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감사의 글
목차
I. 서론 7
1. 연구 동기 및 목적 7
2. 연구 방법 및 논문의 구성 16
II. 삼위일체론에 대한 여성신학적 연구 23
1. 기존 연구 검토 23
1) 현대 삼위일체론의 부흥에 이르기까지와 여성신학 23
2) 급진적 페미니즘에 의한 삼위일체론에 대한 거부 31
3) 삼위일체 하나님에 대한 언어적 재구성 36
4) 삼위일체 각 위격의 여성적 특성 회복 및 성령의 여성성 강조 44
2. 하나님 언어(God-Language)로서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여성신학적 비판 54
1) 하나님 언어로서의 삼위일체론에 대한 여성신학적 비판 54
2) 하나님 언어의 남성성과 위계적, 이원론적 하나님 및 실재 이해 57
III. 엘리자벳 존슨(Elizabeth Johnson)의 삼위일체론 67
1. 존슨의 여성신학 방법론; 고전신학과 여성신학의 접촉 68
2. 삼위일체에 대한 언어적 접근 74
3. 소피아 삼위일체론 91
1) 소피아 삼위일체론 92
2) 존슨에 대한 평가 : 소피아 개념의 제한성 108
4. 관계성으로서의 삼위일체론 146
1) 고전 신론에 대한 비판과 관계성으로서의 삼위일체론 146
2) 존슨의 관계성으로서의 삼위일체론과 몰트만의 삼위일체론과의 관련성 152
5. 성령중심의 삼위일체론 167
1) 성령중심의 삼위일체론 167
2) 존슨의 삼위일체론과 몰트만의 삼위일체론과의 관련성 172
IV. 캐더린 라쿠냐(Catherine LaCugna)의 삼위일체론 187
1. 라쿠냐의 여성신학 방법론; 전통의 비판과 재구성 188
2. 전통적 삼위일체 신학에 대한 비판 197
3. 구원론 중심의 삼위일체론 204
1) 라쿠냐의 삼위일체론과 라너의 삼위일체론과의 관련성 204
2) 라너의 원리의 수정과 라쿠냐에 대한 평가 214
4. 삼위일체에 대한 관계적 존재론(relational ontology, ontology of relation)의 접근 241
1) 동방신학의 원용의 맥락 243
2) 가파도키아 교부들 및 존 지지우라스의 삼위일체론의 비판적 전유 252
5. 실천적 삼위일체론 273
1) 친교 안의 인격들인 삼위일체 273
2) 실천적, 여성신학적 의의 287
3) 라쿠냐에 대한 평가와 몰트만의 삼위일체와의 관련성 302
V. 결론 320
1. E. 존슨과 C. 라쿠냐의 삼위일체론의 대화 : 공헌과 한계 320
2. 존슨과 라쿠냐의 삼위일체론의 영향과 의의 338
3. 한국 여성신학계에 대한 의의 : 한국현실에서의 여성신학적 실천을 향하여 343
참고문헌 355
Abstract 374
This thesis studies whether the doctrine of Trinity is compatible with the feminist theology which pursues women's full humanity and gender equality, or the doctrine of Trinity impedes such a feminist theological pursuit. For this objective, first, I dealt with feminist theological studies on the Trinity before Johnson and LaCugna. Secondly, I tried to clarify how Johnson's and LaCugna's feminist theological studies on the Trinity are consturcted, and what they contribute to modern systematic theology. Thirdly, I made efforts to find out what feminist theological and practical imports those two studies have on the Korean feminist theological circle and church women.
In chapter Ⅲ, I critically analyzed Johnson's study on the Trinity, especially in what philosophical and theological backgrounds her language approach and analogy are constructed, and what limits they have. I clarified in what backgrounds she selected the feminist theological language, sophia, and how she interpreted it feminist theologically. Discussing how Johnson's sophia Trinity is constructed, what traits it has, I argued that Johnson's sophia trinity has limits in terms of relation with Isis, sophia christology and createdness of sophia. In addition, I analyzed that Johnson's trinity has some similarities with J. Moltmann's social trinity regarding relationality, friendship, perichoresis, feminist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God, world and creation, as well as emphasis on the Holy Spirit, and feminist, ecological theological features.
