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9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문제 13
II. 이론적 배경 14
1.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 학습에 대한 학습자 정의적 태도 14
2. 쓰기 지도 17
3. 수준별 교수법(Differentated Instruction) 24
4. 멀티미디어 활용 과제 해결을 위한 학습 전략(Learning Strategies) 27
III. 연구방법 30
1. 연구대상 30
2. 연구의 설계 30
3. 연구 기간 및 절차 30
4. 자료 수집 및 분석 31
5. 보충 형 멀티미디어 영어 쓰기 과제 개발 38
IV. 연구 결과 및 논의 53
1. 보충 형 멀티미디어 영어 쓰기 과제의 효과 53
2. 보충 형 멀티미디어 영어 쓰기 과제 유형에 대한 반응 58
3. 보충 형 멀티미디어 영어 쓰기 학습 전략 73
V. 결론 및 제언 78
참고문헌 81
ABSTRACT 85
부록 88
〈부록 1 - CAS(Computer Attitude Scale) 영역별 문항〉 88
〈부록 2 - 영어 쓰기 능력 사전 평가지〉 90
〈부록 3 - 영어 쓰기 학습 실태 및 CAS 사전 조사지〉 92
〈부록 4 - 영어 쓰기 능력 사후 평가지〉 95
〈부록 5 - 영어 쓰기 학습 흥미도 및 자신감 사후 설문지〉 97
〈부록 6 - 보충 형 멀티미디어 영어 쓰기 과제 실험 일지〉 99
〈부록 7 - 사후 심층 면담 내용〉 112
〈그림 1〉 Hot potatoes 6.0 설치 화면 39
〈그림 2〉 Daum cafe 글쓰기 게시판 41
〈그림 3〉 보고쓰기 43
〈그림 4〉 발음듣기 기능 실행 43
〈그림 5〉 정답 피드백 44
〈그림 6〉 오답 피드백 44
〈그림 7〉 퍼즐하기 정답확인 화면 44
〈그림 8〉 힌트 이용하기 44
〈그림 9〉 받아쓰기 메인 화면 45
〈그림 10〉 음성 듣기 실행 화면 45
〈그림 11〉 그림 묘사하기 메인 화면 46
〈그림 12〉 스크롤 바 이용 정답선택 46
〈그림 13〉 배열하기 메인 화면 46
〈그림 14〉 힌트 화면 46
〈그림 15〉 문장완성하기 메인 화면 47
〈그림 16〉 오답에 대한 피드백 47
〈그림 17〉 연결하기 메인 화면 48
〈그림 18〉 틀린 것 고쳐 쓰기 메인 화면 48
〈그림 19〉 이어질 내용 쓰기 메인화면 49
〈그림 20〉 정·오답 피드백 49
〈그림 21〉 바꿔 쓰기 메인화면 49
〈그림 22〉 메모 장에 저장한 글 49
〈그림 23〉 Daum cafe 게시판에 글쓰기 50
〈그림 24〉 Daum cafe 한줄 메모장에 글쓰기 51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 학습은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 학습을 유도한다는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나 모든 학습자가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 학습에 흥미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며 항상 긍정적인 학습의 결과를 나타낸다고도 할 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정의적 태도에 따라 멀티미디어 활용 학습의 효과와 그에 대한 반응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수정 고시된 교육과정에서 더욱 중시된 보충형 과제에 중점을 두어 초등 6학년 학습자들 간의 수준차가 가장 극심하게 나타나는 쓰기 영역에 멀티미디어 활용 영어 학습을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기본과정 이수를 위해서는 쓰기 영역에서 보충 학습이 더욱 많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수업 시간 내에서 이를 해결하기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멀티미디어 활용 학습의 장점을 살려 학습자가 스스로 수업 이외의 시간에 활용 가능한 보충형 과제를 제시함으로써 수준별 학습의 현실적 어려움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취지이다.
이에 따른 연구 문제는 첫째 컴퓨터 학습에 대한 태도에 따라 보충형 멀티미디어 영어 쓰기 과제의 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가, 둘째 컴퓨터 학습에 대한 태도에 따라 보충형 멀티미디어 영어 쓰기 과제 유형에 대한 반응 및 학습 전략은 어떻게 나타나는가이다.
