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11

I. 서론 15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5

B. 연구문제 18

C. 용어정의 19

1.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19

2. 인지조절(cognitive regulation) 요인 19

3. 동기조절(motivational regulation) 20

4. 행동조절(behavioral regulation)요인 20

5. 모바일 학습(mobile-based learning) 20

6. 학습관리시스템(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 21

7. 모바일 연동 LMS 21

8.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21

9.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적용 수업 22

II. 이론적 배경 23

A.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 23

1. 자기조절학습의 개념 23

2. 자기조절학습의 구성요인 26

3. 자기조절학습의 설계 33

B. 모바일 학습 (Mobile-Based Learning) 41

1. 모바일 학습의 개념 41

2. 모바일 기술과 모바일 기기 43

3. 모바일 학습의 설계 47

C. 모바일 연동 LMS 53

1.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의 개념과 역할 53

2. LMS의 기능 54

3. 모바일 연동 LMS의 개발 57

D. 선행연구 59

1.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59

2. 모바일 학습과 학업성취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62

3.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LMS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65

4. 모바일 연동 LMS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 67

III. 연구절차 및 방법 69

A. 연구절차 69

1. 개발연구방법 69

2. 연구절차 72

B. 연구대상 78

C. 연구도구 80

1.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80

2.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적용 수업 81

3. 기초학력 측정도구 84

4. 자기조절학습능력 측정도구 84

5. 학업성취도 측정도구 86

D. 자료분석 방법 86

IV.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개발 및 적용 87

A. 개발모형 87

1. ADDIE 모형 87

2. Lee와 Owens(2000)의 인터넷 교육용 ADDIE 모형 88

B. 개발 및 적용단계 90

1. 분석 91

2. 설계 97

3. 개발 단계 119

4. 형성평가 126

5. 적용 138

V. 연구 결과 및 분석 156

A.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의 설계 원리와 핵심 기능 156

B. 학업성취도의 차이 검증 159

C.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차이 검증 160

VI. 결론 및 제언 163

A. 결론 및 논의 163

B. 제언 167

참고문헌 170

부록 188

〈부록 1〉 모바일 관련 기술 189

〈부록 2〉 전문가 인터뷰 내용 192

〈부록 3〉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의 홈 페이지 메뉴화면 194

〈부록 4〉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의 모바일 폰 메뉴 화면 197

〈부록 5〉 이런닝 학습 프로그램 199

〈부록 6〉 기초학력 측정도구 200

〈부록 7〉 자기조절학습능력 측정도구 203

〈부록 8〉 학업성취도 측정도구 207

ABSTRACT 209

표목차

〈표 1〉 Zimmerman 과 Martinez-Pons의 자기조절학습전략 26

〈표 2〉 자기조절학습 구성요인에 대한 연구자 별 비교 28

〈표 3〉 메타인지전략의 유형 29

〈표 4〉 자기조절학습의 설계에 관한 연구 38

〈표 5〉 모바일 인터넷의 특성 44

〈표 6〉 모바일 기기의 제약점을 고려한 설계지침 48

〈표 7〉 LMS의 학습관리기능 55

〈표 8〉 모바일 기술의 교육적 혜택 64

〈표 9〉 개발연구의 방법 71

〈표 10〉 연구대상 집단의 구성 78

〈표 11〉 동질성 검증 79

〈표 12〉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적용 수업의 내용 81

〈표 13〉 자기조절학습능력 측정도구의 신뢰도 계수 85

〈표 14〉 LEE와 Owens(2000)의 인터넷 교육용 ADDIE 모형 89

〈표 15〉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LMS 개발을 위한 연구분석 92

〈표 16〉 LMS 사용에 대한 학습자 경험 94

〈표 17〉 모바인 연동 LMS에 관한 인터뷰 항목 및 세부내용 96

〈표 18〉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설계원리 103

〈표 19〉 학습자 지원 메뉴의 기능과 특징 109

〈표 20〉 교수자/관리자 메뉴와 특징 113

〈표 21〉 데이터베이스 테이블목록 118

〈표 22〉 자기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의 개발환경 120

〈표 23〉 이러닝 학습 컨텐츠의 내용 129

〈표 24〉 형성평가 집단의 대응표본 t 검증 결과 130

〈표 25〉 형성평가 참여자들의 면담 결과 131

〈표 26〉 학습자 반응 분석 135

〈표 27〉 메뉴의 유용성 136

〈표 28〉 사전·사후 학업성취도 기술통계 138

〈표 29〉 학업성취도에 대한 공분산 분석 결과 139

〈표 30〉 자기조절학습능력 기술통계 140

〈표 31〉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대한 공분산 분석 결과 141

〈표 32〉 메타인지전략 기술통계 143

〈표 33〉 메타인지전략에 대한 공분산 분석 결과 143

〈표 34〉 메타인지전략의 하위 변인 기술통계 145

〈표 35〉 메타인지전략의 하위 변인에 대한 공분산 분석 결과 146

〈표 36〉 동기조절 기술통계 147

〈표 37〉 동기조절에 대한 공분산 분석 결과 148

〈표 38〉 동기조절의 하위 변인 기술통계 149

〈표 39〉 동기조절의 하위 변인에 대한 공분산 분석 결과 150

〈표 40〉 행동조절 기술통계 151

〈표 41〉 행동조절에 대한 공분산 분석 결과 152

