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과 문제제기 11

2. 연구의 목적과 내용의 구성 19

3. 연구 방법 20

3.1. 문헌연구 20

3.2. 분석연구. 21

II. 구성주의와 스위스 그래픽디자인 22

1. 구성주의 디자인의 형성배경과 과정 22

2. 스위스의 구성주의 디자인의 탄생 배경과 대표 작가들의 작품 경향 25

2.1. 스위스 구성주의 스타일의 탄생 배경 25

2.1.1./2.11. 국제스타일의 배경 25

2.1.2./2.12. 앙리 반 데 벨데(Henry van de Velde, 1863-1957) 의 영향 28

2.1.3./2.13. 바우하우스 30

2.1.4./2.14. 스위스공작연맹의 창설 33

2.2. 스위스 디자인에 영향을 끼친 디자이너들 35

2.2.1./2.21. 바실리 칸딘스키(Wassily Kandinsky, 1866-1944) 36

2.2.2./2.22. 테오 반 되스부르흐(Theo van Doesburg, 1883-1931) 40

2.2.3./2.23. 라즐로 모홀리 나기(Laszlo Moholy-Nagy, 1895-1946) 46

2.2.4./2.24. 엘 리시츠키(El Lissitzky, 1890-1941) 49

2.2.5./2.25. 얀 치홀트(Jan Tschichold, 1902-1974) 51

2.2.6./2.26. 막스 빌 (Max Bill, 1908-1994) 54

3. 스위스 구성주의 디자인의 원칙과 요소 62

3.1. 뉴 타이포그래피 62

3.1.1./3.11. 비대칭 타이포그래피(Asymmetric Typography) 68

3.1.2./3.12. 시각요소 (원, 사각형, 삼각형) 68

3.1.3./3.13. 산세리프 활자(Sans Serif Type) 사용 70

3.2. 비례와 그리드 77

3.2.1./3.21. 비례의 역사 77

3.2.2./3.22. 그리드의 역사와 의미 83

3.2.3./3.23. 모던 그리드의 사용 예 89

3.3. 포토그래픽 포스터 96

4. International Style으로서의 Swiss Design: Neue Grafik과 Die Neue Graphik 111

4.1. 뉴 그래픽 디자인(Neue Grafik) 111

4.2. 뉴 그래픽 아트(Die Neue Graphik) 115

III. 요셉 뮐러 브로크만의 구성주의 디자인 119

1. 뮐러 브로크만의 구성주의적 삶 119

1.1. 구성주의적 삶 119

1.2. 일러스트레이션에서 구성주의로 120

1.3. 디자인 프로젝트 125

2. 뮐러 브로크만의 디자인 저서 130

2.1. 그래픽 아티스트와 과제들(The Graphic Artist and his Design Problems) 131

2.2.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의 역사(A History of Visual Communication) 133

2.3. 포스터의 역사(A History of Poster) 135

2.4. 그리드 시스템(Grid System in Graphic Design) 137

2.5. IBM의 그래픽디자인(Graphic Design in IBM) 139

2.6. 사진 포스터(Potoplakate) 141

2.7. 나의 삶: 유희적 진지함과 진지한 놀이(Mein Leben: Spielerischer Ernst und ernsthaftes Spiel) 143

3. 뮐러 브로크만의 구성주의 디자인 145

3.1. 비주얼 시스템 디자인 교육 145

3.1.1. 비주얼 시스템이란? 147

3.1.2. 뮐러 브로크만의 디자인 교육: 비주얼시스템 151

3.1.3. 칼 게르스트너(Karl Gerstner)의 디자인 교육 164

3.2. 뮐러 브로크만의 광고 디자인 169

3.3. 뮐러 브로크만의 포스터 디자인 177

3.3.1. 스위스의 구성주의적 포스터 디자인 178

3.3.2. 포스터 디자인의 분류 185

3.3.3. 스위스의 포스터 디자인 지원정책 186

3.3.4. 스위스 포스터가 일본과 한국 그래픽 디자인에 끼친 영향 188

3.4. 뮐러 브로크만의 사진 포스터 디자인 195

3.5. 뮐러 브로크만의 구성주의 포스터 디자인 200

4. 구성주의 스타일에서 정보디자인으로 233

IV. 결론 240

참고문헌 247

부록 268

Abstract 286

감사의 글 292

〈그림 1〉 1. 뮐러 브로크만의 〈알리 반 데 벨데의 삶과 작품을 다룬 회고전〉 포스터. 회고전은 취리히 미술공예박물관에서 반 데 벨데가 죽은 다음해인 1958년에 열렸다. 포스터는 검정색과 브라운색 만으로 제작되었다. 포스터에 보이는 사진은 자서전, 『나의 인생 이야기... 29