연구의 진행을 위한 실험 대상은 서울 S초등학교 6학년 학생 중 영어 쓰기 학습 능력이 하위 수준에 속하는 학생 30명이다. 실험을 위해 보충형 멀티미디어 영어 쓰기 과제를 직접 개발하였으며, 고안된 과제는 방과 후 일주일에 2시간씩 4주간 실험 대상 학생들에게 CD-ROM 및 인터넷 게시판을 통해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자율적으로 과제를 선택하여 해결한 후 과제에 대한 소감 및 느낌, 사용한 학습 전략 등을 사후 설문지와 심층 면담을 통해 의견 제시하였다. 또한 사전, 사후 영어 쓰기 성취도 및 흥미도, 자신감 검사를 통해 보충형 멀티미디어 영어 쓰기 과제의 효과는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SPSS 15.0(영문)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객관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습자의 컴퓨터 학습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기 위한 객관적인 평가 척도로서 CAS(Computer Attitude Scale)를 사용하였다. CAS 점수가 높을수록 학습자의 멀티미디어 활용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가 긍정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데, 이는 컴퓨터 학습 자신감(Computer Confidence), 선호도(Computer Liking), 불안 정도(Computer Anxiety), 유용성(Computer Usefulness) 등 4가지 영역별 10문항씩 총 40문항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이다. 실험 대상 학생들의 이해도 및 현실적 요건을 고려하여 각 영역별 7문항씩을 선별하여 총 28문항을 사전 설문지를 통해 제시하였으며 실험 그룹 학생을 CAS 점수 상, 중, 하 그룹으로 나누어 결과를 분석하였다.
보충형 멀티미디어 영어 쓰기 과제는 Hot potatoes 6.0 프로그램과 인터넷 Daum Cafe 게시판을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무료 공개 소프트웨어인 Hot potatoes 6.0은 조작이 간단하여 과제를 쉽게 제작할 수 있고 글, 그림, 소리 등의 멀티미디어적 요소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터넷 Daum Cafe 게시판은 실험 대상 학습자들이 가장 많이 회원으로 가입해 있어 활용이 용이하고 쌍방향적인 의사소통의 통로로서 쓰기 과제를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컴퓨터 활용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상관없이 보충형 멀티미디어 영어 학습으로 인한 영어 쓰기 학습 성취도 및 흥미도, 자신감은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컴퓨터 활용 학습에 부정적 태도를 가진 학생일수록 영어 쓰기 학습 성취도 향상의 폭이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다양한 보충형 멀티미디어 영어쓰기 과제 해결의 경험을 통해 컴퓨터 활용 학습에 대한 학습자의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해감으로써 나타난 결과이다. 또한 컴퓨터 활용 학습에 긍정적인 학생은 영어 쓰기 학습 흥미도 및 자신감 측면에서 가장 높은 향상을 보였다.
둘째, 컴퓨터 활용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따라 선호하는 보충형 멀티미디어 영어 쓰기 과제 유형 및 학습전략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컴퓨터 활용 학습에 긍정적인 학생일수록 컴퓨터를 매개로 한 실제 의사소통적 글쓰기 및 자유 작문 유형을 선호하고, 컴퓨터 사용 기술을 이용하여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으며, 정의적 태도가 부정적인 학생일수록 즉각적인 피드백이 가능한 행동주의적 과제나 게임 형식의 과제를 선호하였다.
셋째, 컴퓨터 활용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에 상관없이 멀티미디어 과제를 해결하는 학습전략은 사회·정의적 전략을 많이 사용하였다. 그러나 컴퓨터 활용 학습에 긍정적 태도를 보이는 학생일수록 컴퓨터 기술을 다양하게 사용하여 과제를 해결하였는데 이는 멀티미디어적 환경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한 학습전략의 모습이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멀티미디어 활용 과제를 구안하고 적용할 때에는 학습자의 컴퓨터 학습에 대한 정의적 태도를 먼저 고려해야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영어 쓰기 학습 성취도가 낮은 학습자에게 적절한 보충형 멀티미디어 쓰기 과제를 다양하게 개발해야 한다.
셋째, 영어 쓰기 학습 성취도가 낮은 학습자라고 하더라도 멀티미디어 활용 학습 방법과 쓰기 지도의 단계를 고루 반영한 보충형 과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넷째, 멀티미디어적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언어 학습에 부정적 영향을 마치는 사례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