〈표 42〉 행동조절의 하위 변인 기술통계 153

〈표 43〉 행동조절의 하위 변인에 대한 공분산 분석 결과 154

그림목차

[그림 1] 모바일 연동 LMS의 구조 58

[그림 2]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연구절차 72

[그림 3]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적용 수업 76

[그림 4]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의 초기화면 80

[그림 5] 나의 일정표 화면 82

[그림 6/16] 참여도 화면 83

[그림 7] LMS 개발 및 적용의 세부 단계 91

[그림 8]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설계 원리 및 핵심 기능 98

[그림 9] 학습자의 학습활동 프로세스 106

[그림 10]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의 구조도 108

[그림 11]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의 화면설계 115

[그림 12] 모바일 페이지의 화면구성 117

[그림 13]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의 개발구조 121

[그림 14] 웹 페이지의 구조 122

[그림 15]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의 메인화면 123

[그림 16] 모바일 페이지 구조 124

[그림 17] 모바일 페이지의 로그인과 시작화면 125

[그림 18]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의 학업성취도 변화 140

[그림 19]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의 자기조절학습능력 변화 142

[그림 20]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의 메타인지전략의 변화 144

[그림 21/23]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의 동기조절의 변화 148

[그림 22]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의 행동조절의 변화 153

초록보기

현대 사회는 컴퓨터 및 모바일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는 정보와 지식은 학습자들에게 보다 신속한 정보의 처리, 습득 및 변형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성과 복잡성, 빠른 변화라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 지식 정보화 사회의 패러다임에서 학습자는 자신의 학습계획에 따라 학습목표를 세우고, 학습시간을 관리하고, 스스로의 학습과정을 점검하고 조절할 수 있는 자기조절학습(self-regulated learning)을 필요로 한다.

최근 이러닝이 확산되고 관련 기술과 시스템이 개발되면서 교실 수업과 이러닝 수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이러닝 플랫폼인 LMS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대부분의 LMS들이 학습 컨텐츠의 전달과 운영에 초점을 두고 있어서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고 촉진하는 다양한 전략과 지원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최근에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LMS의 기능에 자기조절학습의 요인들을 통합·설계(embedded design)해서 LMS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요약하면,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LMS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이다.

현재 모바일 기술은 언제 어디서나 누구나 손쉽게 인터넷과 연동하여 모바일 컴퓨팅(mobile computing)을 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어 줌으로써, 새로운 학습 환경을 위한 기술적인 패러다임을 제공하고 있다. 최근 들어 모바일 기술을 적용하여 LMS의 기능을 다양화하려는 모바일 연동 LMS 개발에 대한 연구들이 수행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연동 LMS 연구의 목적은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과 연동된 모바일 폰을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LMS 개발에서 모바일 기술의 적용은 차세대 학습 환경의 가능성을 열어주는 시도이지만, 아직은 새로운 분야로서 많은 연구가 시행 되어야 한다. 특히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LMS 개발 연구들이 수행 되었지만, 모바일 기술을 적용하여 LMS를 개발하고 효과를 검증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실험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는 15주에 걸쳐 체제적 접근의 개발 절차를 따라 개발하였고, 교육공학 전문가, LMS 개발 전문가, 전공 교수자의 검증과 자문을 받아 개발을 완성하였다.

또한, 개발한 LMS가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8주 동안 D대학 1학년 학생 136명을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혼합형 형태의 수업(매주 2시간의 컴퓨터 실 수업과 1시간의 이러닝 개별 수업)에 참여하게 하고 8주의 수업이 끝난 후, 사전과 사후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유형에 따른 사전과 사후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차이가 있는 지를 검증하기 위해 공분산 분석(Analysis of Covariance)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루어진 세부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의 설계 원리와 핵심 기능은 무엇인가?

2 수업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유형(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적용 수업, 일반 모바일 연동 LMS 적용 수업)에 따라 학업성취도에 차이가 있는가?