〈그림 2〉 1.「디 포름(Die Form)」, 바우하우스 출신의 요스트 슈미트(Joost Schmidt)의 디자인. 1926년. 슈미트는 기하 학적인 방법으로 활자 디자인을 했는데 이는 전통적인 아티스트들의 방법이 아닌 공학자들이 하는 방법에 가까웠다. 2. 스위스 공작연맹 월간지,「다스 베르크... 34

〈그림 3〉 모더니스트들과 요소주의의 계통도. 하얀색 라벨 위에 적혀 있는 아티스트들을 본 논문에서 다루었다. 35

〈그림 4〉 반 되스부르흐의 〈바우하우스의 대차대조표〉 라는 재미있는 제목이 붙은 편집디자인. 여기에서 보이는 타이포 그래피는 다다(Dada)적인 특성과 구성적인 특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디자인의 아래에는“벌써 많은 사람들이 정사각 형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의미를... 45

〈그림 5〉 막스 빌의 〈15개 변형의 연작 시리즈〉. 1938년. 56

〈그림 6〉 막스 빌의 〈16개 변형을 위한 연작 시리즈〉. 1974년. 60

〈그림 7〉 『순간 포착(Gefesselter Blick)』에 실린 1. 막스 빌의 페이지. 2. 오토 바움베르거의 페이지. 67

〈그림 8〉 모홀리 나기가 디자인한 바우하우스 출판사를 위한 트레이드마크. 1923년. 2. 막스 브르하르츠를 위한 트레이 드마크. 1924년. 69

〈그림 9〉 구성주의 포스터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산세리프체인 Akzidenz Grotesk Medium, Futura Semi-Bold, Helvetica Bold, Univers 65를 선정하여 Baseline을 기준으로 겹쳐본 모양이다. x-height 는 악치덴츠가 가장 높고 퓨투 라가 가장 낮다.... 75

〈그림 10〉 각 서체의 세로획(Stem)과 가로획(Bar)의 폭의 비율을 나타낸 그림이다. 세로획과 가로획의 비율차가 가장 적 은 것, 즉 가장 견고해 보이는 것은 Akzidenz-Grotesk(89%)이다. 반면, 비율차가 가장 큰 것은 Univers(76%)이다.... 76

〈그림 11〉 형태가 현저하게 다른 활자들 즉, C, G, M, Q, S 등이다. 루프의 끝이 멈추는 방식을 비교해 보면 커브를 그리는 필세가 가장 자연스러운 것은 악치덴츠이다. 이것은 악치덴츠가 문자 전체에 보이는 다이내믹함을 보여준다.... 76

〈그림 12〉 비트루비우스의 인간(Vitruvian Man)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인체와 원 그리고 사각형의 기하학'. 비투루비 우스는 그의 책,『건축을 위한 10권의 책(10 Books on Architecture)』의 3번째 책에서“대칭과 비례가 없으면 어떤 건 축의 원칙도 존재할 수 없다.... 79

〈그림 13〉 헨리 밀론(Henry Millon)의 연구에 의한 다이어그램 분석. 1633년. 교회의 평면도를 위한 7단계 기하학. 2개 의 정삼각형만으로 기하학을 이용해서 전개했다. 81

〈그림 14〉 『예술사조(Die Kunstismen)』의 레이아웃은 매우 도전적이다. 두꺼운 줄선은 나중에는 독특한 특징으로 바뀌 지만 급진적인 긴박함을 불러일으킨다. 선이 같은 굵기로 디자인 된 것은 볼드 한 그로테스크체를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 다.... 91

〈그림 15〉 이것은 타이포그래피와 문화의 융합으로 만들어진 책이다.『유럽행 보트』는 뉴욕에서 프랑스의 르 아브르(Le Havre)항구까지 가는 보트 여행 과정을 그린‘가설적 희곡’이다. 이 책은 서술적(그리고 타이포그래피의) 스타일을 모색 한다. 칼럼 너비도 변화한다.... 92

