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요약 6
I. 서론 10
II. 동심중성선 순환전류발생원인 및 현황 12
2.1 순환전류 발생원인 12
2.2 순환전류에 의한 문제점 13
2.3 현장 측정값 14
2.4 동심중성선 순환전류에 따른 케이블 온도상승 17
2.5 동심중성선 제거에 따른 케이블 온도 변화 17
III. 해결방안 25
3.1 기설치된 시설 25
3.2 신증설 시설 27
IV. 동심중성선 순환전류 제거에 따른 효과 28
4.1 손실전력계산 28
4.2 케이블 이용률 증대에 따른 설치비 절감액 추정 30
4.3 케이블의 배전용량 감소 요인 31
4.4 전력 케이블의 허용전류 계산 32
4.5 기대효과 계산 적용자료 41
4.5.1 2005년 한국전력공사 주요통계 41
4.5.2 배전손실전력 42
V. 본기술 적용시 문제점 유무검토 43
5.1 차폐층 허용전압기준 43
5.2 차폐층 전압 상승 계산방식 검토 43
5.3 정삼각형 배치시 A,B,C상 차폐층 유기전압 (300m 기준) 45
5.4 요람 배열시 차폐층 유기전압 47
5.5 케이블 시스에 발생하는 서지 전압 49
5.6 유도장애 검토 50
5.6.1 정전유도 50
5.6.2 전자유도 51
5.6.2.1 불평형 부하전류에 의한 유도장애 검토 53
5.6.2.2 1선지락 고장에 의한 유도장애 검토 55
VI. 결론 65
참고문헌 66
ABSTRACT 67
감사의 글 69
그림 2-1 현재의 공급계통 12
그림 2-2 전력구 CNCV 케이블 구조 및 포설 14
그림 2-3 실제측정 도면 및 측정값 15
그림 2-4 전류 및 유기전압 측정 지점 (현 상태) 18
그림 2-5 전류 및 유기전압 측정 지점 (중성선 개방상태) 20
그림 3-1 기설치된 시설 26
그림 3-2 신증설 시설 27
그림 5-1 3상단락시 동심중성선 전류 흐름도 46
그림 5-2 전자유도 51
그림 5-3 기존의 동심 중성선 일괄 공동접지 방식 전기흐름 53
그림 5-4 비일괄 공동접지방식의 전류흐름도 54
그림 5-5 3상 일괄공동접지시 지락전류 흐름 55
그림 5-6 등가회로 56
그림 5-7 요약 등가회로 56
그림 5-8 b상 지락시 (a상 지락의 경우도 동일함) 59
그림 5-9 등가회로 59
그림 5-10 c상 (동심 중성선으로 사용) 지락시 61
그림 5-11 등가회로 61
사진 2-1 전류 및 유기전압 측정 (현 상태) 19
사진 2-2 전류 및 유기전압 측정 (중성선 개방상태) 21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