 75
가. 교내 자율연수의 실태분석 77
나. 맞춤형자율연수팀 운영의 효과 분석 77
2. 결론 78
참고문헌 80
Abstract 81
[부록]
〈부록 1〉 초등학교 교내 자율연수의 운영 실태 조사 83
〈부록 2〉 맞춤형자율연수팀 운영에 대한 효과 86
〈부록 3-1〉 교내 자율연수 요구 조사서(제1차) 90
〈부록 3-2〉 교내 자율연수 요구 조사서(제2차) 91
〈부록 4〉 맞춤형자율연수의 실천 92
〈부록 5-1〉 자율연수 후기(퓰륫팀 강사) 93
〈부록 5-2〉 자율연수 후기(리본아트팀 강사) 94
〈부록 5-3〉 자율연수 후기(미술팀) 95
〈부록 5-4〉 자율연수 후기(마술팀) 96
〈부록 5-5〉 자율연수 후기(플륫팀) 97
〈부록 5-6〉 자율연수 후기(리본아트팀) 98
〈부록 5-7〉 자율연수 후기(종이접기팀) 99
〈사진 1〉 마술팀 연수 50
〈사진 2〉 미술팀 연수 51
〈사진 3〉 종이접기팀 연수 51
〈사진 4〉 플륫팀 연수 51
〈사진 5〉 리본아트팀 연수 52
〈사진 6〉 자율연수 후기(부록 5 참조) 5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an efficient management way of self-training in school, by actually organizing and managing 'demand-reflected self-training team' after understanding what the current situation and what problem it has to accomplish this goal. Some specific approaches are suggested.
(1)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of self-training performed in each school.
(2)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effect between 'demand-reflected self-training in school' and the general training methods.
(3) To propose efficient ways of management of self-training in school.
To activate these ideas, I analysed information obtained from 65 head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the department of research and training in each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Chuncheon and Hongcheon areas. After that, a case study was performed with 37 teachers in Namsan elementary school in Hongcheon for th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brought by 'demand-reflected self-training in school'.
The program SPSSWIN V12.0 was used to analyze current situation and utility of 'demand-reflected self training in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most schools were operating self-training programs in formal or lectured style. Therefore, it was reorganized here by the way of organizing and managing 'demand-reflected self-training team.' Some results were turned out below.
First, participants had fun and enjoyed taking the training, and became satisfied with the training, because they were learning a lot of useful skills applicable to the class with the students.
Second, they were pleased with their own demands reflected in training, and afterwards they were enthusiastic enough to practice skills obtained from training.
Three conclusions according to this case study are listed below.
First, training programs in school should be fun and interesting by reflecting the participants' demands. Those can be represented through answers to 'pre-survey for teacher's demands'.
Second, training has to attract participants' much interest and participation by operating it focusing on practice and technique within small-sized groups.
Third, training should be applicable to classes with students, and it is also desirable to invite some experts to school from various fields in society to enhance the quality of training.
Conclusively, to achieve all these improvements, educational administrators should supply schools with sincere support and leadership, and principals and vice-principals should have open mind to receive new kinds of management ways for self-training programs in school.*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 전화번호 |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