〈그림 16〉 〈타이포그래픽 프로세스〉를 위해 기본적으로 정해진 타입과 그리드. 93

〈그림 17〉 리사 포메로이(Lisa Pomeroy). 고정된 그리드를 활용하여 만들 수 있는 여러 가지의 구성 방법 연습 1. 94

〈그림 18〉 리사 포메로이(Lisa Pomeroy). 고정된 그리드에 다양한 선과 시각적 요소를 활용한 표지 디자인 연습 2. 95

〈그림 19〉 1. 구스타브 클루치스(Gustav Klucis)의 〈위대한 일을 위한 계획을 실천하자〉. 1930년. 2. 장 까를뤼(Jean Carlu)의 〈모든 나라의 무장 해제〉. 1932년. 99

〈그림 20〉 1. 하이리 스타이너(Heiri Steiner)가 디자인하고 에른스트 스타이너(Ernst Steiner)가 촬영한 〈발리 구두〉 광고 포스터. 1936년. 이 포스터는 소비자가 필요한 제품정보를 제공한다. 대각선의 레이아웃은 이미지의 단호한 태도를 보여 주고 하늘처럼 보이는 배경과... 101

〈그림 21〉 막스 빌의 〈본베다르프 취리히점(Wohnbedarf Zurich)(이미지참조)〉을 위한 포스터 디자인. 1935년. 포스터의 요소들에는 분명한 시각적 우선순위가 보인다. 그리고 모델이 등장해서 가구의 활용성을 보여준다. 102

〈그림 22〉 한스 노이브루크(Hans Neuburg)가 디자인한 〈리비히 스톡 큐브(Liebig Stock Cubes, 고기나 생선을 삶은 국 물)〉 포스터. 1934년. 안톤 스탄코브스키의 사진 102

〈그림 23〉 1. 〈노인을 위하여〉 공익 포스터, Carlo Vivarelli 디자인, 1949년. 2. 〈노인을 위하여〉 공익 포스터, Ernst Keller 디자인, 1945년. 104

〈그림 24〉 1. 호네거 라바터의 〈더 높은 생활 향상을 위한 유럽 협약(La cooperation inter-europeenne pour un niveau de vie plus eleve)〉 포스터 디자인. 1950년. 2. 리햐드 파울 로제의 〈도울 수 있도록 도와주십시오(Tiefdruck einfarbig schwarz)〉 포스터 디자인. 1940년.... 105

〈그림 25〉 1. 헤르베르트 매터의 〈폰트레지나(Pontresina)〉 휴양지를 위한 포스터. 1936년. 낮은 시점으로 얼굴을 클로 즈업해서 포스터의 주인공을 슬로프의 영웅으로 변환시켰다. 2. 에밀 슐테쓰(Emil Schulthess)의 포스터. 1937년.... 107

〈그림 26〉 1. 막스 후버(Max Huber)의 〈몬자 자동차 경주 그랑프리(Monza Autodrome Grand Prix)〉 포스터 디자인. 1948년. 2. 안톤 스탄코브스키(Anton Stankowski)의 디자인. 1956년. 막스 후버 작품에서 볼 수 있는 다이내믹한 기법과 대조를 이룬다. 109

〈그림 27〉 바젤에서 열린 〈전문 사진작가의 전시회(The Professional Photographer)〉를 위한 포스터. 얀 치홀트의 디자 인. 1938년. 이 포스터는 수직과 수평 중심선을 기준으로 디자인 되었다. 네거티브 사진은 포스터를 수직으로 2등분하고 있다.... 109

〈그림 28〉 1. 〈가정, 사무실, 워크숍에서의 조명 전시회〉 포스터. 이 전시회는 취리히에서 개최한 후에 바젤전이 열렸 다. 테오 발머(Theo Ballmer)의 디자인. 1932년. 2. 취리히에서 개최된 〈가정, 사무실, 워크숍에서의 조명 전시회〉 포스터. 알프레드 빌리만... 110

〈그림 29〉 『뉴 그래픽 디자인(Neue Grafik)』은 광택이 나는 흰색 표지와 정사각형 포맷으로 디자인된 계간지였다. 1958 년 8월 창간되어 재정난으로 인하여 1965년 17+18호(합본)를 끝으로 폐간되었다. 114

