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요약

목차

Ⅰ. 서론 1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3

Ⅱ. 온라인 게임과 MMORPG 15

1. 온라인 게임 유저의 유형과 특징 15

1) 헤비 유저(Heavy User)와 라이트 유저(Light User)의 유형과 특징 15

2) 플레이스타일에 따른 유저 유형과 특징 17

2. MMORPG 개념 및 시장현황 19

2-1. MMORPG의 정의 및 특징 19

2-2. MMORPG의 시장현황 및 전망 22

Ⅲ. MMORPG 스크린 UI 디자인 25

1. 스크린 레이아웃 및 UI 25

1-1. 스크린 레이아웃의 정의 25

1-2. UI의 개념 27

1-3. UI 디자인의 12대 원칙 29

2. MMORPG UI 33

2-1. MMORPG 스크린 UI 구성요소 33

2-2. MMORPG UI 특징 36

2-3. MMORPG 유형별 UI 조사 39

Ⅳ. MMORPG UI 레이아웃 분석 42

1. 분석 방법 42

1-1. 설문지 분석대상 42

1-2. 분석대상의 게임선정 45

1-3. 분석유목의 결정 46

2. 자료 분석 방법 49

3. 분석결과 50

3-1. 기존 MMORPG 스크린 UI 디자인 50

3-2. MMORPG User 설문조사를 통한 레이아웃 평가 분석 61

3-3. 문제점 및 특징 85

3-4. 개선 방안 및 디자인 제안 88

Ⅴ. 결론 및 제언 91

1. 연구의 결론 91

2. 고찰 및 제언 93

참고문헌 94

Abstract 97

부록 99

표목차

[표1] 라이트 유저와 헤비 유저의 온라인 게임 선호 비교 17

[표2] 인터페이스 요소별 분류 35

[표3]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43

[표4] 유저 성별 분포도 44

[표5] 10개 게임 스크린 UI 구성도 60

[표6] 유저 인터페이스 선호형태 62

[표7] 연령별 유저 인터페이스 선호형태 63

[표8] UI 구성요소 투명효과 선호도 63

[표9] 개발사 제공 UI 만족도 64

[표10] 개발사 제공 UI 난잡함 여부 65

[표11] 개발사 제공 화면 배치와 플레이 영역, 색감 등의 일관성 66

[표12] 개발사 제공 UI 그대로 게임을 즐기는지 여부 67

[표13] 기존 게임 플레이 영역에 대한 생각 68

[표14] 공유 UI 프로그램 설치 선호도 69

[표15] ‘상태창’ 위치 선호도 70

[표16] ‘채팅창’ 위치 선호도 71

[표17] ‘단축키’ 위치 선호도 72

[표18] 선호하는 ‘단축키’ 표현방식 73

[표19] 연령별 선호하는 ‘단축키’ 표현방식 74

[표20] ‘메인메뉴’ 위치 선호도 75

[표21] ‘인벤토리’ 위치 선호도 76

[표22] ‘내비게이션’ 위치 선호도 77

[표23] ‘내비게이션(미니맵)’의 선호형태 78

[표24] ‘상태창’의 필요도 79

[표25] ‘채팅창’의 필요도 80

[표26] ‘단축키’의 필요도 81

[표27] ‘메인메뉴’의 필요도 82

[표28] ‘내비게이션(미니맵)’의 필요성 83

[표29] ‘인벤토리’의 필요도 84

[표30] 헤비 유저 게임 UI 구성요소 위치 선호도 85

[표31] 라이트 유저 게임 UI 구성요소 위치 선호도 86

[표32] MMORPG 게임 UI 구성 요소 위치도 비교표 87

그림목차

[그림1] 게임 유형의 분류도 22

[그림2] 스크린 레이아웃 26

[그림3] 가독성의 원칙에 따른 화면 구성 37

[그림4] 고정형 인터페이스의 게임(메틴2) 39

[그림5] 고정형 인터페이스의 게임의 효율성 분석표 40

[그림6] 유동형 인터페이스의 게임(WOW) 41

[그림7] 유동형 인터페이스의 게임의 효율성 분석표 41

[그림8] 유저 성별 분포도 44

[그림9] ‘리니지2’ 게임 화면과 도식화 및 UI 도식화 51

[그림10]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W)’ 게임 화면 및 UI 도식화 52

[그림11] ‘던전 앤 파이터’ 게임 화면 및 UI 도식화 53

[그림12] ‘로한’ 게임 화면 및 UI 도식화 54

