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Ⅰ.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0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12

3. 선행연구 검토 14

4. 용어 정의 16

가. 크로키 16

나. 사실기 17

다. 형태표현력 18

Ⅱ. 인물크로키 지도에 관한 예비적 고찰 21

1. 교과서와 지도서 내용 분석 21

2. 인물크로키의 지도 방법 도출 25

가. 재료와 용구 및 사용법 25

나. 표현지도요소 29

다. 인물크로키 지도의 방법 34

Ⅲ. 인물크로키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47

1.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47

가. 기초와 기본 다지기 52

나. 인체모형을 통한 크로키 탐색하기 57

다. 인물크로키 적용하기 59

2. 프로그램 적용 결과 및 시사점 67

Ⅳ. 결론 및 제언 87

참고문헌 91

Abstract 94

부록 97

표목차

〈표 Ⅱ-1〉 교과서 및 지도서 내용 분석 21

〈표 Ⅱ-2〉 크로키의 일반적인 재료와 특징 27

〈표 Ⅱ-3〉 동기부여의 예시 35

〈표 Ⅲ-4〉 인물크로키 프로그램 48

〈표 Ⅲ-5〉 모델의 자세 51

〈표 Ⅲ-6〉 선의 종류 탐색을 위한 도입부분 예시 53

〈표 Ⅲ-7〉 말로 표현하기 단계 적용결과 비교분석 N= 30 69

〈표 Ⅲ-8〉 길이, 크기에 대한 표현 비교분석 N= 30 69

〈표 Ⅲ-9〉 평가항목 및 평가관점 71

〈표 Ⅲ-10〉 크로키 작품의 완성도 비교 N= 30 72

〈표 Ⅲ-11〉 분필을 이용한 크로키 작품 73

〈표 Ⅲ-12〉 크로키 작품의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 비교(1) 74

〈표 Ⅲ-13〉 크로키 작품의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 비교(2) 75

〈표 Ⅲ-14〉 크로키 작품의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 비교(3) 76

〈표 Ⅲ-15〉 크로키 작품의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 비교(4) 77

〈표 Ⅲ-16〉 크로키 작품의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 비교(5) 78

〈표 Ⅲ-17〉 크로키 작품의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 비교(6) 79

〈표 Ⅲ-18〉 크로키 작품의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 비교(7) 80

〈표 Ⅲ-19〉 크로키 작품의 프로그램의 적용 전·후 비교(8) 81

〈표 Ⅲ-20〉 다양한 크로키 작품(긁어내기) 82

〈표 Ⅲ-21〉 다양한 크로키 작품(양초) 83

그림목차

[그림 Ⅱ-1] 집단의 조직과 모델의 위치 1 37

[그림 Ⅱ-2] 집단의 조직과 모델의 위치2 37

[그림 Ⅱ-3] 인체 각 부분의 표현 41

[그림 Ⅲ-4] 직선, 겹가로선, 겹세로선, 교차하는 선 그리기 54

[그림 Ⅲ-5] 강약이 있는 선 그리기 54

[그림 Ⅲ-6] 여러 가지 동그라미 그리기 55

[그림 Ⅲ-7] 꼬불꼬불한 선 그리기 55

[그림 Ⅲ-8] 끊어지지 않는 연속선 그리기 56

[그림 Ⅲ-9] 손 풀기를 위한 선 그리기 57

[그림 Ⅲ-10] 인체모형 58

[그림 Ⅲ-11] 덩어리로 표현하기-강수정작품 59

[그림 Ⅲ-12] 덩어리로 표현하기-허성민작품 59

[그림 Ⅲ-13] 가로선으로 표현하기 장민영작품 60

[그림 Ⅲ-14] 가로선으로 표현하기-박지혜작품 60

[그림 Ⅲ-15] 뼈대만 그리기-이현빈작품 60

[그림 Ⅲ-16] 뼈대만 그리기-이경우작품 60

[그림 Ⅲ-17] 분필로 하는 크로키 준비물 62

[그림 Ⅲ-18] 분필로 그린 후 크로키하기 62

[그림 Ⅲ-19] 긁어내기로 크로키하기 준비물 64

[그림 Ⅲ-20] 긁어내기로 크로키하기 64

[그림 Ⅲ-21] 양초로 크로기하기 준비물 64

[그림 Ⅲ-22] 양초로 크로키하기 64

[그림 Ⅲ-23] 크로키작품집 67

[그림 Ⅲ-24] 크로키작품집 만들기 67

초록보기

아동들은 태어나서 통글자로 글을 익히고 자음과 모음을 배우면서 말과 글을 완벽하게 배워간다. 미술의 표현도 마찬가지이다. 어떠한 세련되고 기교적인 방법을 배우는 것에 앞서 글을 배우는 경우와 같이 기초적이고 기본적인 것을 먼저 배워야 한다. 난화기 표현에서 볼 수 있는 인물은 소묘적인 방법보다는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고 간단하게 특징을 표현하기 때문에 크로키로 볼 수 있다. 