〈그림 30〉 『Die Neue Graphik』. 칼 게르스트너(Karl Gerstner)와 마르쿠스 쿠터(Markus Kutter)가 편집했다. 1959년. 118

〈그림 31〉 1. 에른스트 멜러(Ernst Keller)의 〈발터 그로피우스, 합리적인 빌딩 건설 전시회〉를 위한 포스터. 1931년. 2. 알프레드 빌리만(Afred Willimann)의 〈빛 전시〉 포스터. 1932년. 3. 한스 핀슬러(Hans Finsler)의 〈2개의 포지티브 달걀〉 사진 포지티브. 1929년.... 122

〈그림 32〉 인포메이션 디자인 프로젝트였던〈스위스 연방철도(SBB)를 위한 디자인 가이드〉. 129

〈그림 33〉 뮐러 브로크만이 저술한 디자인 전문서적 구성도 130

〈그림 34〉 『그래픽 아티스트와 그의 과제들』뮐러 브로크만의 작품집이라고 할 수 있을 만큼 그의 모든 작품과 작 품 제작을 위한 프로세스가 수록되어 있다. 1961년에 출간된 이후 5번이나 개정판을 낼 정도로 전세계적으로 디자인 교육을 위한 교과서로 사용되고 있다. 132

〈그림 35〉 이 책은 모두 7장 (1. 선사시대 2. 중세미술과 인쇄의 발명 3. 근대 미술과 만국 박람회, 사진의 발명과 포스 터 4. 20세기 전반기의 현대 미술 운동 5. 2차 대전 이후의 객관적 시각 커뮤니케이션의 발달 6. 현재 7. 미래)으로 구성되어 있다. 134

〈그림 36〉 이 책은 3개 국어(독어, 불어, 영어)를 위한 3-칼럼의 전형적인 스위스 편집디자인 스타일을 보여준다. 이 책의 내용 구성은 모두 7장(1. 포스터의 성격과 기능 2. 초창기 포스터 역사 3. 묘사적 포스터 4. 객관적이고 정보 제공적인 포스터 5. 구성적 포스터... 136

〈그림 37〉 이 책의 구성은 1. 그리드의 개념과 사용 목적 2. 종이와 활자의 체계와 용어 정리(Terminology) 3. 2D, 3D상에서의 그리드 사용사례 4. 비례체계와 개념 등으로 되어있다. 평면적인 그리드 외에 전시장 디자인을 위한 공간에서의 그리드 시스템에 대한 내용도 포함되어있다. 138

〈그림 38〉 1.『Graphic Design in IBM』의 내용은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의 기능과 디자인의 원칙, 타이포그래피, 사진과일러스트레이션의 사용법 등의 3장으로 구성되었다. 2.『The IBM Logo』에서 폴 랜드는 로고를‘호의를 위한 심벌이자시각적 유희(Visual Pun)를... 140

〈그림 39〉 이 책은 사진을 이용한 포스터를 6가지 장르로 구분했다. 1. 정치적 사진 포스터(Das politische Fotoplakat)2. 사실적 사진 포스터(Das Foto-Sachplakat) 3. 관광포스터(Das Touristik-Fotoplakat). 4. 사회적인 성향의 사진 포스터(Das sozial ausgerichtete... 142

〈그림 40〉 1. 『나의 삶: 유희적 진지함과 진지한 놀이』 는 견습생 시절과 취리히 미술공예학교에서 디자인을 공부하던 시절, 1930년대 세계 만국 박람회와 국가 전시회의 전시 디자이너 시절, 1945년 이후의 무대 세트 디자이너 시절, 1950 년 이후 일러스트레이터에서 구성주의 ... 144

〈그림 41〉 뮐러 브로크만의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전공 학생들이 독일 동부지역 답사여행 결과물로 만든 12 페이지짜리 잡지. 4단 그리드로 디자인 되었고 리서치와 스케치를 기반으로 제작되었다. 편집장은 우르슐라 켈라(Ursula Keller). 146