3 수업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유형(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적용 수업, 일반 모바일 연동 LMS 적용 수업)에 따라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따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는 메타인지전략, 동기 조절 및 행동조절을 지원하는 설계 원리와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l) 메타인지전략을 지원하는 설계 원리로서, '목표설정', '학습 계획의 수립', '지속적인 기록과 점검', '자기점검', '자기평가'와 같은 메타인지전략의 하위 변인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나의 일정표', '나의 노트', '자기조절학습능력검사'의 메뉴를 제공하였다. 이들 지원도구들은 학습자가 학습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대한 시간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으로 자신이 자신의 학습과 행동을 기록하고 점검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2) 동기조절을 지원하는 설계 원리로서, '숙달목적지향성', '자아효능감', '성취 가치'와 같은 동기조절의 하위 변인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이 학습과제나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에 대한 도움이 되는 피드백을 동료 및 교수자로부터 손쉽고 효율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상호 작용적인 학습 환경을 구축하였다. '강의 Q&A', '자유게시판', '나의 노트', 'SMS 질의 응답'과 같은 다양한 동시적, 비동시적 상호작용 도구는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에 필요한 자기조절학습전략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궁극적으로 높은 학업성취를 달성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3) 행동조절을 지원하는 설계 원리로서, '행동통제', '학업 시간의 관리', '도움 구하기'와 같은 행동조절의 하위 변인들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 '나의 일정표'와 'SMS 질의응답'의 메뉴를 제공하였다. 이들 지원도구들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업 시간을 관리하고, 학업과 관련된 문제들에 대해서 동료 및 교수자에게 적극적으로 도움을 구하고 주변 자원을 활발하게 이용 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의 핵심 기능으로는 (1)이러닝 학습 컨텐츠와 '나의 일정표'의 연동기능, (2)학습자의 기록과 점검을 지원하는 '나의 노트' 기능, (3)즉각적인 피드백을 지원하는 'SMS 질의응답' 기능, (4)학습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기능이 있다.

