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지 9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1

1. 연구배경 11

2. 연구목적 14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15

1. 연구범위 15

2. 연구방법 16

제3절 연구의 구성 17

제2장 이론 고찰 19

제1절 갈등이론 19

1. 갈등의 정의 19

2. 갈등의 발생원인과 조건 23

3. 갈등의 특성과 기능 27

4. 갈등관리 29

제2절 관광개발과 갈등 33

1. 개발개념의 변화와 지속가능한 관광개발 33

2. 지역개발에 따른 갈등의 원인과 특성 36

3. 관광개발갈등 39

제3절 관광개발 갈등사례 분석 50

1. 골프장 건설갈등 : 1990년대를 중심으로 50

2. 해남 화원관광단지 토지보상갈등사례 58

3. 문장대 온천 관광지개발 갈등사례 60

4. 제주도 송악산 관광개발 갈등사례 62

제4절 종합논의 66

1) 관광개발갈등사례분석 66

2) 지역관광개발 갈등의 순기능과 사회자본 66

3) 관광개발갈등과 주민참여 68

제3장 연구 설계 70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명제 70

1. 연구모형 70

2. 연구명제 71

제2절 조사 설계 73

1. 조사목적 73

2. 조사방법 73

3. 자료 분석방법 74

제3절 조사대상지 특성 74

1. 기업도시 특별법의 추진과정과 주요쟁점 74

2. 태안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예정지 현황 77

3. 태안군의 지리적, 경제적, 사회적 환경 분석 78

4. 조사대상지의 갈등현황 80

제4장 분석결과 85

제1절 원인적 요인에 대한 분석 85

1. 목표의 차이 85

2. 관광개발 영향에 대한 인식의 차이 99

3. 가치관의 차이 107

제2절 촉진적 요인에 대한 분석결과 117

1. 의사소통의 문제 118

2. 갈등관리 주체들의 태도 131

제3절 분석결과에 대한 종합토론 136

1.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추진과정에서 원인적 요인이 갈등에 미치는 영향 136

2.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추진과정에서 촉진적 요인이 갈등에 미치는 영향 138

3. 관광레저형 기업도시추진과정에서 원인적 요인과 촉진적 요인, 이해와 권력과의 관계 139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41

