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I. 서론 16
II. 본론 17
1. 대상자 17
2. 연구방법 19
1) 안면사진찰영 19
(1) 카메라 19
(2) 조명 19
(3) 촬영방법 19
(3)-1. 피검자의 자세 20
(3)-2. 사진찍는 순서 20
(3)-3. 정면촬영 20
(3)-4. 측면촬영 21
2) 안면특징측정프로그램 21
(1) 측정점 24
(2) 측정항목 32
(2)-1. 정면 측정항목 중 제외되는 항목 33
(2)-2. 측면 측정항목 중 제외되는 항목 35
3) 측정항목의 성별, 연령별, 체질별 특징분석 36
(1) 성별 특징분석 36
(2) 연령별 특징분석 44
(2)-1. 남자의 연령별 특징분석 44
(2)-2. 여자의 연령별 특징분석 55
(3) 체질별 특징분석 68
(3)-1. 남자 68
① 남자 소년(17세-32세) 68
② 남자 장년(33세-48세) 73
③ 남자 노년(49세-64세) 80
(3)-2 여자 83
① 여자 소년(17세-32세) 83
② 여자 장년(33세-48세) 88
③ 여자 노년(49세-64세) 91
4) 측정자 신뢰도 분석 94
(1) 측정자내의 오차 94
(2) 측정자간의 오차 96
5) 체질판별함수 98
(1) 남자 98
(1)-1. 소년 98
(1)-2. 장년 101
(1)-3. 노년 103
(2) 여자 106
(2)-1. 소년 106
(2)-2. 장년 108
(2)-3. 노년 110
3. 연구결과 113
1) 성별 특징 113
(1) 정면 113
(1)-1. 정면 측정항목중 여자가 남자보다 큰 값을 갖는 항목 113
(1)-2. 정면 측정항목중 남·여의 차이가 없는 항목 114
(2) 측면 116
(2)-1. 측면 측정항목중 여자가 남자보다 큰 값을 갖는 항목 116
(2)-2. 측면 측정항목중 남·여의 차이가 없는 항목 117
2) 연령별 특징 119
2)-1. 남자(밑줄친 항목은 측면 측정항목) 119
(1) 소년·장년·노년의 부위별 특징 119
(1)-1. 소년 119
(1)-2. 장년 122
(1)-3. 노년 123
(2) 전안부·상안부·중안부·하안부의 소년·장년·노년간 비교 126
(2)-1. 전안부 126
(2)-2. 상안부 126
(2)-3. 중안부 128
(2)-4. 하안부 133
2)-2. 여자 135
(1) 소년·장년·노년의 부위별 특징 135
(1)-1. 소년 136
(1)-2. 장년 138
(1)-3. 노년 139
(2) 전안부·상안부·하안부의 소년·장년·노년간 비교 142
(2)-1. 전안부 142
(2)-2. 상안부 142
(2)-3. 중안부 145
(2)-4. 하안부 149
3) 체질별 특징 151
3)-1 남자(밑줄친 항목은 측면 측정항목) 151
(1) 소년 151
(2) 장년 155
(3) 노년 161
3)-2 여자(밑줄친 항목은 측면 측정항목) 171
(1) 소년 171
(2) 장년 175
(3) 노년 178
4) 측정자 신뢰도 분석 186
(1) 측정자내의 오차 186
(2) 측정자간의 오차 186
5) 체질 판별 함수 186
(1) 남자 186
(1)-1. 남자소년(체질판별 정확도 약71%) 186
(1)-2. 남자장년(체질판별 정확도 약75%) 187
(1)-3. 남자노년(체질판별 정확도 약66%) 187
(2) 여자 188
(2)-1. 여자소년(체질판별 정확도 약63%) 188
(2)-2. 여자장년(체질판별 정확도 약63%) 188
(2)-3. 여자노년(체질판별 정확도 약61%) 188
III. 결론 190
1. 성별 특징 190
1) 남자 190
2) 여자 190
2. 연령별 특징 190
1) 남자 190
(1) 전안부 190
(2) 상안부 191
(3) 중안부 191
(4) 하안부 191
2) 여자 191
(1) 전안부 191
(2) 상안부 191
(3) 중안부 191
(4) 하안부 192
3. 체질별 특징 192
1) 남자 192
(1) 소년 192
(1)-1. 소양인특징 192
(1)-2. 태음인특징 192
(1)-3. 소임인특징 192
(2) 장년 193
(2)-1. 소양인특징 193
(2)-2. 태음인특징 193
(2)-3. 소임인특징 193
(3) 노년 194
(3)-1. 소양인특징 194
(3)-2. 태음인특징 194
(3)-3. 소임인특징 194
(4) 연령대에 관계없이 보이는 체질별 특징 194
2) 여자 195
(1) 소년 195
(1)-1. 소양인특징 195
(1)-2. 태음인특징 195
(1)-3. 소임인특징 195
(2) 장년 195
(2)-1. 소양인특징 195
(2)-2. 태음인특징 195
(2)-3. 소임인특징 196
(3) 노년 196
(3)-1. 소양인특징 196
(3)-2. 태음인특징 196
(3)-3. 소임인특징 196
(4) 연령대에 관계없이 보이는 체질별 특징 196
IV. 참고문헌 198
부록 199
1. 측정점 199
2. 측정항목 227
국문초록
english abstract
목적
사상인의 용모 중, 두면부의 외형적인 특징을 이용하여 체질별로 서로 다른 점을 알아보고, 외형을 통한 체질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방법
경희의료원과 강남경희한방병원에 내원한 114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정면과 측면 사진을 촬영한 후 안면특징측정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폭경, 고경, 방사경을 측정하여 성별, 연령별, 사상체질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특징적인 얼굴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두면부의 성별, 연령별, 사상체질에 따른 형태학적인 특징을 얻었으며, 표15에서 표26에 제시하였다.
결론
1. 성별에 따른 두면부의 형태학적인 특징
① 남자는 대부분의 측정항목값이 여자보다 크다.
② 여자의 눈은 남자보다 크게 보인다.
③ 여자의 얼굴은 남자보다 꽉 차게 보인다.
④ 남자의 이주점은 동공점보다 높고, 여자의 이주점은 동공점보다 낮다.
2. 연령에 따른 두면부의 형태학적인 특징
① 소년의 상안부는 노년보다 길고, 방사경도 크다.
② 소년의 눈썹은 노년보다 좌우로 넓다.
③ 소년의 눈은 노년보다 크게 떠있는 것으로 보인다.
④ 노년의 코는 소년보다 길고 펑퍼짐하다.
⑤ 노년의 귀는 소년보다 길다.
⑥ 노년의 하악각간폭은 소년보다 넓다.
⑦ 노년의 하안부는 소년보다 발달되어 있다.
3. 체질에 따른 두면부의 형태학적인 특징
⑴ 남자
① 소양인의 태음인과 소음인보다 눈이 커 보인다.
② 태음인은 소양인과 소음인보다 하안부가 발달하였다.
③ 소음인은 소양인과 태음인보다 소년과 장년에서 얼굴의 폭에 대한 길이의 비가 크다.
⑵여자
① 소양인은 태음인과 소음인보다 소년에서 코길이에 대한 이마의 높이가 크고, 장년에서 두정점높이가 낮고, 노년에서 턱이 날렵하다.
② 태음인은 소양인과 소음인보다 얼굴의 대부분의 폭경과 방사경이 크지만, 노년에서 이러한 특징들이 적어진다.
③ 소음인은 소양인과 태음인보다 소년과 장년에서 이마가 길어보이고, 노년에서 턱이 들어가 보이며, 이마는 좁게 보인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