둘째, 학업성취도는 사전과 사후에서 수업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자기조절 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가 일반 모바일 연동 LMS보다 학습자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데 더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은 사전과 사후에서 수업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서, 자기조절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연동 LMS가 일반 모바일 연동 LMS보다 더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참고문헌 (25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2003). 자기조절학습의 단계와 구성요인의 규명. 교육학 연구, 41(3), 239-273. 미소장
2 팀 프로젝트 학습에서의 자기조절학습 전략 활용 양상 소장
3 학습자의 학습 양식에 적응적인 모바일 학습관리시스템 설계 및 개발 소장
4 (2000). 효과적 교수설계 및 교수방법. 서울: 문음사. 미소장
5 인지전략영역 교수를 위한 교수전략 소장
6 Effects of a self-regulated Learning program on students' achievement and strategy use in elementary fifth graders with different achievement Levels 소장
7 교과특성, 학업성취, 성, 지능에 따른 自己-調整 學習의 이용 소장
8 이동단말기 환경에서의 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소장
9 Mobile 메뉴화면 아이콘 개발에 있어 효율적인 휴먼인터페이스 디자인 연구 : PDA와 Mobile Phone을 중심으로 소장
10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 toward Media and Media Selection 소장
11 Maintaining a Close Circle through “Texting” : The Use of SMS(Short Messaging Service) among Korean Adolescents 소장
12 모바일 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소장
13 웹 기반학습 시스템에서 자기조절학습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소장
14 Empirical Research on Important Factors of Mobile Internet Usage 소장
15 Effect of Students' Perceptions of Goals Stressed by Teachers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Academic Help Seeking Behavior 소장
16 이동전화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이동전화 커뮤니케이션의 매체적 속성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17 모바일 특성이 모바일 서비스 수용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 유형을 중심으로 소장
18 Applying Mobile Technology for Improving Learner's Interaction in Web Discussion 소장
19 A Relationship Between Undergraduate`s Academic Self 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소장
20 학습양식에 적응적인 모바일학습관리시스템 설계 소장
21 성인학습자 집단간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동기의 차이와 학업성취와의 관계 소장
22 학습객체 기반의 자원기반학습시스템 프로토타입 개발 : 정보산업고등학교 프로그래밍 학습을 중심으로 소장
23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goal orientation,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소장
24 Promoting Learner`s Self-S Regulation Ability in Learner Controlled Computer Based Instruction 소장
25 모바일 미디어를 통한 사용자 커뮤니케이션의 형태와 특성 모델화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26 A study of the Effective User Interface Design on the Mobile Device -With focus on the Cellular Phone- 네이버 미소장
27 모바일 인터페이스 디자인을 위한 인터랙션 모델링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28 (2004). 무선 인터넷 개론. 서울: 사이텍미디어. 미소장
29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소장
30 Study on Conceptualiz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using LISREL 소장
31 The Effects of Embedded Learning Strategies to Promote The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kills in A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 소장
32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use of m-Learning 소장
33 학습자 통제형 학습환경으로서의 하이퍼미디어와 자기조절학습전략 소장
34 자기 주도적 학습관리 시스템 연구 소장
35 혼합형 학습을 지원하는 모바일 학습 지원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소장
36 웹과 모바일 환경에서의 영어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소장
37 (2002). 이러닝 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규명. 교육공학연구, 18(2), 51-67. 미소장
38 (2003). 이러닝 환경에서의 자기조절학습전략, 자기효능감과 이러닝 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관련성 규명. 교육공학연구, 19(3), 41-68. 미소장
39 (2005). 시간관리전략의 활성화를 촉진시키는 교수설계기반의 이러닝 교수모형 탐색. 교육공학연구, 21(4), 101-121. 미소장
40 (2006). 모바일 학습의 탐구. 서울: 문음사. 미소장
41 Motivations for Mobile Phone Uses Among Collegiate Undergraduates 소장
42 A Study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Web-Based Self-Regulated Learning Models 소장
43 (2002). LCMS(Learning Content Management System)기반의 이러닝 개발과 적용. 교육방송연구, 8(2), 93-113. 미소장
44 모바일 환경에서 상호작용성의 구성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비쿼터스 접속성과 상황기반 제공성의 직접적 영향을 중심으로 소장
45 (2003). 교육 심리 사회연구를 위한 통계방법. 서울: 학연사. 미소장
4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project learning models combined with blended learning approach in K-12 setting 소장
47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Web-Based Self-Regulated Learning Support System 네이버 미소장
48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Design and Implementation Strategies for Supporting Web-based Self-Regulated Learning 소장
49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ing Self-Regulated Learning 소장
50 무선 인터넷을 활용한 교육정보 전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소장
51 디지털 컨버전스에 따른 모바일 인터페이스의 사용성 향상을 위한 조작방식에 관한 연구 : PUI와 GUI의 일관성 분석을 중심으로 소장
52 자기조절 학습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구조모형 검증 소장
53 모바일 폰 GUI가 브랜드아이덴티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모바일 폰 제조사 브랜드를 중심으로 소장
54 평생교육 실현을 위한 웹 환경에서의 교수-학습 모형 및 가상교육 프로그램 개발 소장
55 결정지향적인 교육공학 연구방법론 : 개발연구를 중심으로 소장
56 (2005). 웹 기반 적응적 학습체제 개발론. 서울: 학지사. 미소장
57 HCI를 적용한 학습자 중심 모바일 학습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소장
58 자기조절학습 전략을 내재한 학습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소장
59 (2002). 국내 사이버교육 활성화를 위한 운영 플랫폼 표준화 전략.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미소장
60 (2002). 최상의 학습성과를 위한 e-러닝의 활용. 서울: 한국능률협회. 미소장
61 유·무선 인터넷을 활용한 현장체험학습 지원 시스템 설계 연구 소장
62 자기조절 학습전략을 적용한 웹기반 학습시스템:행동조절 전략을 중심으로 한 시스템 구현 네이버 미소장
63 상호작용 증진 및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웹과 모바일 통합 학습시스템 설계 및 활용 소장
64 (2003). 디지털 제품의 GUI DESIGN 가이드북. 서울: 한국디자인진흥원. 미소장
65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의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 모바일폰의 메인메뉴화면을 중심으로 소장
