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논문요약

목차

Ⅰ.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2. 연구의 제한점 10

3. 용어 정의 10

4. 선행연구 11

Ⅱ. 이론적 배경 12

1. 개념 연구의 개관 12

가. 개념의 정의 12

나. 개념의 특성 12

다. 개념의 기능 14

2. 오개념 15

가. 오개념의 정의 15

나. 오개념의 특성 16

다. 오개념의 형성원인 17

Ⅲ. 연구절차 및 방법 19

1. 연구대상 19

2. 연구절차 19

3. 검사 문항지의 개발 20

4. 검사실시 20

5. 자료분석 20

Ⅳ. 결과 및 분석 21

표목차

〈표-1〉 문항 1의 응답 결과 22

〈표-2〉 문항 2의 응답 결과 25

〈표-3〉 문항 3의 응답 결과 28

〈표-4〉 문항 4의 응답 결과 30

〈표-5〉 문항 5의 응답 결과 34

〈표-6〉 문항 6의 응답 결과 37

〈표-7〉 금속의 반응성 38

〈표-8〉 문항 7의 응답 결과 40

〈표-9〉 문항 8의 응답 결과 42

〈표-10〉 문항 9의 응답 결과 45

그림목차

〈그림-1〉 문항 1의 응답 결과 그래프 22

〈그림-2〉 Na+의 형성 23

〈그림-2〉 Na+의 형성 23

〈그림-3〉 Cl-의 형성 23

〈그림-4〉 Na+와 Cl-의 이온결합 24

〈그림-5〉 문항 2의 응답 결과 그래프 25

〈그림-6〉 수소분자의 형성 26

〈그림-7〉 문항 3의 응답 결과 그래프 28

〈그림-8〉 문항 4의 응답 결과 그래프 31

〈그림-9〉 전기 음성도 32

〈그림-10〉 문항 5의 응답 결과 그래프 34

〈그림-11〉 금속결합 모형과 자유전자 35

〈그림-12〉 금속 결합 내의 자유전자의 움직임 36

〈그림-13〉 문항 6의 응답 결과 그래프 37

〈그림-14〉 문항 7의 응답 결과 그래프 40

〈그림-15〉 분자간의 결합각 41

〈그림-16〉 문항 8의 응답 결과 그래프 42

〈그림-17〉 문항 9의 응답 결과 그래프 45

〈그림-18〉 극성 분자 사이의 힘과 배열 모형 46

〈그림-19〉 유발 쌍극자가 형성되는 모형 47

〈그림-20〉 물 분자 간의 수소결합 47

〈그림-21〉수소결합 47

초록보기

본 연구에서는 중등과정에서는 접할 수 없었던 화학결합에 관한 과학적 개념을 배우는 고등학생들의 이해와 그에 따르는 각 부분별 오개념을 도출해 냄으로써, 오개념이 형성된 원인과 과학적 개념을 서술하였다.

수업 시 발생될 오개념 요인들을 제거하며 타당성과 신뢰도를 바탕으로 부분별 설명을 유도함으로써 교사와 학생간의 수업 시 도움이 되고자 화학결합에 관한 오개념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 내용의 기본은 화학결합을 주제로 경기지역 고등학교 3학년 재학생 103명에게 설문지 10문항의 질문을 토대로 연구 검토하여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 많은 학생들이 기본적인 결합식과 구조 외에 결합형태의 영역에서부터 오개념이 형성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 적절한 실험을 통하지 않은 주입방식의 수업에서 오개념이 형성된 것으로 보아, 입시위주 교육제도의 문제점을 보여주었다.

· 화학은 과학이기 때문에 학생들 자신도 추상적, 논리적 사고를 지닐 필요가 있다.

· 화학은 여러 가지 과학의 개념과는 달리 추상적 개념인 물질의 입자성을 기본 개념으로 하는 과학이다. 개념이 모호해 질 수 있는 수업을 하는 교사들은 다양한 수업 구성 능력을 갖고 수업에 임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