〈그림 42〉 화학 〈주기율표(Periodic Table)〉. 원자핵속의 양성지수를 원자번호(Z)라고 하는데 이 원자번호 순서대로 원소를 배열하면 주기성을 띠게 된다. 따라서 원자번호는 원자의 화학적 성질을 지배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같은 주기(가로) 와 같은 족(세로)은 화학적 성질이... 150

〈그림 43〉 〈유니버스체 패밀리〉를 위한 다이어그램. 표준 굵기는 유니버스 55이다. 이것을 기준으로 왼쪽으로 가면(유 니버스 53) 평체(Expanded)가 되고 오른쪽으로 가면(유니버스 56, 57, 58, 59) 사체(Italic)와 장체(Condensed)가 번갈아 나온다.... 150

〈그림 44〉 차원 변이를 위한 실험으로서 평면작업(2D)과 3D 조형은 같은 기하학적 방법으로 제작되었다. 153

〈그림 45〉 연세대학교 영상대학원의 석수선의 논문인「타이포그래피의 차원변이에 관한 연구」는 2, 3, 4 Dimension의 차원변이를 통한 비주얼의 일관성(Visual Consistency) 유지에 관한 실험이었다. 154

〈그림 46〉 〈타이포그래피의 차원변이에 관한 연구〉의 결과물인 Animation 콘티: 1. 앨리스가 졸면서 앉아있던 언덕 2. 눈이 빨간 흰토끼가 앨리스 옆을 달려간다. 3. 졸던 앨리스는 늦었다고 소리치며 조끼 호주머니에서 시계를 꺼낸 토끼를 발견 4. 흰토끼는 허둥지둥 앨리스... 155

〈그림 47〉 등비수열을 이용한 비주얼 시스템 과제 157

〈그림 48〉 루트형 필드를 이용한 편집디자인. 박효신. 1991. 등비수열을 이용한 비주얼 시스템을 편집디자인에 응용한 예. 1. √2, 등비수열로 디자인한 그리드. 2. √3, 등비수열로 디자인한 그리드. 3. √4 등비수열로 디자인한 그리드. 4. √5 등비수열로 디자인한 그리드. 158

〈그림 49〉 루트 캘린더 디자인(Root Calendar Design). 박효신. 1991. 정사각형(√1)으로부터 생성되는 12가지 √사각형 의 면 분할을 이용하여 디자인한 캘린더. 159

〈그림 50〉 Designing Programmes 수업과제. Visual System을 타이포그래피와 편집디자인에 활용한 과제. RISD. 1. Overview Program 2. Proportional Program 3. Organization Program 4. Metamorphic Program. 160

〈그림 51〉 Designing Programmes 수업과제. Visual System을 타이포그래피와 편집디자인에 활용한 과제. RISD. 1. Puzzle Program 2. Puzzle Program(texture) 3. Alphabet Program 4. Text. 161

〈그림 52〉 글자는 단어로 조합이 될 때만 읽을 수 있는 단어그림(Word Picture)이 된다. 알파벳 4자(E, F, I, W)로 이루 어진 단어의 조합은 24(4!=4x3x2x1)개 이지만 의미가 있는 단어는 WIFE 하나뿐이다. 이러한 순열조합을 이용한 실험은 구체시인들에 의해서도 실험되었다.... 162

〈그림 53〉 Diter Rot의 Ideograms, Bok. 1956-59년 163

〈그림 54〉 뮐러 브로크만의 학생인 크리스토프 가스너(Chistof Gassner)가 디자인한 광고 시리즈를 위한 시안으로서 가 장 단순한 형태의‘순열’방법을 사용하여 제작했다. 163

〈그림 55〉 일본 식자 견본집. 정체, 사체, 평체 등을 비주얼 시스템적으로 볼 수 있는 디자인 프로그램의 대표적 예. 165

〈그림 56〉 〈Boite a musique(이미지참조)〉를 위한 서류 양식 디자인으로서 통합적 타이포그래피의 예를 보여준다. 168

〈그림 57〉 도형화되어 가는 일러스트레이션. 1. 협박을 가해 올 때, 2. 한 집안 식구도 조심, 3. 자전거 도난, 4. 창문 도난 등의 시립 경찰청 광고. 1952-53년. 173