66 한국교육학술정보연구원(2004). 학습관리시스템(LMS/LCMS) 기능 설계 연구보고서. 연구보고 KR 2004-7.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연구원. 미소장
67 한국전문대학 교육협의회(2005). 전문대학 교육전반에 관한 학생만족도조사연구. 연구 제 2005-2. 서울: 한국전문대학 교육협의회. 미소장
68 Classrooms: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네이버 미소장
69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es. 네이버 미소장
70 An attributional analysis of student help-seeking in academic settings. 네이버 미소장
71 E-Learning Environments for Digitally-Minded Students 네이버 미소장
72 (2004). Designing models and services for learning management systems in mobile settings. In F. Crestani, M. Dunlop, & S. Mizzaro (Eds.), Mobile and Ubiquitous Info. Access Ws 2003(4th Ed.), Berlin: Heidelberg: Springer-Verlag. 미소장
73 Learning Strategies for Unstructured Hypermedia - A Framework for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네이버 미소장
74 Using Hypermedia as a Metacognitive Tool for Enhancing Student Learning? The Role of Self-Regulated Learning 네이버 미소장
75 HYPERTEXT, HYPERMEDIA, AND METACOGNITION: RESEARCH AND INSTRUCTIONAL IMPLICATIONS FOR DISABLED READERS 네이버 미소장
76 Exploring individual processes of knowledge construction with hypertext 네이버 미소장
77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미소장
78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Freeman. 미소장
79 Wireless Laptops as Means for Promoting Active Learning in Large Lecture Halls 네이버 미소장
80 Two tools to facilitate pre-service teachers’ self-regulation during instructional planning 네이버 미소장
81 Successful Learning with Hypermedia: The Role of Epistemological Beliefs and Metacognitive Awareness. 네이버 미소장
82 (2003). Programming handheld devices to enhance learning. Educause Quarterly, 1, 50-53. 미소장
83 The other side of the LMS: Considering implementation and use in the adoption of an LMS in online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네이버 미소장
84 Self‐Regulation in the Classroom: A Perspective on Assessment and Intervention 네이버 미소장
85 (2000). Handbook of self-regul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San Diego: Academic. 미소장
86 SMS-based discussions - technology enhanced collaboration for a literature course 네이버 미소장
87 Effects of Time-Management Practices on College Grades. 네이버 미소장
88 (1993). Students' perceptions of learning in computer conferencing: A qualitative analys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oronto, Toronto, Canada. 미소장
89 Feedback and Self-Regulated Learning: A Theoretical Synthesis 네이버 미소장
90 Effects of Task and Ego Achievement Goals on Help-Seeking Behaviors and Attitudes 네이버 미소장
91 (2003, 2월). Laptops in the classroom. The 34th ACM SIGCSE Technical Symposium on Computer Science Education(SIGCSE 2003) 연차 학술대회발표 논문, Reno, Nevada. 미소장
92 (1988). Adapting courseware to accommodate individual differences. In D. H. Jonassen (Ed.), Instructional designs for microcomputer coursewar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미소장
93 (2000, 4월). Strategies to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in a web-based cours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연차 학술대회 발표 논문, New Orleans, L.A. 미소장
94 Applying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in a Web-Based Instruction—An Investigation of Motivation Perception 네이버 미소장
95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and Achievement in an Introduction to Information Systems Course. 네이버 미소장
96 A mobile learning system for scaffolding bird watching learning 네이버 미소장
97 Mobile Technology in Educational Services 네이버 미소장
98 A mobile butterfly-watching learning system for supporting independent learning 네이버 미소장
99 (2005, 11월 16일). The classless society. http://specials .ft.com/connectis/june2001/FT3EFBND7OC.html, 2007년 2월 15일 검색. 미소장
100 Designing mobile technologies to support co-present collaboration 네이버 미소장
101 Constructivism Revisited: A Search for Common Ground. 네이버 미소장
102 (2004, 3월). A mobile learning organizer for university students. IEEE International Workshop on Wireless and Mobile Technologies in Education (WMTE04) 연차 학술대회발표 논문, JungLi, Taiwan. 미소장
103 (1997). The role of motivation in web-based instruction. In Khan (Ed.), Web-based instruction.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s, Inc. 미소장
104 (1986). Feedback and self-regulated learning: A theoretical synthesi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5, 245-182. 미소장
105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learning and motivation 네이버 미소장
106 (1999). A design theory for classroom instruction. In C. R. Reigeluth (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Vol. II.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미소장
107 Teaching science with mobile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MCSCL) 네이버 미소장
108 Supporting Self-Regulation in Student-Centered Web-Based Learning Environments 네이버 미소장
109 Investigating Learning Strategies Generation in a Hypermedia Environment Using Qualitative Methods 네이버 미소장
110 Learning Strategies and Performance in a Technology Integrated Classroom 네이버 미소장
111 A Conceptual Framework to Design and Support Self-directed Learning in a Blended Learning Programme. A Case Study: the DES-TEF 네이버 미소장
112 (2003). Mobile education-A Glance at the future. http://www.nettskolen.com/forskning /mobile_educ ation.pdf. 2006년 12월15일 검색. 미소장
113 (1993). Adult learning of distance students through computer conferenc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yracuse University, New York. 미소장
114 (2005). Savannah: Mobile gaming and learning?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29, 299-409. 미소장
115 Development of a cross‐platform ubiquitous language learning service via mobile phone and interactive television * 네이버 미소장
116 Situation-dependent services—a challenge for mobile network operators 네이버 미소장
117 (1987). Speculations about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metacognition. Hillsdale, NJ: LEA. 미소장
