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목적과 의의 11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4

II. 본론 16

1. 피아노 교재의 개념 16

2. 피아노 초급 교재 선택 시 평가 기준과 『즐거운 바이엘』 17

1) 베스틴이 제시한 평가기준 17

2) 정완규 박사가 제시한 평가 기준 18

3) 성진희 박사가 제시한 평가 기준 20

4) 평가 기준에 근거한 『즐거운 바이엘』교재의 구성 21

3. 교재 지도 전 예비이론 전달 방법 25

1) 피아노에서 색깔 찾기 놀이-건반, 페달 25

2) 건반 찾기 26

3) 줄, 칸의 구별 27

4) 음자리표와 계이름 익히기 28

5) 음표와 쉼표 공부 29

6) 음표와 쉼표 모양 만들어 보기 30

7) 손가락 체조와 손가락 번호 익히기 31

8) 시창과 청음 32

4. 제재곡의 분석 및 지도방안 33

1) 그림으로 알아보기 33

2) 양손 다섯 손가락의 건반자리 익히기 35

3) 리듬 익히기 38

4) 오선 익히기 42

5) 양손 연결 57

6) 양손 같이 가기 59

7) 양손 따로 따로 64

8) 음정 연습 69

9) 새로운 계이름 익히기 73

10) 다양한 리듬 익히기 78

11) 높은음자리보표에서의 새로운 계이름 84

12) 낮은음자리보표에서의 새로운 계이름 86

13) 검은 건반으로 연주해요 89

14) 화음 91

15) 못갖춘마디 94

16) 올림표 - #(샾) 97

17) 내림표 - ♭(플랫) 102

18) 8분 음표를 한 박으로 해요 105

19) 단조 107

20) 도의 자리와 솔의 자리의 비교 109

21) 좀 더 풍성한 표현 110

22) 음계(스케일) 연습 113

5. 제재곡의 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115

III. 결론 118

참고문헌 120

국문초록 122

Abstract 124

그림목차

〈그림 1〉 줄과 칸 구별 27

〈그림 2〉 계이름 카드의 예 28

〈그림 3〉 음표카드의 예 30

〈그림 4〉 피아노에 앉는 자세 34

〈그림 5〉 악보에서 그려지는 계이름 '솔' 43

〈그림 6〉 (제목없음) 64

〈그림 7〉 common time, alla breve 73

〈그림 8〉 계이름 카드 76

〈그림 9〉 1박자 기준, 음표길이 기준 손뼉 치기 79

〈그림 10〉 음표길이 기준 손뼉 치기 81

〈그림 11〉 1박자 기준, 음표길이 기준 손뼉 치기 85

〈그림 12〉 미 #, 시 # 97

〈그림 13〉 음표길이 기준 손뼉 치기 98

〈그림 14〉 딴이름 한소리 예 103

〈그림 15〉 페달 107

〈그림 16〉 1박자 음표 분할 110

악보목차

〈악보 1〉 1, 2번 손가락 연습 23

〈악보 2〉 주먹 쥐고 29

〈악보 3〉 1, 2, 3번 손가락 연습 36

〈악보 4〉 다섯 손가락 연습 38

〈악보 5〉 2분 음표 연습 39

〈악보 6〉 점 2분 음표 연습 40

〈악보 7〉 차례로 가는 양손 연습 41

〈악보 8〉 구슬비 43

〈악보 9〉 왼손 낮은 도 45

〈악보 10〉 오른손 중앙 도 46

〈악보 11〉 왼손 레 47

〈악보 12〉 오른손 레 48

〈악보 13〉 2도 음정 주고받기 49

〈악보 14〉 왼손 미 50

〈악보 15〉 오른손 파 51

〈악보 16〉 4도 음정 함께 치기 52

〈악보 17〉 왼손 솔 53

〈악보 18〉 5도 음정 함께 치기 54

〈악보 19〉 5도 음정 주고받기 54

〈악보 20〉 낮은음자리보표 라 55

〈악보 21〉 높은음자리보표 라 55

〈악보 22〉 낮은음자리보표 시 55

〈악보 23〉 높은음자리보표 시 56

〈악보 24〉 낮은음자리보표 가온 도 56

〈악보 25〉 높은음자리보표 높은 도 56

〈악보 26〉 기쁨의 노래 58

〈악보 27〉 달 59

〈악보 28〉 (제목없음) 60

〈악보 29〉 (제목없음) 61

〈악보 30〉 (제목없음) 62

〈악보 31〉 (제목없음) 63

〈악보 32〉 (제목없음) 64

〈악보 33〉 (제목없음) 65

〈악보 34〉 (제목없음) 66

〈악보 35〉 (제목없음) 67

〈악보 36〉 봄비 68

〈악보 37〉 음정 연습 70

〈악보 38〉 음정 노래 72

〈악보 39〉 작은별 77

〈악보 40〉 오른손 8분 음표 연습 80

〈악보 41〉 (제목없음) 82

〈악보 42〉 (제목없음) 87

〈악보 43〉 (제목없음) 90

〈악보 44〉 (제목없음) 91

〈악보 45〉 (제목없음) 93

〈악보 46〉 기쁜 크리스마스 95

〈악보 47〉 (제목없음) 100

〈악보 48〉 (제목없음) 101

〈악보 49〉 (제목없음) 106

〈악보 50〉 단조 노래 108

〈악보 51〉 (제목없음) 112

초록보기

 본 연구는 여러 가지 바이엘 교본 중에서 피아노 초급 교재 선택 시 평가기준에 근거하여 선정한 『즐거운 바이엘』의 효과적인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론의 첫 번째와 두 번째 장에서는 피아노 교재의 개념과 정의에 대하여 서술하고 피아노 교육학 박사들의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평가기준에 근거한 『즐거운 바이엘』의 구성을 서술하기 전 어린이들에게 좀 더 쉽고 친근하게 전달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제재곡의 지도 방안을 서술하였다.

피아노의 예비이론을 전달하는 부분에서는 우리 생활에서 친근하게 느끼는 단어와, 사물, 일상생활의 모든 것을 활용하여 좀 더 오랜 시간을 피아노라는 '친구'와 함께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유·아동에게 있어서 피아노 학습 시간은 기초적인 이론이 확실히 학습하지 않는 한 재밌고 즐거운 레슨 시간으로 생각되어지지 않기 때문에 예비이론의 전달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 사용된 『즐거운 바이엘』교재는 새로운 음악 용어에 대한 정의를 연습하는 과정에서 쉽게 흥얼거리며 저절로 터득할 수 있도록 가사로 제시한 점, 연습해야 하는 횟수를 명시하고 있는 점, 그리고 뛰어난 컬러감과 다양한 그림이 곡의 내용을 암시하여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동요와 민속 동요로 구성한 것을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론부분의 교재를 함께 구성하고 있지 않아 어린 유아의 경우 이론을 이해하며 피아노를 연습해 나가기에는 무리가 없지 않으며 좀 더 많은 조의 곡을 다루지 않은 것을 단점으로 볼 수 있다.

피아노 학습을 위한 완벽한 교재와 표준화 된 교수법은 존재 할 수 없기 때문에 한 가지 제한된 교재의 사용 보다 유·아동의 특성과 학습능력을 고려하여 다양하고 적절한 교재를 선택하여 효율적이고 능률적인 방법으로 교육하는 것이 바람직한 교사의 역할일 것이다.

또한 피아노 조기교육을 함에 있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점은 기계적인 연주보다 어린이의 적극적인 음악활동을 통하여 전인적 인격을 형성 할 수 있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