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國文秒錄)

목차

I. 서론 9

II. 문인화의 개요 11

1. 문인화의 기원 11

2. 문인화의 시대적 변천과 특성 13

1) 중국 문인화의 특성 13

2) 한국 문인화의 특성 16

III. 문인화에 나타난 십군자 18

1. 한·중의 시대적 변화에 따른 문인화의 흐름 18

2. 십군자의 상징적 의미 26

3. 한·중의 십군자 작품 비교 분석 41

IV. 결론 103

참고문헌 105

도판목록 107

ABSTRACT 110

그림목차

도판 1. 왕면 (묵매도), 원대, 비단에 먹, 113.2×49.8m, Metropolitan Museum of Art, New York. 41

도판 2. 진헌장, (만옥도), 16세기, 비단에 수묵, 156×106cm,개인소장 42

도판 3. 어몽룡, (월매도), 조선중기, 비단에 수묵, 119.2×53cm, 국립중앙박물관소장 43

도판 4. 신사임당, (고매첩), 종이에 담채, 36.4×52.5cm,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소장 45

도판 5. 매창 이부인, (월매도), 종이에 담채, 28×39.5cm,개인소장 45

도판 6. 조희룡, (홍매대련도), 19세기중엽, 종이에 수묵담채, 각 145×42.2cm, 46

도판 7. 허유, (묵매), 액자 종이에 수묵,54.9×31cm, 고려대학교박물관소장 48

도판 8. 설창보명,(란석도), 원대, 비단에 먹, 97.2×54.5cm, 일본개인소장 49

도판 9. 정섭, (란죽석도), 종이에 먹, 127.8×57.7cm 북경고궁박물원. 50

도판 10. 김정희, (불작란도),종이에 먹, 55×30.6cm, 한국개인소장 52

도판 11. 민영익, (묵란), 19세기후반, 족자종이에 수묵, 132×58cm, 한국개인소장 53

도판 12. 제백석, (국화방해도) 1952. 55

도판 13. 추일계, 청,(국화도), 56

도판 14. 정선, (추일한묘), 견본채색 , 20.8×30.5cm, 57

도판 15. 심사정, (국화), 대련, 21×15.5cm, 개인소장 58

도판 16. 심사정, (유향), 27×22cm, 개인소장 58

도판 17. 강세광, (국죽석도), 종이에 수묵, 28.8×33.5cm, 고려대학교박물관소장 60

도판 18. 문동, (묵죽도), 북송약1070, 비단에 먹, 132.6×105.4cm, 대북고궁박물관 61

도판 19. 정섭, (우후신황도), 1753, 종이에 수묵,120×23&m, 개인소장 63

도판 20. 이정, (설죽), 비단에 수묵, 148.8×69.8m, 국립중앙박물관소장 65

도판 21. 민영익, (필묵죽도), 128×55cm, 국립중앙박물관소장 66

도판 22. 하규, (관폭도), 남송, 비단에 체색, 24.7×25.7cm, 대북고궁박물원 68

도판 23. 이방응, (오송도), 수묵담채, 160.2×89.0cm 69

도판 24. 오창석, (쌍송), 1908, 185.7×48.2cm 70

도판 25. 김정희, (세한도), 1844, 종이에 먹, 108.3×23.3cm, 손창근 소장 72

도판 26. 김홍도,(송하취생도), 종이에 담채, l09×55cm, 고려대박물관소장 73

도판 27. 서위, (묵포도도), 종이에 먹, 166.3×64.5cm, 북경고궁박물원. 75

도판 28. 황집중, (묵포도도), 35×30cm, 국립중앙박물관소장 76

도판 29. 신사임당, (포도도), 1504, 견본수묵, 31.5×21.7cm 77

도판 30. 이계우, (포도도), 17세기, 종이에 담채, 29.9×45.3cm, 간송미술관소장 79

도판 31. 주탑, (안만첩), 1694, 종이에 수묵, 31.7×27.5cm, 천옥박물관 80

도판 32. 오창석, (목단목연도), 1924, 종이에 담채, 136.5×67.5cm, 일본개인소장 81

도판 33. 이상범, (화분절기〉중 일부, 1960, 종이에 수묵담채, 각126.2×32cm, 개인소장 82

도판 34. 김기창, (목연), 1966, 지본, 51×42cm, 작가소장 83

도판 35. 장승업, (기혈절기도), 지본담채, 110.9×46cm, 국립중앙박물관소장 84

도판 36. 운수평, (화분산수합책), 1672, 종이에 채색, 28.5×43cm, 대북고궁박물원 86

도판 37. 제백석, (목단), 1957. 87

도판 38. 허유, (괴석목단도), 19세기, 종이에 수묵, 102.5×36.2cm, 88

도판 39. 허유, (묵모단도), 1857, 종이에 수묵, 9036cm, 국립박물관. 88

도판 40. 남계우, (화접도), 19C, 비단채색, 27×27cm, 호암미술관소장 90

도판 41. 이선, (초죽도), 1734, 종이채색, 195.8×104.7cm, 북경고궁박물원 91

도판 42. 임이, (오창석상), 1988, 종이에 채색, 129×58.9cm, 철강성박물관 92

도판 43. 김홍도, (봉래선경), 지본담채, 30.5×23.3cm, 93

도판 44. 김홍도, (월하취생), 지본담채, 27.8×23.2cm, 94

도판 45. 정조대왕, (파초), 1777-1800, 지본수묵, 84.6×51.5cm, 동국대박물관 95

도판 46. 제백석, (하화도), 1924, 종이에 채색, 182×96cm , 상해박물관 96

도판 47. 제백석, (잔화), 1937년경. 96

도판 48. 주탑, (연지소금도), 1690, 종이수묵, 37.5×330.2cm, 신시내티미술관 97

도판 49. 심사정, (수금문향), 1707-1769, 지본담채, 21.1×27.2cm 98

도판 50. 심사정, (연지쌍압도), 조선18세기, 비단수묵담채, 145×73cm. 99

도판 51. 장승업, (연화도), 19세기, 종이에 수묵채색, 118.1 × 31.0cm. 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