118 Perceptions of Interaction: The critical predictor in distance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119 Assessing Time Management Skills as an Important Aspect of Student Learning: The Construction and Evaluation of a Time Management Scale with Spanish High School Students 네이버 미소장
120 (2002, 6월). An evaluation of the implementation of a short messaging system (SMS) to support undergraduate students. European Workshop on Mobile and Contextual Learning 연차 학술대회발표 논문, Birmingham, UK. 미소장
121 Getting Ready for Mobile Learning--Adaptation Perspective 네이버 미소장
122 Student Passivity: A Study of Question Asking in K-12 Classrooms 네이버 미소장
123 (1998). Writing and Self-Regulation: Cases from the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Model. In D. H. Schunk & B. J. Zimmerman (Eds.), Self-regulated learning: From teaching to self-reflective practic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미소장
124 (2002, 12월 9일). LMS and LCMS: What’s the difference? http://www.learningcircuits.org/2002/dec2002/greenberg.htm, 2007년 2월 15일 검색. 미소장
125 Guidelines for designing and developing contents for mobile learning 네이버 미소장
126 (1997). Survey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Models. Syracuse, NY: ERIC Clearinghouse on Information & Technology. 미소장
127 An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a Time Management Training Program on Work Efficiency 네이버 미소장
128 (2000). 147 practical tips for teaching online groups: Essentials of web-based education. Madison, Wisconsin: Artwood Pub. 미소장
129 (1999).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interactive multimedia: Status, issues, and implication. Contemporary Education, 68(2), 94-99. 미소장
130 Improving the Writing, Knowledge, and Motivation of Struggling Young Writers: Effects of Self-Regulated Strategy Development with and without Peer Support 네이버 미소장
131 Educational Research in the Internet Age: Examining the Rol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네이버 미소장
132 Effects of Learning Skills Interventions on Student Learning: A Meta-Analysis 네이버 미소장
133 From desktop to palmtop: creating usable online documents for wireless and handheld devices 네이버 미소장
134 Developing a Mobile Learning Environment to Support Virtual Education Communities 네이버 미소장
135 Cognitive Strategies and Learning from the World Wide Web 네이버 미소장
136 (2003). A study of user experience using nomadic web content in a museum setting.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19(3), 308-319. 미소장
137 Guest editorial: Wireless and Mobile Technologies in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138 (1998). Teaching college students to be selfregulated learners. In H. Schunk & B. J. Zimmerman (Eds.), Self-regulated learning: From teaching to self-reflective practic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미소장
139 (2001, 4월). Designing handheld technologies for kids.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CHI) 연차 학술대회발표 논문, Minneapolis, Minnesota. 미소장
140 (2005, 09). Mobile learning paradigm in the nomadic society and its challenges. the KSET 20th Anniversary International Conference 연차 학술대회발표 논문, Seoul, Korea. 미소장
141 Learning Messages Notification System to Mobile Devices 네이버 미소장
142 (2000). Revisiting activity theory as a framework for designing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In D. H. Jonassen & S. M. Land (Eds.),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Mahwah, NJ: LEA. 미소장
143 Wireless commerce: marketing issues and possibilities 네이버 미소장
144 Help seeking and the need for academic assistance. 네이버 미소장
145 Relationship of Academic Help Seeking to the Use of Learning Strategies and Other Instrumental Achievement Behavior in College Students. 네이버 미소장
146 (2002). M-Business: The race to mobility. New York, NY: McGraw-Hill. 미소장
147 Self-Regulated Learning in Web-Based Environments: Instructional Tools Designed to Facilitate Cognitive Strategy Use, Metacognitive Processing, and Motivational Beliefs 네이버 미소장
148 An Introduction to Current Trends and Benefits of Mobile Wireless Technology Use in Higher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149 (2006, 6월). Mobile technology applications in the Korean higher education. World Conference of Educational Multimedia, Hypermedia and Telecommunication(Ed-Media 2006) 연차 학술대회발표 논문, Orlando, FL. 미소장
150 (1997).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self-regulation of study tim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mens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ity University of New York, Manhattan. 미소장
151 (1985). Volitional mediation of cognition-behavior consistency: Self-regulatory processes and action versus state orientation. In J. Kuhl & M. Beckermann (Eds.), Action control: From cognition to behavior. West Berlin: Springer-Verlag. 미소장
152 (2005). Mobile usability and user experience. In A. Kukulska-hulme & J. Traxler (Eds.), Mobile Learning: A handbook for educators and trainers. New York, NY: Routledge. 미소장
153 (1973). How to get control of your time and your life. New York: New American Library. Lee, W. W., & Owens, D. L. (2000). Multimedia-based instructional design. CA: Jossey-Bass Pfeiffer. 미소장
154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What's New and What's Not 네이버 미소장
155 (2001). Managing knowledge with learning objects: The role of learn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in speeding time to performance. A WBT Systems White Paper. http://www.wbtsystems.com/news/ whitepapers, 2007년 2월 15일 검색. 미소장
156 Instructional principles for self-regulation 네이버 미소장
157 Engaging junior college students in computer‐mediated lessons using scaffolding strategies 네이버 미소장
158 Designing metacognitive activities 네이버 미소장