[그림13] ‘메이플 스토리’ 게임 화면 및 UI 도식화 55

[그림14] ‘카발 온라인’ 게임 화면 및 UI 도식화 56

[그림15] ‘RF 온라인’ 게임 화면 및 UI 도식화 57

[그림16] ‘R2’ 게임 화면 및 UI 도식화 58

[그림17] ‘열혈강호’ 게임 화면 및 UI 도식화 59

[그림18] ‘데카론’ 게임 화면 및 UI 도식화 60

[그림19] 유저 인터페이스 선호형태 62

[그림20] 연령별 유저 인터페이스 선호형태 63

[그림21] UI 구성요소 투명효과 선호도 64

[그림22] 개발사 제공 UI 만족도 65

[그림23] 개발사 제공 UI 난잡함 여부 66

[그림24] 개발사 제공 화면 배치와 플레이 영역, 색감 등의 일관성 66

[그림25] 개발사 제공 UI 그대로 게임을 즐기는지 여부 67

[그림26] 기존 게임 플레이 영역에 대한 생각 68

[그림27] 공유 UI 프로그램 설치 선호도 69

[그림28] ‘상태창’ 위치 선호도 70

[그림29] ‘채팅창’ 위치 선호도 71

[그림30] ‘단축키’ 위치 선호도 72

[그림31] 선호하는 ‘단축키’ 표현방식 73

[그림32] 연령별 선호하는 ‘단축키’ 표현방식 74

[그림33] ‘메인메뉴’ 위치 선호도 75

[그림34] ‘인벤토리’ 위치 선호도 76

[그림35] ‘내비게이션’ 위치 선호도 77

[그림36] ‘내비게이션(미니맵)’의 선호형태 78

[그림37] ‘상태창’의 필요도 79

[그림38] ‘상태창’의 필요도 80

[그림39] ‘단축키’의 필요도 81

[그림40] ‘메인메뉴’의 필요도 82

[그림41] ‘내비게이션(미니맵)’의 필요성 83

[그림42] ‘인벤토리’의 필요도 84

[그림43] 헤비 유저 선호도를 기준으로 한 ‘WOW’에서의 UI 구성요소 재배치도 89

[그림44] 헤비 유저 선호도를 기준으로 한 UI 구성요소 배치도 및 도식화 90

[그림45] 라이트 유저 선호도를 기준으로 한 ‘WOW’에서의 UI 구성요소 재배치도 90

[그림46] 라이트 유저 선호도를 기준으로 한 UI 구성요소 배치도 및 도식화 90

초록보기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우리 문화에서 온라인 게임이란 것은 이미 큰 부분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게임에서 아이콘을 인터페이스로 적용하면서 유저 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라는 개념이 게임 플레이시 중요하게 부각되었으며, 그로 인한 플레이 장애는 특히 온라인 게임 중 MMORPG 장르에서 크게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아이콘의 도입으로 게임 플레이시 화면의 영역 분할에 있어 비효율적인 부분이 들어났으며, 플레이 영역이 작아지고 있는 현상이 나타났다. 또한 UI 구성요소들이 게임마다 다른 위치에 있음으로 인하여 게임 유저에게 게임 플레이시 적잖은 혼동을 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상용화된 게임 상위 랭킹 30위의 10개 게임을 선정하여 분석해 보고, 헤비 유저(Heavy User)와 라이트 유저(Light User)들의 선호도를 설문지를 통해 알아봄으로써 UI 구성요소의 필요도 및 선호 위치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현재 서비스 하고 있는 게임들의 UI와 헤비 유저와 라이트 유저들의 선호도에 큰 차이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설문지 분석 결과 나온 헤비 유저와 라이트 유저들의 선호도를 중심으로 UI 구성요소들을 재정립, 재배치해 봄으로써 보다 나은 UI를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헤비 유저와 라이트 유저들의 게임 플레이시 보다 넓은 플레이 영역에 만족을 느끼고, 이를 개발사에서 적극 반영하여 유저 입장에선 어떠한 게임을 하더라도 UI의 변함을 느끼지 못함으로써 좀 더 효율적인 게임 플레이를 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