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감사의 글
목차
국문요약 10
제1장 서론 12
제2장 연구 방법 17
2.1. 연구 대상 17
2.2. 실험 기기 및 도구 19
2.2.1. 근력 측정 도구 19
2.2.2. 수정 로우 검사(modified Rowe test) 20
2.2.3. 통증역치 측정 도구 22
2.2.4. 근전도 신호 수집 및 분석 시스템 23
2.3. 실험 방법 24
2.3.1. 근육별 평균 최대근력 측정 및 분석 24
2.3.2. 수정 로우 점수 평가 26
2.3.3. 통증역치 평가 26
2.3.4. 근전도 신호 수집 및 분석 26
2.3.4.1. 근전도 전극 부착 26
2.3.4.2. 근전도 신호 수집 29
2.3.4.3. 근전도 신호자료 처리 및 정량화 31
2.3.5.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 프로그램 33
2.3.6. 실험과정 35
2.4. 분석 방법 36
제3장 결과 37
3.1. 전거근 약화 및 견관절 통증 환자군의 특성과 정상군과의 비교 37
3.1.1. 환자군의 통증역치와 수정 로우 점수 37
3.1.2. 환자군과 정상군의 근육별 평균 최대근력 비교 38
3.1.3. 환자군과 정상군의 120도 상지 거상 근전도 비교 39
3.1.4. 환자군과 정상군의 전거근 수축 개시시간 비교 42
3.2. 전거근 약화 및 견관절 통증 환자군에 대한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 적용 전, 후의 비교 43
3.2.1.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 전, 후의 평균 최대근력 비교 43
3.2.2.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 전, 후의 통증역치, 수정 로우 점수 비교 44
3.2.3.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 전, 후의 상지거상 시 근 활성도 비교 45
3.2.4.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 전, 후의 전거근 수축 개시시간 비교 46
제4장 고찰 47
제5장 결론 52
참고문헌 53
ABSTRACT 62
그림 1. 휴대용 근력 측정기(HHD). 19
그림 2. 전자식 압통계. 22
그림 3. 노락손 Mvosystem 1400A 근전도 시스템 및 전극. 23
그림 4. 전삼각근 평균 최대근력 측정자세. 25
그림 5. 상승모근 평균 최대근력 측정자세. 25
그림 6. 하승모근 평균 최대근력 측정자세. 25
그림 7. 전거근 평균 최대근력 측정자세. 25
그림 8. 전삼각근과 전거근의 전극 부착위치. 28
그림 9. 상승모근과 하승모근의 전극 부착위치. 28
그림 10. 상지거상 동작 수행. 30
그림 11. 상지거상 동작의 근전도 신호 수집. 30
그림 12. 근전도 시스템의 근 수축 개시시간 분석. 32
그림 13. 벽 푸쉬업 플러스 운동 34
그림 14. 네발기기 푸쉬업 플러스 운동. 34
그림 15. 푸쉬업 플러스 운동. 34
그림 16. 연구 수행 과정 및 분석의 순서도. 35
전거근은 견갑상완리듬에 의한 견갑골의 상방회전 움직임을 통해 역동적 안정성의 역할을 수행한다. 전거근의 상대적 근력 약화 또는 근육간의 불균형적 활성화 패턴은 이차적인 견관절 충돌 증후근의 중요한 유발 요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첫째, 전거근 약화로 인한 경증도의 견관절 통증 및 기능저하 환자군과 정상군을 대상으로 환자군의 특징을 임상적 평가와 근전도 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둘째, 선별된 전거근 약화 환자군을 대상으로 7주간의 선택적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를 적용한 후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의 효과를 알아보았다.
상대적 전거근 약화를 가지고 있고 상지 거상과 관련된 스포츠 관련 활동에 참여하여 견관절에 경증도의 기능 저하와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 15명을 환자군으로 선별하였다. 주관적인 통증과 기능 측정의 수정 로우 검사(modified Rowe test)와 통증역치를 기본적인 임상적 증상 비교를 위한 측정 항목으로 선택하였다. 휴대용 근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전삼각근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전거근과 상승모근의 근력을 측정하였고, 동일한 방식으로 정량화된 전거근과 상승모근의 근 활성도 값도 분석되었다. 전거근의 상대적 근 수축 개시시간도 근전도의 분석에서 비교되었다. 전거근 강화를 위한 닫힌 사슬 운동치료로 3가지 다른 형태의 푸쉬업 운동인 푸쉬업 플러스(push-up plus), 네발기기 푸쉬업 플러스(knee push-up plus) 그리고 벽 푸쉬업 플러스(wan push-up plus)를 제공하였다.
환자군과 정상군의 비교를 통한 결과 1) 일상생활 동작과 유사한 상지 거상의 근전도 분석에서 전거근 활성도는 정상군에 비해 환자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고 상승모근 활성도는 유의하게 증가되었다(p<0.05). 2) 안정성의 기능을 추정하는 전거근의 상대적 근수축 개시시간은 정상군보다 환자군에서 동원의 지연이 있었다(p<0.05). 7주간의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에 따른 전, 후 비교의 결과는 3) 환자군의 전거근은 최대 평균 근력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통증역치 상승과 수정 로우 접수의 증가로 전반적인 견관절 통증 감소와 기능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4) 근전도 분석을 통해 상지 거상동작 시 상승모근의 활성도가 감소하였고, 전거근의 활성도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5) 전거근의 상대적 근 수축 개시시간도 유의하게 감소되었다(p<0.05).
증상 완화를 위한 7주간의 선택적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 적용을 통해 전거근의 근력향상 효과가 나타났고 통증의 감소와 기능의 향상, 그리고 근전도 분석에서의 운동조절 능력이 향상되었다. 그러므로 전거근 약화를 원인으로 하고, 견관절통증 및 기능저하, 비정상적인 운동조절 패턴의 환자에게 선택적인 전거근 강화 운동치료는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