제1절 요약 및 결론 141

1. 연구결과의 요약 141

2. 결론 142

제2절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144

1. 연구의 시사점 144

2.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 146

참고문헌 148

ABSTRACT 161

참고자료 164

감사의 글 174

표목차

〈표 2-1〉 학자별 갈등의 정의 21

〈표 2-2〉 학자별 갈등의 원인 24

〈표 2-3〉 지역관광개발에서의 이해관계자의 유형 41

〈표 2-4〉 1차적 이해관계자와 2차적 이해관계자의 비교 41

〈표 2-5〉 관광개발에서의 갈등에 관한 선행연구 44

〈표 3-1〉 주요 골프장 반대운동의 사례 및 결과 57

〈표 4-1〉 갈등요인 및 갈등의 지표 72

〈표 4-2〉 입법화 단계의 추진 경위 76

〈표 4-3〉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시범사업 선정 결과 78

〈표 4-4〉 태안군 세대 및 인구 변화 79

〈표 5-1〉 중앙정부부처별 지역 활성화 정책 85

〈표 5-2〉 정부·전경련·경실련 쟁점비교 96

그림목차

〈그림1-1〉 연구의 구성도 18

〈그림2-1〉 코저와 다렌도르프의 갈등의 복합적 인과모델 29

〈그림2-2〉 갈등 사이클(Wall과 Callister, 1995:516) 29

〈그림2-3〉 갈등진단모형 30

〈그림2-4〉 갈등분야의 해결 난이도 31

〈그림2-5〉 과소갈등, 적정갈등, 과다갈등의 기능 31

〈그림2-6〉 발전의 핵심가치 35

〈그림2-7〉 사회갈등의 유형 37

〈그림2-8〉 권력과 이해관계의 크기에 따른 이해집단 매트릭스 42

〈그림2-9〉 지역주민과 지방정부 및 관광기업간의 역할 43

〈그림2-10〉 정부-시민사회 간 상호 자율성 48

〈그림4-1〉 연구모형 71

초록보기

관광개발갈등에 대한 이해는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을 위한 갈등해소의 첫 출발이며, 효율적인 갈등관리에 필수적인 것이다. 본 연구는 권력의 문제를 포함한 사회갈등으로서의 관광개발 갈등의 특성과 구조,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갈등관리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관광개발갈등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도모하고, 이해관계자간의 갈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 및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관광레저형 기업도시를 추진하고 있는 충남태안을 대상으로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특별법 추진과정부터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착공시점까지를 분석대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갈등이론 등을 포함한 이론적 고찰과 관광개발갈등사례 분석을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에서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관광개발 방향에 대한 목표의 차이, 보상수준의 차이, 관광개발 영향에 대한 인식의 차이, 가치관의 차이, 관광산업에 대한 태도 등은 원인적 요인으로 구분되고, 의사소통의 문제, 갈등관리주체의 태도 등은 촉진적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그리고 권력과 이해에 따라 각각의 요인들이 갈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4가지의 연구 명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정량적 연구가 아니라 정성적 연구이므로 다양한 2차 자료와 심층인터뷰 자료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따라서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관계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범주화하고 연구명제 분석에 사용하였다.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추진은 국가권력과 대등한 위치로 성장한 자본권력에 의하여 추진되어졌다. 국가권력과의 협력 하에 대자본이 주도하는 관광레저형 기업도시건설은 지역 및 시민단체의 실질적인 참여가 제한될 수밖에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는 다양한 목표와 이해, 인식과 가치관을 가진 집단 간에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해관계자들의 권력으로부터의 소외는 각 이해관계자들이 가지고 있는 원인적 요인의 차이를 조정하고 완화를 어렵게 함으로써 갈등을 악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권력의 소외는 촉진적 요인들에 의한 이해관계자들 간의 불신을 강화시키고 갈등을 악화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명제에 대한 연구결과에 따른 명제는 다음과 같이 수정되어질 수 있다.

수정된 명제 1):이해관계자간에 원인적 요인(관광개발에 대한 목표의 차이, 영향에 대한 인식의 차이, 가치관의 차이 등)의 차이가 클수록 갈등은 악화되어지기 쉽다.

수정된 명제 2):관광개발과정에서 사실관계의 왜곡, 대화의 의견 및 요구반영의 단절, 절차상의 비민주성, 정보의 미공개 혹은 선별공개 등과 불공정성 등은 이해관계자간의 갈등을 악화시킨다.

수정된 명제 3):관광개발과정에서의 권력의 소외는 갈등의 원인적 요인을 조정하고 해소할 기회를 제약하며 촉진적 요인으로 인한 불신을 악화시킴으로써 갈등을 악화시킨다.

수정된 명제 4):관광개발과정에서 이해관계자의 이해의 크기와 직접성에 따라 갈등의 원인적 요인이 갈등에 미치는 영향은 변화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규모 관광개발에서 이해당사자간의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의 실질적인 참여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해관계자들의 실질적인 참여가 가능한 사회제도는 이해관계자의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갈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뿐더러 공동의 이익을 확대시킬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지 못한 점과 단일 사례연구인 점들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권력과 이해를 포함한 갈등요인들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갈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음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관광개발에 따른 사회영향평가의 수행과 이를 토대로 갈등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략이 수립될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향후 관광개발과정과 운영과정에 대한 갈등요인에 대한 연구와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및 내부자적 관점에서의 종단적 연구와 다양한 실증적 연구가 수행되어질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들은 본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함은 물론 지속가능한 관광개발이 될 수 있기 위한 효율적인 갈등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