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요약

감사의 글

목차

Ⅰ. 서론 14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1.2. 연구 내용 및 방법 16

Ⅱ. 웹을 활용한 영어교육의 이론적 배경 18

2.1. 웹 기반 영어교육의 활용 가능성·특징·유형 18

2.1.1. 영어 교수-학습에서의 웹 활용 가능성 18

2.1.2. 웹을 활용한 영어교육의 특징 22

2.1.3. 웹을 활용한 영어교육의 유형 25

2.2. 교육용 웹 사이트의 평가 30

2.2.1.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의 개념과 유형 30

2.2.2.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요소 34

2.2.3.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 기준 디자인 개발의 필요성 38

Ⅲ. 국내외 인터넷 웹 사이트 평가 기준 분석 42

3.1. 국내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 기준 분석 42

3.1.1.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 기준 42

3.1.2. 김미량(2003)의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 기준 44

3.1.3. 손영남·김갑수(1999)의 교육용 웹 사이트의 평가 기준 45

3.2. 국외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 기준 분석 46

3.2.1. Kotlas(1997)의 교육용 인터넷 웹 사이트 평가 기준 46

3.2.2. BECTa의 교육용 인터넷 웹 사이트 평가 기준 47

3.2.3. MacLachlan(1996)의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 기준 49

Ⅳ.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 평가 기준 디자인 개발 53

4.1. 연구대상 53

4.2. 최적절 평가 기준 디자인 개발 54

4.2.1. 예비 평가 기준 디자인 개발 54

4.2.2. 예비 평가 기준 디자인 검증 55

4.3. 자료 분석 및 결과 56

4.3.1. 설문 대상자의 인터넷 사용 56

4.3.2. 평가 기준 디자인의 영역 및 문항 57

4.4. 개발된 최적절 평가 기준 디자인 검증 60

4.4.1.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 평가 기준 디자인 타당도 60

4.4.2.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 평가 기준 디자인 신뢰도 68

4.5. 개발된 평가 기준 디자인에 따른 웹 사이트 평가 69

4.5.1. 영어교육내용 영역 70

4.5.2. 교수-학습 상호작용 영역 74

4.5.3. 교육자료 관리 영역 76

4.5.4. 학습자 고려 영역 79

4.5.5. 디자인 영역 82

4.5.6. 사용의 용이성 영역 84

Ⅴ. 결론 및 제언 88

참고문헌 91

부록 97

〔부록 1〕〈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 평가 기준 개발을 위한 설문지〉 97

〔부록 2〕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 평가 기준 디자인 101

ABSTRACT 103

표목차

〈표 1〉 웹 활용 수업의 유형 26

〈표 2〉 Hannahfin & Peck(1998)의 컴퓨터 교육소프트웨어 특성 35

〈표 3〉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웹 사이트 평가요소 43

〈표 4〉 김미량의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기준 45

〈표 5〉 손영남·김갑수의 웹 사이트 평가기준 46

〈표 6〉 Kotlas의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기준 47

〈표 7〉 BECTa의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기준 48

〈표 8〉 MacLachlan(1996)의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기준 50

〈표 9〉 선행 연구의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기준에 대한 종합적 분석 51

〈표 10〉 설문 대상자의 성별, 직무별, 연령별 분포 53

〈표 11〉 인터넷 사용에 대한 일반적인 배경 분석 결과 56

〈표 12〉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 평가 기준 디자인: 1차 개발 디자인 58

〈표 13〉 표본화 적합성 측도(MSA)가 낮아서 제외된 변수 61

〈표 14〉 1차 요인분석 결과 62

〈표 15〉 2차 요인분석 결과 64

〈표 16〉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 평가 기준 디자인: 최종 디자인 67

〈표 17〉 요인별 Cronbach's α 계수 산출 결과 69

〈표 18〉 영어교육 내용영역 평가 결과 71

〈표 19〉 교수-학습 상호작용 영역 평가 결과 74

〈표 20〉 교육자료 관리영역 평가 결과 77

〈표 21〉 학습자 고려영역 평가 결과 80

〈표 22〉 디자인영역 평가 결과 82

〈표 23〉 사용의 용이성영역 평가 결과 85

〈표 24〉 MacLachlan(1996)의 웹 사이트 평가 점수별 판정기준 87

그림목차

〈그림 1〉 1차 요인분석의 스크리 도표 63

〈그림 2〉 사이트 A의 영어문화권 뉴스를 제공하는 화면 72

〈그림 3〉 사이트 B의 만화를 통한 영어 학습 제공 화면 73

〈그림 4〉 사이트 A의 질문을 하고 피드백을 받는 게시판 제공 화면 75

〈그림 5〉 사이트 B의 영어에 대한 정보를 나눌 수 있는 공간 페이지 화면 76

〈그림 6〉 사이트 A의 영어 듣기·말하기·쓰기·읽기 영역의 연계학습 화면 78

〈그림 7〉 사이트 A의 TETE 방식을 사용한 영어 게시판 화면 78

〈그림 8〉 사이트 B의 고등학교 영어 듣기 기출문제 화면 79

〈그림 9〉 사이트 A의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단계별로 나누어진 학습내용 화면 80

