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7

제2장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역사와 교수법 9

2.1. 구한말의 영어교육(1883―1910) 9

2.1.1. 관립 영어 학교 10

2.1.2. 사립 영어학교 13

2.1.3. 적용된 교수법 16

2.2. 일제시대의 영어교육(1911―1945) 17

2.2.1. 중등학교 18

2.2.2. 고등 교육기관 18

2.2.3. 적용된 교수법 21

2.3. 해방이후의 영어교육(1945―현재) 22

2.3.1. 교수요목시기(1946-1954) 22

2.3.2. 제1차 교육과정(1954―1963) 23

2.3.3. 제2차 교육과정(1963―1974) 25

2.3.4. 제3차 교육과정(1974―1981) 26

2.3.5. 제4차 교육과정(1981―1988) 28

2.3.6. 제5차 교육과정(1988―1992) 28

2.3.7. 제6차 교육과정(1992―1997) 29

2.3.8. 제7차 교육과정(1997―현재) 30

2.3.9. 적용된 교수법 31

제3장 언어학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주요 교수법 32

3.1. 구조주의 언어학과 청각구두법 32

3.1.1. 구조주의 언어학 32

3.1.2. 청각 구두법 34

3.2. 인지주의 접근법과 인지학습법 36

3.2.1. 인지주의 접근법 36

3.2.2. 인지학습법 38

3.3. 기능주의 입장과 의사소통 언어교수법 39

3.3.1. 기능주의 입장 40

3.3.2. 의사소통 언어교수법 42

제4장 발전적인 영어교육의 방향 46

4.1. 언어학적 세 관점의 통합적 교육 46

4.2. 개별화 교육 49

4.3. 우리나라 교육현실에 맞는 교수법의 개발과 적용 50

제5장 결론 52

참고문헌 54

ABSTRACT 58

초록보기

영어를 외국어로 학습하는 우리나라 영어교육 환경에서 유창한 영어실력을 기르는 것은 쉽지 않다. 학습자들은 장기간의 영어교육을 받고도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다. 이러한 부정적 결과는 시험 위주의 교육, 문법 번역식 교수법의 고수 등과 같은 그동안의 효과적이지 못하였던 영어교육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의사소통 기능의 중요성이 점점 강조되고 있는 현 영어교육에서는 이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현재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위치를 파악하고 발전적인 영어교육의 방향에 시사점을 얻고자, 우리나라에서 영어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그 역사를 우선 살펴 볼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주요 교수법인 청각구두법, 인지학습법,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을 각각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는 언어학의 입장에서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나아가야 할 영어교육의 방향을 제언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