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8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0

2. 연구문제 14

3. 용어의 정의 14

4. 연구의 제한점 15

II. 이론적 배경 16

1. 정보의 이해와 기억 16

2. 학습 전략의 개념과 유형 24

3. 이해점검 및 정교화 전략 활용 수업 37

4. 선행연구의 고찰 46

III. 연구가설 53

IV. 연구 방법 57

1. 연구 대상 57

2. 연구 설계 58

3. 측정 도구 59

4. 연구 절차 61

5. 자료 처리 62

V. 연구 결과 및 논의 63

1. 연구 결과 63

2. 논의 66

VI. 요약 및 결론 70

1. 요약 70

2. 결론 72

참고 문헌 75

ABSTRACT 80

부록 84

〈부록 1〉 이해점검 및 정교화 전략 활용 교수·학습 과정안(예시) 85

〈부록 2-1〉 이해점검 및 정교화 전략 학습지 87

〈부록 2-2〉 이해점검 및 정교화 전략 학습지 88

〈부록 2-3〉 이해점검 및 정교화 전략 학습지 89

〈부록 3-1〉 정보 이해력 검사 (사전검사) 90

〈부록 3-2〉 정보 이해력 검사 (사후검사) 96

〈부록 4-1〉 정보 파지력 검사 (사전검사) 101

〈부록 4-2〉 정보 파지력 검사 (사후검사) 104

표목차

표 1. Weinstein과 Mayer의 학습전략 범주와 정의 26

표 2. Dansereau의 학습전략 범주와 정의 28

표 3. Nisbet과 Shucksmith의 학습전략에 포함되는 개념들 29

표 4. 이해점검·정교화전략 활용 수업 모형 41

표 5. 이해점검 및 정교화 전략 훈련 프로그램 44

표 6. 읽기 자료의 구성 45

표 7. 연구대상자의 현황 57

표 8. 정보 이해력 사전검사 결과 57

표 9. 정보 파지력 사전검사 결과 58

표 10. 연구의 실험설계 59

표 11. 정보 이해력 평가의 기능목표 59

표 12. 정보 이해력 검사의 문항구성 내용과 신뢰도 계수 60

표 13. 단계별 연구 절차 61

표 14. 정보 이해력 전체점수에 대한 사후검사 결과 63

표 15. 정보 이해력 하위 영역별 점수에 대한 사후 검사 결과 64

표 16. 정보 파지력 전체 점수에 대한 사후검사 결과 65

그림목차

그림 1. 정보처리 모형(Information Processing Model)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