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감사의 글

[헌사]

목차

국문초록 11

I. 서론 13

A. 문제의 제기 13

B. 연구의 필요성 과 목적 15

C. 연구의 제한점 18

II. 이론적 배경 19

A. 명리학의 개념과 원리 19

1. 명리학의 기본 이론 19

2. 십성의 심리와 적성 28

3. 오행과 직업과의 관계 31

4. 용신과 직업 적성 45

B. 사주와 직무만족의 관계 47

1. 사주 직업 적성의 관계 47

2. 직업의 개념 50

3. 직업의 분류 50

4. 직무만족에 대한 이론 54

C. 선행연구 61

III. 연구방법 및 절차 63

A. 연구의 대상 63

B. 측정 방법 및 도구 63

C. 자료의 처리 66

IV. 연구결과의 분석 및 해석 67

A.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및 사주특성 67

1. 인구통계학적 특성 67

2. 사주특성 69

B. 직무만족 73

1. 회사에 대한 소속감, 사회적 위치, 스트레스, 안전성, 긍지 정도 73

2. 직업적성판별시 사주 참고의 향 74

3. 근무부서, 근무 연수와 재성과의 관계 74

4.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77

5. 사주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 78

V. 결론 82

A. 요약 82

B. 제언 85

참고문헌 88

Abstract 91

부록 94

〈부록 1. 설문지1〉 94

〈부록 2. 설문지2〉 96

표목차

〈표 II-1〉 사주의 구성사례 24

〈표 II-2〉 비견·겁재의 격과 용신설정 27

〈표 II-3〉 식신·상관의 격과 용신설정 27

〈표 II-4〉 정재 ·편재의 격과 용신설정 27

〈표 II-5〉 정관·편관의 격과 용신설정 28

〈표 II-6〉 정인·편인의 격과 용신설정 28

〈표 II-7〉 일간을 강하게 하는 오행과 약하게 하는 오행 47

〈표 II-8〉 직업 분류표 52

〈표 III-1〉 금융기관 종사자의 사주분석 예1 64

〈표 III-2〉 금융기관 종사자의 사주분석 예2 65

〈표 III-3〉 금융기관 종사자의 사주분석 예3 65

〈표 IV-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1 67

〈표 IV-2〉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2 68

〈표 IV-3〉 회사에 대한 소속감, 사회적 위치, 스트레스, 안전성, 긍지 정도 74

〈표 IV-4〉 직업적성 판별 시 사주 참고의향 74

〈표 IV-5〉 근무부서와 재성 75

〈표 IV-6〉 관리직에 근무한 기간과 재성 76

〈표 IV-7〉 영업직에 근무한 기간과 재성 76

〈표 IV-8〉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1 77

〈표 IV-9〉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 78

〈표 IV-10〉 사주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일간) 79

〈표 IV-11〉 사주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격) 79

〈표 IV-12〉 사주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용신) 80

〈표 IV-13〉 사주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 차이(강.약, 재성유무, 재성분류, 구성) 81

그림목차

〈그림 II-I〉 일간 기준 십성의 형성과정 30

〈그림 IV-1〉 조사대상자의 사주 특성(일간) 69

〈그림 IV-2〉 조사대상자의 사주 특성 (격) 70

〈그림 IV-3〉 조사대상자의 사주 특성 (용신) 70

〈그림 IV-4〉 조사대상자의 사주 특성(강.약) 71

〈그림 IV-5〉 조사대상자의 사주 특성(재성유무) 71

〈그림 IV-6〉 조사대상자의 사주 특성(재성분류) 72

〈그림 IV-7〉 조사대상자의 사주 특성(구성) 73

초록보기

본 논문은 금융업 종사자들의 사주를 분석하여 출생연월일·시로 구성되는 사주와 명리이론을 이용하고, 특히 십성의 흥미체계분야를 적용하여 직무만족도와 사주의 정확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 도출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조사대상자인 금융업 종사자는 사주의 월지를 일간과 대비하여 재(財), 관(官)격을 이루거나, 일주를 중심으로 사주 내에서 재(財), 관(官)이 일간과 직접 상생 및 상호유기적인 작용을 이루어 흥미를 유발하고 있는 사주일 확률이 높게 나타날 것이다.

둘째, 위 첫째와 같은 사주의 작용에 상관관계가 있을 경우 자신의 직무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다.

셋째, 금융업 종사자인 조사대상자들은 재(財), 관(官)이 사주에 없다면 흥미 체계가 구성되지 않아 직무 만족도가 낮게 나타날 것이다.

넷째, 금융기관 종사자 중 관리직은 정재(正財), 영업직은 편재(偏財)일 확률이 높게 나타날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주요 금융사 5곳에 근무하는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였으며, 총 303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대부분 사주의 직업 적성 이론과 일치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성유무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재성이 있는 경우가 높게 나타나 금융 업 종사자들은 재성이 있는 사주가 역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성을 보면, 재·관·인이 구비된 사주가 가장 많게 나타났으며, 관리직에 근무한 기간과 재성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관리직에 오래 근무한 경우 정재인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응답자의 사주 특성인 일간에 따라서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양수(陽水)인 경우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음수(陰火)인 경우 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넷째, 사주에 재성이 있는 경우가 없는 사람보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재성분류에 따라서는 정·편재혼합인 경우가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 사주 명리학의 독창적인 기능을 확인, 인정할 수 있고 직업 적성 판별의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오늘날 직업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 중에서 약 50% 정도가 자신의 직업과 적성이 맞지 않는다고 한다. 기회비용 측면에 있어서도 커다란 손실이며 개인의 행복추구권의 심각한 손상을 야기한다. 현대는 스트레스에 관한 병이 넘쳐나고 있다. 이는 단순히 업무량의 과다로만 치부할 일은 아니다. 적성에 맞는 직업을 선택한다는 것은 국제경쟁사회에 있어서 개인의 책임을 초월하여 국가적 과업이 될 것이다. 따라서 패러다임을 바꿔 다양한 방법을 수용하여 직업 적성을 판별할 수 있는 도구개발에 노력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노력을 국가적 차원에서 지원, 관리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본다.

이 연구논문을 쓰면서 많은 사람들이 설문 중에 사주명리학이 하나의 학문이라는 사실을 의외로 많이 알고 있었다. 일부는 아직도 점으로 생각하고 영적인 힘으로 미래를 알아 맞추는 것을 더 흥미롭게 느끼는 것은 한계점으로 남는다. 그러나 분명히 학문적 발전가능성을 보았고 우리의 역사적 전통과 유대감에 있어서 가치를 인정하는 젊은 층이 늘어나고 있다는 것은 자부심을 느끼게 하지만, 새로운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여 학술적 가치를 높이는 학문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더욱 치열한 학문적 성숙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