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11

1. 서론 13

가.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나.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5

2. 라파엘 모네오 건축에 대한 이론적 고찰 18

가. 라파엘 모네오의 건축 활동 18

나. 라파엘 모네오 건축의 형성배경 22

1) 지리적 배경 22

2) 사회적 배경 25

3) 인문적 배경 26

다. 라파엘 모네오 건축에 대한 인식 27

1) 교육 철학과 강의 27

2) 계획방법과 계획 의도 30

3) 공간의 조합과 빛 31

3. 라파엘 모네오 건축구성의 특성 32

가. 역사와 과거의 차용 32

1) 공간 개념의 차용 34

2) 입면 개념의 재해석 35

3) 장소성과 맥락 이해 39

나. 현대건축과 동시대 건축가에 대한 이해 44

1) 건축이론과 무작위성 44

2) 의도들의 독해 45

3) 동시대 건축가들과의 관계 46

다. 건축 문법의 개념 47

1) 벽과 빛의 조합 47

2) 외피와 재료에 대한 개념 49

3) 구조 프레임과 재료에 대한 개념 50

4. 라파엘 모네오 90년대 전·후 작품의 형태 구성 분석 55

가. 사례 선정 및 사례의 일반적인 건축특성 분류 55

나. 역사와 타 건축가 어휘의 재해석을 통한 구성의 특성 56

1) 뮬시아 시청 증축 (City Hall Extension Murcia) 56

2) LA 대성당 (Our Lady of Angels Cathedral) 60

다. 건축문법을 통한 구성의 특성 65

1) 휴스턴 미술관 증축(Museum of Fine Arts, Houston) 65

2) 바르셀로나 뮤직센터 ('L'Auditori' Music Centre) 69

라. 장소성과 맥락을 통한 구성의 특성 74

1) 로마 미술 박물관 (The National Museum of Roman Art) 74

2) 미로 재단 (Miro Foundation) 78

3) 커살 오디토리움 (Kursaal Auditorium) 82

마. 분석의 종합 88

5. 결론 90

참고문헌 92

(Abstract) 94

[표 1/2] 라파엘 모네오 건축 활동 연대기 18

[표 2/3] 라파엘 모네오의 연도별 작품목록 20

[표 3] 대표적인 스페인 건축가의 경향분류 24

[표 4] 스페인의 모더니즘적인 지역주의 건축의 특성 25

[표 5/6] 중심공간을 통한 주요 프로그램의 배치 34

[표 6/7] 성당의 유형으로서 외부 공간과의 연계 35

[표 7/8] 내부표피와 외부 표피의 비교 37

[표 8/9] 스크린 파사드의 비교 38

[표 9/10] Miro(이미지참조) Foundation과 La Tourette 수도원의 외부 형태와 요소들 비교 38

[표 10/11] 고전적 개구부의 형태와 프로그램상의 결합 43

[표 11/12] 라파엘 모네오의 작품과 Aalto의 작품의 비교 43

[표 12/13] 동시대 건축가들과 관계 유추 47

[표 13/14] 건물의 외피를 인지 가능한 집합체로 보는 외피개념 49

[표 14/15] 라파엘 모네오 작품에 나타난 역사적 건축 작품의 연계성 53

[표 15/16] 라파엘 모네오 작품에 나타난 건축문법과의 연계성 54

[표 16/17] 뮤리카 시청 증축 개요 56

[표 17/18] 뮤시아 시청에서의 건축구성 요소 59

[표 18/19] LA 대성당의 개요 60

[표 19/20] LA 대성당과 라파엘 모네오의 건축구성 요소와의 관계 64

[표 20/21] 휴스턴 미술관의 개요 65

[표 21/22] 휴스턴 미술관과 라파엘 모네오의 건축구성 요소와의 관계 68

[표 22/23] 바르셀로나 뮤직센터의 개요 69

[표 23/24] 바르셀로나 뮤직센터와 라파엘 모네오의 건축구성 요소와의 관계 73

[표 24/25] 로마 아트 미술관 개요 74

[표 25/26] 로마 아트 미술관과 라파엘 모네오의 건축구성 요소와의 관계 76

[표 26/27] 호안 미로 재단 개요 78

[표 27/28] 미로재단과 라파엘 모네오의 건축구성 요소와의 관계 81

[표 28/29] 커살 오디토리움 개요 82

[표 29/30] 커살 오디토리엄과 라파엘 모네오의 건축구성 요소와의 관계 87

[그림 1] 연구의 진행도 17

[그림 2] 라파엘 모네오 19

[그림 3] Sir John Soane Museum의 상부 랜턴 21

[그림 4] Kahn의 Kimbell 미술관 상부 램프 21

[그림 5] 스페인의 지역 23

[그림 6] Bankinter Building, 1973 23

[그림 7] Jørn Utzon의 Bagsvaerd Church 27

[그림 8] Erik Bryggman의 Turku Chapel 27

[그림 9] 현대건축론 강의 다이어그램 28