159 Wireless and mobile technologies to enhance teaching and learning 네이버 미소장
160 An efficient load balancing strategy for scalable WAP gateways 네이버 미소장
161 (2000). Learning styles and asynchronous learning: Comparing the LASSI model to class performance. Journal of Asynchronous Learning Networks, 4(1), 23-31. 미소장
162 Time Management: Test of a Process Model 네이버 미소장
163 College Students' Time Management: Correlations with Academic Performance and Stress. 네이버 미소장
164 (2000). Customers on the move: m-Commerce demands a business object broker approach to EAI. eAI Journal, 58-62. 미소장
165 (2001). Blended e-learning: The power is in the mix.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 Development. 미소장
166 Students' goal orientations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네이버 미소장
167 (2004). Going wireless: The emergence of wireless networks in education. JCSC, 19(4), 151-158. 미소장
168 Towards self-regulation in web-based learning 네이버 미소장
169 (2002, 8월). Mobile access to libraries: Librarians and users experience for I-Mode applications in libraries. The 68th IFLA Council and General Conference: Conference Programme and Proceedings 연차 학술대회발표 논문, Glasgow, Scotland. 미소장
170 Children's Help-Seeking in the Classroom: The Role of Motivational Factors and Attitudes. 네이버 미소장
171 Students' Help Seeking during Problem Solving: Influences of Personal and Contextual Achievement Goals. 네이버 미소장
172 Children's Reluctance to Seek Help with Schoolwork. 네이버 미소장
173 (1993). Usability Engineering. Boston, MA: Academic Press. 미소장
174 (2003). Mobile devices: One generation from useful. http://www.useit.com/alertbox/ 20030818.html, 2006년 12월10일 검색. 미소장
175 Mobile group support technologies for any-time, any-place team support 네이버 미소장
176 Academic Performance of College Students: Influence of Time Spent Studying and Working 네이버 미소장
177 (1992). Metacognition research and theory: Analysis and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design. ETR & D, 40(2). 83-99. 미소장
178 Development Asp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네이버 미소장
179 Investigating Teacher-Student Interactions That Foster Self-Regulated Learning 네이버 미소장
180 Higher Education in Brazil: Recent Evolution and Current Issues 네이버 미소장
181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Fifteen Years of Scholarship 네이버 미소장
182 Causal attributions and perceived performance: Consequences for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and perceived control in different instructional conditions. 네이버 미소장
183 Enhancing Academic Achievement in College Students through Attributional Retraining and Instruction. 네이버 미소장
184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Editor. 네이버 미소장
185 (1990). The role of motivation in promoting and sustaining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31, 459-470. 미소장
186 (2000). The role of goal orientation in self-regulated learning. In M. Boekaerts, P. R. Pintrich &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San Diego, California: Academic. 미소장
187 A Conceptual Framework for Assess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College Students 네이버 미소장
188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189 (2002).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Englewood Cliffs, NJ: Merrill Prentice Hall. 미소장
190 (1993). Reliability and predictive validity of the MSLQ. Educational & Psychological Measurement, 53(3), 801-810. 미소장
191 (2004). Student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the college classroom.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n evidence-based perspective. Englewood Cliffs, NJ: Merrill Prentice Hall. 미소장
192 Predicting Achievement Early and Late in the Semester: The Role of Motivation and Use of Learning Strategies. 네이버 미소장
193 (2000). On-line communities: designing usability, supporting sociability. New York: John Wiley & Sons. 미소장
194 (2002). Interaction design: beyond human-computer interaction. New York: John Wiley & Sons. 미소장
195 More about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Complex, long-term, and thoroughly social 네이버 미소장
196 (1983). Cognitive strategy research. New York: Springer- Verlag. Quinn, C. (2000). mLearning: Mobile, wireless and in-your-pocket learning.http://www.linezine.com/2.1/features/cqmmsiyp.htm, 2006년 12월 10일 검색. 미소장
197 (2005). Accessibility and mobile learning. In A. Kukulska-hulme & J. Traxler (Eds.), Mobile Learning: A handbook for educators and trainers. New York, NY: Routledge. 미소장
198 (1999). Instructiona- design theories and model: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미소장
199 (1996). Devleopmental research. In D. Jonassen(Ed.),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New York: Macmillan. 미소장
200 (2002, 4월). The Evolution of the learning content management system. http://www.learningcircuits.org/2002/apr2002/robbins.html, 2007년 1월 10일 검색. 미소장
201 (1995). Diffusion of Innovation, New York: The Free Press. 미소장
202 (2003). Unlocking the learning value of wireless mobile devices. Journal of Computer Assisted Learning, 19, 260-272. 미소장
203 Introduction to the special issue on wireless and mobile technologies in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204 (2000). The design of personal mobile technology for lifelong learning. Computer & Education, 34(3-4), 177-193. 미소장
205 Metacognition: Relevance to Instructional Design 네이버 미소장
206 (1979). Managing stress means managing time. Personnel Journal, 58, 851-854. 미소장
207 Inherent details of self-regulated learning include student perceptions 네이버 미소장
208 (1998). Teaching elementary students to self-regulate practice of mathematical skills with modeling. In D. H. Schunk & B. J. Zimmerman (Eds.), Self-regulated learning: From reaching to self-reflective practic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미소장
