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논문개요

목차

I. 서론 10

II. 교재의 발전 과정 및 평가 기준 12

1. 교수법 및 교재의 발전 12

2. 피아노 교재의 평가 기준 14

III. 여러 나라 피아노 교재의 유형 21

1. 독일의 피아노 교재 21

2. 미국의 피아노 교재 23

3. 헝가리계 피아노 교재 27

4. 우리나라의 피아노 교재 28

IV. 피아노 교재 분석 32

1. 기본적인 접근 방법 36

2. 교재의 목적 및 형태 39

3. 자료의 연속성과 진행성 42

4. 음역 43

5. 박자를 세는 방법 45

6. 리듬의 제시 47

7. 화음과 음계 48

8. 이론 및 보충 자료 52

9. 형식과 구조 53

10. 음악성 54

11. 기본적인 특징 55

V. 결론 및 제언 63

참고문헌 66

Abstract 68

도표 목차

[도표1] 피어쎌의 피아노 교재 평가 기준 15

[도표2] 정완규의 피아노 교재 평가 기준 18

[도표3] 성진희의 피아노 교재 평가 기준 19

[도표4] 독일의 피아노 교본 22

[도표5] 미국의 피아노 교본 26

[도표6] 헝가리의 피아노 교본 28

[도표7] 한국의 피아노 교본 31

[도표8] 조와 손가락의 위치 49

[도표9] 각 교재들의 내용 비교 분석 58

악보 목차

(악보1) 알프레드 교재의 중앙 C 음에 의한 교수 방법 37

(악보2) 어드벤처 교재의 중앙 C 음에 의한 교수 방법 38

(악보3) 센소리와 여린 소리 39

(악보4) 빠르기말 40

(악보5) 검은 건반 학습 45

(악보6) 박자 세기 46

(악보7) 3/4 박자 젓기 47

(악보8) # 음계와 ♭ 음계(이미지참조) 51

(악보9) 음정 연습 53

(악보10) 다이나믹 연습 56

초록보기

음악 교육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피아노 교육은 어린이들에게 전인적인 인격과 풍요로운 정서 함양을 위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한 피아노 교육을 위해서는 올바른 기초 교재의 선택이 매우 중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는 현재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선호되고 있는 미국의 교재 「베스틴 피아노 라이브러리」, 「알프레드 피아노 교본」, 「피아노 어드벤처」와 우리나라의 「하이비스」의 교재를 선정하여 피어쎌 교수가 제시한 기초 교재 평가 기준에 따라 비교 분석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베스틴 피아노 라이브러리」는 비교적 간단한 악곡과 한 권의 분량이 작아서 4권까지 진도를 나가는 데 어려움은 없으나 테크닉 부분에 있어서는 다른 교재나 교사의 독창적인 교수법을 필요로 한다. 「알프레드 피아노 교본」은 초기 단계에 어린이들이 즐겁게 피아노를 칠 수 있도록 곡들이 쉽게 수록되어 있지만, 단계가 올라갈수록 난이도가 급격히 어려워져 다른 교재로 바꾸는 일이 빈번하므로 교사의 주의가 요구된다. 「피아노 어드벤처」는 최근 교재의 유형에 잘 부합되는 교재로써 전체적으로 색감이 화려하며, 연령에 맞게 그려져 있고 곡과 연관된 삽입이 학생들의 흥미를 갖게 한다. 감각적인 표현 학습을 위해 제목이 효과적으로 달려 있고 성취감을 느낄 정도의 두께이다. 그러나 영어 이름 학습과 여러 교재로 인해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며, 우리나라 정서에도 적합하지 않다. 「하이비스」는 처음 도입에서 센소리, 여린 소리를 통해 악기의 소리를 파악하고 접근하게 했다. 음악이론 학습은 비교적 간단하고 쉽게 설명하고 있고, 음표와 쉼표를 연관시켜 리듬치기나 리듬말을 일일이 지시하고 있으며, 친숙한 곡 중심으로 지휘법까지 소개하고 있어 다채로운 편이다. 전체적으로는 레슨교재 하나에서 듣기, 지휘 등 신체 표현을 부각시켰으며 그 틀에 맞춰 연주되는 것이 특징적이었다.

그러므로 앞으로 우리나라에서 출판될 피아노 교재는 앞서 언급한 교재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우리나라 고유의 곡들을 수록함으로써 우리 정서에 맞으면서 피아노 학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교재가 제작되어야 하겠다. 이와 함께 질 좋은 교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사의 폭넓은 전문성이 요구되는데 교사는 각 교재의 특성에 따른 장·단점을 파악하여 어린이의 선호도와 능력에 맞게 여러 교재를 보완하여 사용하는 방법을 선택할 수 있을 것이며 또 한편으로는 교사 나름대로 자신만의 독특한 교재를 편집하여 교수하는 것도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