이처럼 크로키가 미술 표현에 있어 기초와 기본에 해당되는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그 중요성이 소홀히 다루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미술 표현에 대한 가르침이나 학습의 필요성과 독립적인 크로키 작품의 가치 변화,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요구하고 있는 학습 범위와 내용의 재구성적인 시점에서 살펴본다면 체계적인 인물크로키 지도를 통한 형태표현력을 신장 시킬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아동들이 쉽게 따라할 수 있는 인물크로키 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적용을 통해 인물을 대상으로 하는 기초적인 형태표현능력과 그 바탕이 되는 조형적인 관찰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모델인 인물에 대한 관심과 배려를 통하여 인성교육을 함께 도모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과서와 지도서의 내용분석, 크로키의 재료 및 용구의 탐색, 인물크로키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크로키의 지도방법 도출, 구체물 조작을 통한 인체의 움직임 이해, 다양한 방법의 크로키 시도를 연구의 내용으로 하고 있다. 문헌연구, 실험연구, 작품분석의 세 가지 방법으로 M초등학교 6학년 아동 30명을 대상으로 교과 수업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아침활동 시간 15분에서 20분 정도를 활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작품의 완성에 관여하는 여러 가지 조형 요소 중 선을 이용한 표현 활동에 중점을 두고 표현의 여러 가지 대상들 중에서 인물에 국한하여 실시하였다.

인물크로키 프로그램은 기초와 기본 다지기, 인물크로키 탐색하기, 인물크로키 적용하기의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졌으며 각 단계들은 작은 세부적인 지도 내용으로 나뉘어져 있다. 기초와 기본 다지기 단계는 여러 가지 선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선에 대한 이해를 돕고 그리기에 대한 손과 마음의 긴장감을 완화시킬 수 있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두 번째 단계인 인물크로키 탐색하기는 인체모형을 직접 만들어보고 조작·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인체에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인물크로키 적용하기 단계에서는 분필로 미리 그려보거나 실제 모델을 덩어리, 가로선, 뼈대로 표현하기, 말로 표현하기, 손가락으로 그리기를 통해 부담없이 접근할 수 있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긁어내기, 캐리커처, 양초로 그리기를 통해 흥미와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고, 끝으로 활동들을 정리하고 자신의 작품에 애착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액자 만들기와 작품집 만들기를 하였다. 기초와 기본 다지기와 인물크로키 탐색하기 단계는 순차적으로 적용되어질 필요가 있지만 인물크로키 적용하기 단계는 아동의 표현능력 향상 정도에 따라 개인차를 두어 지도할 수 있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전체적인 과정을 통해

첫째, 아동들은 개념적이고 관념적인 표현에서 관찰에 의한 표현으로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지속적인 손풀기 활동을 통해서 긴장감이나 부담감을 줄여 표현활동에 있어 흥미와 표현의욕을 높일 수 있었다.

셋째, 크로키를 통해 화면전체를 활용하는 능력이 향상되고 형태표현에 관한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넷째, 인체모형을 이용한 구체적인 접근을 통해 아동들이 인체 움직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다섯째, 아동들은 성취감을 맛볼 수 있었고 개인 작품에 대한 애착은 물론 모델 친구들에 대한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여섯째, 덩어리와 가로선으로 표현하는 활동에 비해 뼈대로 표현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체감하였으며 새롭고 구체적인 방법이 요구됨을 알았다.

인물크로키 프로그램의 적용은 전체적인 미술교과를 운영하고 학교 교육과정을 정상화하는 과정 속에서 유일한 목표가 아니라 아동이 스스로를 표현할 수 있도록 돕는데 필요한 하나의 방법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크로키를 통한 활동이 형태표현력에 대한 향상은 가져 왔지만 인물을 대상으로 하는 과정을 통해 아동들의 정서순화와 자기표현이 어느 정도 이루어질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는 더 연구되어야 한다. 또한 아동들에게 보다 쉽게 뼈와 근육의 움직임에 대하여 안내해줄 지도 자료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평면의 인체모형을 만들어서 인물크로키의 구체적인 접근을 시도하였으나 입체로 되어진 인체모형을 이용하여 공간에서 변화된 인체를 화지에 옮기는 훈련을 통한 연구도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