209 (2001). Social cognitive theory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B. J. Zimmerman, & D. H. Schunk (Eds.),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etical perspectives. Mahwah, NJ: LEA. 미소장
210 Self-Regulatory Processes During Computer Skill Acquisition: Goal and Self-Evaluative Influences 네이버 미소장
211 (2000). Self-regulation and academic learning: Selfefficacy enhancing intervention. In M. Boekaerts, P. Pintrich & M. Zeinder (Eds.), The Handbook of self-regulation. San Diego, CA: Academic Press. 미소장
212 (1994).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Issu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미소장
213 Mobile learning and mobility in teacher training 네이버 미소장
214 Mobile learning in personnel training of university teachers 네이버 미소장
215 (2000). The design of personal mobile technologies for lifelong learning. Computers and Education, 34, 177-193. 미소장
216 (1997).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environments on achievement and motivation inproblem solv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e, FL. 미소장
217 (2004). Learning management systems:The wrong place to start learning. http://www.elearnspace.org/Articles/lms.htm, 2007년 1월 10일 검색. 미소장
218 (1997). The effects of self-regulated learning environments on achievement and motivation in problem solv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Florida State University, Tallahassee, FL. 미소장
219 Personal Digital Assistants in medical education and practice 네이버 미소장
220 (2001) Devices are ready-at-hand. Communications of the ACM, 44(6), 15–20. 미소장
221 (1999). A framework for navigation. Human-Computer Studies, 51, 919-945. 미소장
222 (2002, 6월). How to use SMS effectively in M-Learning. European Workshop on Mobile and Contextual Learning 연차 학술대회발표 논문, Birmingham, UK. 미소장
223 Uses and Effects of Mobile Computing Devices in K-8 Classrooms 네이버 미소장
224 (1997). Asynchronous computer conferencing as a supplement to classroom instruction in higher education: The impact of selected learner characteristics on user satisfaction and the amount of interac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Wayne State University, Detroit, MI. 미소장
225 (2005). Mobile teaching and learning. In A. Kukulska-hulme & J. Traxler (Eds.), Mobile Learning: A handbook for educators and trainers. New York: Routledge. 미소장
226 (2001, 6월). Learning on the move: Vocabulary study via email and mobile phone SMS. World Conference of Educational Multimedia, Hypermedia and Telecommunication (EdMedia 2001) 연차 학술대회발표 논문, Tampere, Finland. 미소장
227 CA: A Cancer Journal for Clinicians--What's New and What's Not 네이버 미소장
228 Examining the Potential of Handheld Computers: Findings from the Ohio PEP Project 네이버 미소장
229 Determinants of Perceived Ease of Use: Integrating Control, Intrinsic Motivation, and Emotion in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네이버 미소장
230 Basic System Architecture for Adaptive Information Presentation in High Cognitive Load Environment 네이버 미소장
231 (1981). Student Success.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ton. 미소장
232 The application of social cognitive theory to web‐based learning through NetPorts 네이버 미소장
233 Learning in the age of global information technology: development of a generic architecture for an advanced learning management system 네이버 미소장
234 (2002, 6월). Evaluating the use of PDAs as learning and workplace tools: An activity theory perspective. The European Workshop on Mobile and Contextual learning 연차 학술대회발표 논문, Birmingham, UK. 미소장
235 (2000). Self-regulation interventions with a focus on learning strategies. In M. Boekaerts, P. R. Pintrich & M. Zeidner (Eds.), Handbook of self-regulation. San Diego, California: Academic. 미소장
236 (2002). Handheld usability. Chichester: John Wiley & Sons. 미소장
237 Self-regulation in a web-based course: A case study 네이버 미소장
238 Inherent details in self-regulated learning 네이버 미소장
239 (1998). Studying as self-regulated learning. In D. J. Hacker, J. Danlosky & A. C. Graesser (Eds.), Metacognition in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Hillsdale, NJ: Erlbaum. 미소장
240 Musex: a system for supporting children's collaborative learning in a museum with PDAs 네이버 미소장
241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on Performance in Learner Controlled Computer-Based Instruction 네이버 미소장
242 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 Which are the key subprocesses? 네이버 미소장
243 (1989). Models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In B. J. Zimmerman & D. H. Schunk (Ed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New York: Springer-Verlag. 미소장
244 (1994). Dimensions of academic self-regulati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education. In D. H. Schunk & B. J. Zimmerman (Eds.),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Issu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Hillsdale, NJ: Erlbaum. 미소장
245 (1998). Developing self-fulfilling cycles of academic regulation: An analysis of exemplary instructional models. In D. H. Schunk & B. J. Zimmerman (Eds.), Self-regulated learning: From teaching to self-reflective practice. New York: The Guilford Press. 미소장
246 (2000). Attaining self-regulation. In M. Boekaerts, P. R. Pintrich & M. Zeidner (Eds.), The handbook of self-regulation. San Diego, CA: Academic Press. 미소장
247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 Setting 네이버 미소장
248 (1996). Developing self-regulated learners: Beyond achievement to self-efficac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미소장
249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네이버 미소장
25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네이버 미소장
251 Computer supported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wirelessly interconnected handheld computers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