〈그림 58〉 뮐러 브로크만의 작업실(Atelier)에서 만든 광고. 1.‘여러 가지 생각이 시끄럽게 들릴 때면...’2.‘메도민이 당신의 숙면을 도와준다.’3.‘부작용 없이 상쾌한 아침을 맞게 도와준다.’시각적인 일관성을 유지하면서‘심리적 수열 (Intuitional Sequence)’을... 174

〈그림 59〉 지면의 여건에 따라서 여러 형태의 광고가 가능하겠지만, 뮐러 브로크만의 광고 카피에는 논리적 수열이 있 었다. 1.‘스웨덴 창문은 보여준다.’2.‘스웨덴 창문은 스웨덴의 첫 크리스마스를 보여준다.’ 175

〈그림 60〉 Dynos사의 신재료를 위한 브로셔 디자인,"도노스의 부품은 견고한 재질과 뛰어난 내구성 그리고 손쉬운 사용 등으로 산업계에서 사랑받고 있습니다.”라는 카피와 함께 조형적인 부품을 시각 요소로 활용한 작품이다. 176

〈그림 61〉 뮐러 브로크만이 최초로 디자인한 〈장미의 도시, 취리히 호수의 라퍼스빌로 오세요〉 포스터. 1937년, 장미사 진은 Werner Bischof가 촬영했다. 177

〈그림 62〉 취리히 헬름하우스에서 개최한 〈너의 집, 이웃, 고향〉전을 위한 판넬 작업. 2. 취리히 헬름하우스에서 있 었던 〈아피아에서 오늘까지〉전의 포스터 디자인 1949년. 구성주의적 스타일을 활용한 일러스트레이션. 178

〈그림 63〉 헤르베르트 바이어 (Herbert Bayer)의 〈칸딘스키 60주년 기념 전람회〉를 위한 포스터. 1926년. 181

〈그림 64〉 막스 빌의 〈흑인미술(Negerkunst)〉 전시회 포스터. 1931년. 이 전시회의 주제인‘흑인미술과 남아프리카 선 사시대의 암석 회화’는 포스터의 오른쪽 밑 레이블에 있는 텍스트로만 알 수 있을 뿐이다. 디자인은 기하학적인 형태로 만들어졌을 뿐 아니라 기하학적인... 181

〈그림 65〉 오를 아이햐(Otl Aicher) 〈울름 시민대학 목요강좌〉 포스터. 1955년. 그는 울름시로부터 위탁을 받아 시내 에서 하는 강연, 연주, 연극 등을 위한 포스터를 게시판과 함께 디자인했다. 아이햐의 포스터에는 정사각형과 원등을 이 용한 기하학적 형태가 많았고... 183

〈그림 66〉 얀 치홀트의 〈구성주의 작가 전시회〉 포스터. 1937년. 뉴 타이포그래피의 순수한 예로 보이는 이 포스터에 서 얀 치홀트는 전통적인 비례개념을 사용했다. 수평선 아래의 직사각형은 거의 황금비례(22:34) 사각형이다. 원은 반지 름만큼 포스터의 오른쪽 끝과... 184

〈그림 67〉 일본의 초기 구성주의 포스터들. 1. 카메쿠라 유사쿠의 〈니콘 카메라〉 포스터. 1955년. 2. 타나카 이꼬의 〈세계 상업 디자인전〉 포스터. 1959년. 3. 하라 히로무의 〈일본 타이포그래피 전시회〉 포스터. 1959년. 4. 고노 다카시의 〈세계 그래픽 디자인 전시회〉... 190

〈그림 68〉 스기우라 고헤이(杉浦康平) 구성주의 작품들. 1. 〈동경현대 음악제〉를 위한 포스터 1960년. 2. 〈세계 디자인 회의〉를 위한 포스터. 1960년. 192

〈그림 69〉 1. 김교만의 구성주의적 요소들을 활용한 일러스트레이션. 2. 김교만의 〈Korea 포스터〉를 위한 일러스트레이 션. 3. 김교만의 구성주의적 패턴을 활용한 〈Korea 포스터〉. 194

〈그림 70〉 〈소음 줄이기〉 포스터 시리즈 사진에 일러스트레이션을 함께 사용하여 포스터를 디자인했다. 1960년. 197

〈그림 71〉 1. 거리에서 어린이들을 보호하라. 2. 어린이들 보호하자. 3. 수신호와 조심=안전 포스터 4. 조심=안전 5. 추 월? 망설여질 때는 하자 마라! 6. 자전거 조심 포스터 198