[그림 10] Kahn의 Yale Art gallery 29

[그림 11] Torre Velasca의 BBPR, Milano 29

[그림 12] Venturi의 London National Gallery, Sainsbury Wing 29

[그림 13] 계획의 방법 30

[그림 14] Miro foundation의 빛과 설화석고벽 31

[그림 15] LA 성당의 빛과 설화석고 벽 31

[그림 16] 스톡홀름 미술관의 빛의 확산 31

[그림 17] Zocalo 35

[그림 18] Kursaal의 입면구성과 디테일 36

[그림 19] Kursaal의 배치와 주변 맥락과의 관계 36

[그림 20] Cacerta Palace 36

[그림 21] 잠재성의 개념과 맥락 40

[그림 22] Museo de Arte Romano의 주변맥락도시 맥락에 대한 연결과 기존 고적에 대한 이해 42

[그림 23] Museo de Arte Romano의 기존 고적에 대한 보존과 기억 유형학 42

[그림 24] Kursaal Auditorium의 전경 42

[그림 25] LA 성당의 수직내력벽과 빛을 흘러내리는 벽면 48

[그림 26] Miro Foundation의 밀랍색의 내부 벽면 48

[그림 27] LA 성당의 Barogue 의 빛에 대한 개념 48

[그림 28] Barcelona Concert Hall의 반복적인 질서와 변형을 만들어내는 프레임 50

[그림 29] Kursaal의 격자 프레임의 변형 50

[그림 30] Museo de Arte Romano의 보강 콘크리트 조인트 부분 과 로마식 벽돌 켜 51

[그림 31] Kursaal의 철골 거더의 표면 투과 51

[그림 32] Murica Town Hall의 장면의 틀에 대한 측면 51

[그림 33] 라파엘 모네오 건축의 구성 흐름의 분류 52

[그림 34] Murcia city hall과 주변 맥락의 위치 56

[그림 35] Murcia city Hall과 광장과의 관계 57

[그림 36] Murcia city Hall에서의 광장의 전경 57

[그림 37] Murcia city Hall의 이중 파사드와 발코니의 관계 57

[그림 38] Murcia city Hall 입면과 사무실의 구성 58

[그림 39] Murcia city Hall의 전면 파사드의 리듬감 58

[그림 40] Murcia city Hall의 구성 흐름 60

[그림 41] LA대성당의 전경 61

[그림 42] 대성당의 지형에 따른 위계 61

[그림 43] 대성당의 광장과 건물들과의 관계 61

[그림 44] 내부의 십자가형의 창 62

[그림 45] 설화석고벽 스크린을 통해 걸러진 빛 62

[그림 46] 성당 내부의 빛의 확산 63

[그림 47] 성당 내부의 벽의 분절 63

[그림 48] LA 대성당의 구성 흐름 65

[그림 49] 휴스턴 미술관의 배치와 미스의 미술관 66

[그림 50] 휴스턴 미술관의 배치와 기본 건물들의 위치 66

[그림 51] 휴스턴 미술관 입구의 개방성 66

[그림 52] 미술관 인지의 부재 67

[그림 53] 휴스턴 미술관의 지붕 파빌리온을 통한 조밀성의 표현 67

[그림 54] 지붕 파빌리온으로부터 빛의 침투와 확산 67

[그림 55] 파빌리온을 통한 불규칙한 스카이라인의 정리 68

[그림 56] 휴스턴 미술관의 구성 흐름 69

[그림 57] 콘서트홀의 전경 70

[그림 58] 중심 공간과 로비 70

[그림 59] 알루미늄 패널과 콘크리트 프레임 70

[그림 60] 중심회합공간과 두개의 콘서트홀 71

[그림 61] 진입광장의 유리 상자 72

[그림 62] 콘서트홀 내부 72

[그림 63] 베를린 필하모직(위) 보스턴 필하모닉(아래) 72

[그림 64] 입면 골조프레임의 기하학적 리듬 73

[그림 65] 바르셀로나 뮤직센터의 구성 흐름 74

[그림 66] 과거의 흔적과 맥락 75

[그림 67] 아치와 원근화법 75

[그림 68] 건축 시스템과 빛과 통로의 관계 75

[그림 69] 로마미술 박물관의 구성 흐름 77

[그림 70] 미로재단의 형태와 주변맥락 79

[그림 71] 내부 정원의 형태와 건물 배치 79

[그림 72] 수공간의 개념 80

[그림 73] 내부에서 외부로의 시선 80

[그림 74] 갤러리부분의 형태 80

[그림 75] 미로재단의 구성 흐름 82

[그림 76] Kursaal의 전경 83

[그림 77] Kursaal의 주변 환경과 배치도 83

[그림 78] Kursaal과 우르메아 강과의 관계 84

[그림 79] Kursaal의 독립된 동선체계 84

[그림 80] Kursaal의 입면 표현과 이중외피의 상세 85

[그림 81] 미로재단의 구성 흐름 86

[그림 82] 라파엘 모네오 작품의 구성 흐름도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