〈그림 10〉 사이트 B의 문제 해결을 위한 충분한 설명 제공 화면 81

〈그림 11〉 사이트 A의 첫 화면 83

〈그림 12〉 사이트 B의 첫 화면 84

〈그림 13〉 사이트 A의 다운로드의 용이성을 보여주는 화면 85

〈그림 14〉 사이트 B의 다운로드의 용이성을 보여주는 화면 86

초록보기

정보를 효율적으로 수집, 분석, 종합하여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새로운 정보를 창출해낼 수 있는 능력이 중시되는 지식정보사회에서는 전 교과에 걸쳐서 교수-학습 방안의 하나로 멀티미디어, 인터넷 등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웹 이라는 거대한 정보기반과 인터넷이 제공하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이루어지는 학습 자료의 제공은 특히 멀티미디어 사용이 영어교과에서는 필수적이며 매우 효율적이라는 측면을 고려해 볼 때 그 유용성과 효과는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그러나 실제로 모든 웹 사이트들이 그러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질적인 검증 없이 양적으로만 팽창을 거듭해온 교육용 웹 사이트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영어교육에 있어서 웹 사이트의 활용도가 매우 높은 이 시점에서 과연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웹 사이트가 교육적 가치를 포함하는지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양적으로 증가한 교육용 웹 사이트들에 대해 질적인 평가 기준을 만들어 교수-학습 측면에서 우수한 양질의 웹 사이트를 선별하여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특히 교육용 웹 사이트 중에서도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를 평가하기 위한 평가 기준 디자인을 개발하여 교육적으로 가치 있는 웹 사이트를 판별한 후 양질의 사이트가 교수-학습에 활용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의 설계 및 개발, 수정 및 업그레이드 시에 필요한 기준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실행된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 평가 기준 디자인의 개발을 위해 국내외의 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 기준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검토ㆍ분석하여 제7차 영어과 교육과정상의 목표를 반영한 예비 영어교육용 웹 사이트 평가 요소를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요소들을 참고로 하여 3개영역,8개 기준, 총 45개의 문항의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 평가를 위한 최적절한 예비 평가 기준 디자인을 구성하였다. 이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SPSS Version 12.0을 이용하여 주성분분석법을 적용해 고유값(Eigen value)이 1.0 이상인 요인을 추출하였고, Varimax 회전방식을 사용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내적일치성 신뢰도의 하나인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 기준 디자인의 타당도 검증은 제작된 평가 기준 디자인이 측정하고자 하는 사이트의 구인을 어느 정도 제대로 측정하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구인타당도를 이용하였다. 이에 따라 45개 문항을 대상으로 KMO 측도를 산출한 후, 요인분석으로 부적절한 변수를 제거하고 1차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31문항,9개 요인이 추출되었다.1차 요인분석에서 산출된 스크리 도표로부터 요인수를 6개로 정하고,2차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31문항,6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최종적으로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사이트 평가 기준 디자인의 영역은 영어교육내용 영역, 교수-학습 상호작용영역, 교육자료 관리영역, 학습자고려 영역, 디자인 영역, 사용의 용이성 영역까지 6개 요인이며 총 3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양질의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영어교육내용 영역, 교수-학습 상호작용 영역, 교육자료 관리영역, 학습자고려 영역, 디자인 영역, 사용의 용이성 영역에서 웹 사이트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개발된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 평가 기준 디자인의 신뢰도는 Cronbach'sα=0.901로서 매우 높은 신뢰도를 나타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 평가 기준 디자인은 고등학교 영어교과에서 교육적으로 가치 있는 사이트를 선정하는 기준을 제공함으로써 인터넷 웹 사이트의 교수-학습 자료로서의 교육적 가치를 높이고, 나아가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의 설계 및 개발, 수정 및 업그레이드 시 그 기준을 마련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를 제안하고자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 평가 기준 디자인은 고등학교 영어교사들이 질 높은 학습을 위한 영어 정보를 제공하는 웹 사이트를 선별하여 교육현장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실질적인 교육의 수요자인 학습자들의 경우 웹 사이트를 판단하는 기준이 교사들과는 다를 것이다. 따라서 학습자들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여 학습자가 양질의 영어 교수-학습을 위한 웹 사이트를 선정하는 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