〈그림 72〉 1953 취리히 공예미술관에서 열린〈국제 포스터 전시회, PLAKAT〉 Warja honegger-Lavater가 디자인한 L 과 Gerard Miedinger의 K는 기하학적 글자로서 Hans Falk의 P와 대조를 이룬다. Adolf Fluckiger의 A는 익명의 스타일 을 보여준다. 뮐러 브로크만은... 199

〈그림 73〉 1. 프리멜 스트라우스(Friedel Strauss)의 소설 〈요리하는 총각(1952년)〉에서 뮐러 브로크만은 매우 표현적인 기법의 일러스트레이션을 구사했다. 2. 디자인 전시회 포스터. 3. 음악회 포스터. 디자인 전시회 및 음악회 포스터를 위한 일러스트레이션에서는... 208

〈그림 74〉 〈뉴 타이포그래픽 스타일(New Typographic Style)의 포스터〉. 고전적인 포스터와는 구별되는 것으로서 〈뉴 타이포그래피〉의 원칙을 적용한 포스터 스타일이지만 음악회 포스터로서 고지(告知)외에는 어떠한 기능적인 면도 없다. 209

〈그림 75〉 1951년과 1952년에 디자인된 〈취리히 음악당을 위한 시리즈〉 포스터. 시각적인 요소로서 기하학적인 패턴이 등장 하지만 구성 및 구체주의에서 추구하는‘질서가 있는 기하학적 패턴’은 아니었다. 브로크만은 1953년부터 〈유기 체적 포스터〉를 디자인했다. 210

〈그림 76〉 〈구체미술 스타일(Concrete Art Style) 포스터〉. 기하학적이고 유기체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뮐러 브로크만은 〈구체미술 스타일의 포스터〉에서는 기하학 도형을 수학적인 방법론으로 구성했다. 1953년. 213

〈그림 77〉 막스 빌의 〈원으로부터 생성된 드로잉〉 1932년. 214

〈그림 78〉 막스 빌의 〈원으로부터 생성된 드로잉〉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뮐러 브로크만의 포스터. 1. 〈구체미술 스타일 (Concrete Art Style)의 공연 포스터〉. 1951년. 2. 〈전시회 포스터〉. 1986년. 214

〈그림 79〉 〈구체미술 스타일(Concrete Art Style)의 공연 포스터〉. 스타일은‘수학적으로 아름다운 것은 조형적으로 도 아름답다.’는 막스 빌의 조형 철학에 입각하여 시각적 요소를 엄격한 수학적인 수열에 근거하여 크기를 정하고 배치 하였다. 1957년. 215

〈그림 80〉 〈구체미술 스타일 (Concrete Art Style)의 공연 포스터〉. 1. 지름의 길이 그리고 원들 사이의 거리가 기하수열 을 이루는 4개의 원들을 이용한 포스터. 1958년. 2. 한 중심점으로부터 생성되는 여러 개의 반지름이 수열을 이루는 원 들을 이용하여 제작한 포스터.... 216

〈그림 81〉 1. 요소적 타이포그래피 스타일로 디자인한 뮐러 브로크만의 〈영화(1960)〉 포스터. 이 포스터는 점과 선 그 리고 면적 요소의 해석이 모두 가능하다. 2. 포스터에 사용된 그리드. 3. 포스터의 점적 요소. 4. 포스터의 선적요소. 5. 포스터의 면적 요소. 219

〈그림 82〉 〈요소적 타이포그래피 스타일(Style of Elementary Typography)〉 중 선적 요소를 활용한 포스터. 뮐러 브로 크만은 선적 그리드를 활용하여 음악적 음률을 표현했다. 220

〈그림 83〉 〈요소적 타이포그래피 스타일(Style of Elementary Typography)〉 중 선적 요소를 회전시켜 만든 포스터. 역 동적인 표현을 위하여 대각선 구도를 사용했지만 회전 방법은 직감에 의존했다. 221

〈그림 84〉 〈요소적 타이포그래피 스타일(Style of Elementary Typography)〉 중 선적 요소를 직감에 따라 음률적으로 표 현한 포스터. 요소적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에서는 구체미술 스타일과 같은 명확한 수학적 법칙은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음악회 포스터로서 주제와 내용에... 222

〈그림 85〉 〈요소적 타이포그래피 스타일(Style of Elementary Typography)〉 중 점적 요소를 활용한 포스터. 점적 요소 는‘musica viva’와 같이 포스터의 타이틀이 제한적일 때 사용했다. 뮐러 브로크만은 점적 요소를 활용한 포스터에서는 대칭이론을 활용했다. 223

〈그림 86〉 〈유기체적 스타일 의 포스터 로서(Organic Style)〉 하나의 마스터 그리드(Master Grid)가 완성되면 다양한 변화 (Variation)가 가능하다. 유기체적 스타일은 대개 면적 요소와 순열(Permutation)적 방법을 활용했다. 225

〈그림 87〉 〈유기체적 스타일(Organic Style)의 포스터〉로서 이러한 유기체적인 스타일은 기하학적인 보편성 때문에 포스터 뿐 만 아니라 전시장 디자인과 광고디자인에도 활용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유기적인 스타일은 내용의 전달보다는 유희적인 요소로 많이 활용되었다. 226

〈그림 88〉 취리히 오페라 하우스를 위한 〈유기체적 스타일(Organic Style)의 포스터〉 시리즈로서 〈Poster in Poster〉의 형식으로 디자인되었다. 227

〈그림 89〉 〈실험적 타이포그래피 스타일(Experimental Typographic Style)〉의 포스터로서 타이포그래피를 도형(사각형, 원, 삼각형)화 시켜서 디자인한 포스터(맨 아래)와 가상 그리드. 1979년. 229

〈그림 90〉 〈실험적 타이포그래피 스타일(Experimental Typographic Style)〉의 포스터로서 기하학적 도형이 타이포그래피 의 보조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포스터(맨 아래)와 가상 그리드. 1994년. 230

〈그림 91〉 〈실험적 타이포그래피 스타일(Experimental Typographic Style)〉의 포스터로서 그리드가 밖으로 노출되어 그리드 자체가 시각적 요소 역할 뿐 아니라 타이포그래피의 가이드라인 기능을 동시에 담당하는 포스터. 231

〈그림 92〉 1950년대 이후 구성주의적이고 요소적인 방법론만을 사용했던 뮐러 브로크만의 포스터로서는 매우 예외적인 작품들이다. 공연의 내용을 부각시키기 위해서 일러스트레이션을 사용했다. 1. 〈Hans im Gluck의 Pitschiwaya로의 여 행〉. 1972년.... 232

〈그림 93〉 뮐러 브로크만의 매우 예외적인 포스터 스타일로 디자인 된 〈DADA 포스터〉. 이 포스터에서 뮐러 브로크만 은 안티쿠아(Antiqua)체를 사용했고 직관적인 방법으로 디자인 했다. 1994년. 232

〈그림 94〉 칼 게르스트너가 디자인한 320 페이지의『오늘의 가이기(Geigy heute)』가 가이기(Geigy) 200주년 기념으로 출간되었다. 1958년. A4의 3분의 2크기인 정사각형 형태로서 검정색으로 활판 인쇄되었고, 부분적으로 특별한 색상도표를 사용했고 16 페이지는 칼라 인쇄되었다.... 235

〈그림 95〉 오더매트가 디자인한 〈노이엔부르거(Neuenburger) 보험회사를 위한 리플릿 디자인〉. 1960년. 동일한 디자인 으로 만든 〈총합적 디자인〉의 예이다. 전체 헤드라인은‘당신과 역경 사이에 노이엔부르거 보험회사가 있습니다.’이다. 1. 물: 물속의 활자를 확대하여 물의... 237

〈그림 96〉 윈도우 헤더는 여러 가지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것은 타이틀을 나타낼 수 있는 공간이고, 드래그를 위한 영역이기도 하고 활성화된 상태를 표시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최대한의 레버리지(Leverage) 효과를 추구하는 것인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원칙인데... 239

〈그림 97〉 디지털기기를 위한 화면 디자인에서도 스위스의 구성주의 디자인 및 뮐러 브로크만의 〈요소적 타이포그래피 스타일의 포스터〉를 위한 디자인 원칙이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일정한 그리드 하에서(규칙화) 최소한의 시각적 요소(간략화)의 반복적인 사용... 2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