In chapter Ⅳ, I critically analyzed how LaCugna's Trinity is constructed with her special emphasis on its practicality. I traced how LaCugna criticized Rahner's Rule and developed her own rule of indivisibility of theologia and oeconomia. In other words, I evaluated how she modified Rahner's frame of inner and outer Tinity, made a frame of a chiastic model of emanation and return, exitus and reditus, and constructed soteriology-centered Trinity. In addition to this, I critically studied how LaCugna drew some features from the Eastern Tradition, particularly the Cappadocian fathers' and John Zizioulas' Trinity of relation and person, after deconstructing the Trinitarian theologies of both Eastern and Western Churches regarding the relation between theologia and oeconomia. From these backgrounds LaCugna constructed a relational ontology of the Trinity with emphasis on person. I discussed what impacts LaCugna' Trinity has regarding feminist theological, practical imports, relations between the Eastern and Western Churches, and similarities with J. Moltmann's Trinity.
In chapter Ⅴ, I summarized my study and attempted to co-relate Johnson's Trinity with LaCugna's Trinity, clarifying contributions and limits of the two, and drawing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Johnson's sophia Trinity is a feminist theological criticism and reconstruction of the traditional Trinity, and an attempt of corelation between traditional theology and feminist theology. Its significant import lies in the fact that it, as a language approach to the Trinity, posed a problem of male-centeredness of God language and it tried to solve the problem by retrieving feminist language. But I pointed out that Johnson's approach remains focused on the language, falling short of dealing with the historical and real aspects of the God, Trinity.
LaCugna made contributions to the systematic theology by critically analyzing traditional Trinitarian theologies, and constructing soteriology-centered Trinity, therefore, in terms of feminist theological criticism and reconstruction of systematic theology. And I made it clear that LaCugna's relational ontological approach has a strong point in perceiving three divine hypostases as persons-in-communion, not as one independent, self-sufficient substance in a metaphysical substance ontology. But I argued that LaCugna's approach, especially its abstract and static ontology should be critically overcome.
In the Korean context, most Korean churches show very conservative and patriarchal opinions on the problem of maleness of God, Trinity. In addition to that, many Korean women are facing tough problems of survival, sexual discrimination, and alienation resulting from world economy of neo-liberalism with its emphasis on growth and competi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I argued that Johnson's language approach should be developed to be reflecting problems of world capitalism in close relations with which Korean church and society are placed, and including women's problems, not remaining focused only on the language of the three divine persons. Also, I maintained that LaCugna's relational ontology should be overcome to be a dynamic ontology reflecting rapidly changing reality of the Korean church and society in intimate connections with world capitalism.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She Who Is; The Mystery of God in Feminist Theological Discourse. (New York: Crossroad, 1992), 『하느님의 백한번째 이름』, 함세웅 역. 서울: 바오로 딸, 2000. | 미소장 |
2 | The Incomprehensibility of God and the Image of God Male and Female ![]() |
미소장 |
3 | Trinity ![]() |
미소장 |
4 | “The Symbolic Character of Theological Statements about Mary”, Journal of Ecumenical Studies. 22 (1985), pp. 318-323. | 미소장 |
5 | "Jesus, the Wisdom of God: A Biblical Basis for Non-Androcentric Christology", Ephemerides Theologicae Lovanienses. 61 (1985), pp. 261-277. | 미소장 |
6 | "Redeeming the Name of Christ", in Catherine LaCugna ed., Freeing Theology. San Francisco: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3. | 미소장 |
7 | Women, Earth, and Creator Spirit: Madeleva Lecture in Spirituality. New York: Paulist press, 1993. | 미소장 |
8 | Consider Jesus :Waves of Renewal in Christology. New York: Crossroad, 1995. | 미소장 |
9 | God for us: The Trinity and Christian Life. San Francisco: Harper, 1991. | 미소장 |
10 | "Current Trends in Trinity Theology," Religious Studies Review. 13/2 (April 1977), pp. 141-147. | 미소장 |
11 | Re-conceiving the Trinity as the Mystery of Salvation ![]() |
미소장 |
12 | The Relational God: Aquinas and beyond ![]() |
미소장 |
13 | “Making the Most of Trinity Sunday", Worship, 60 (1986). | 미소장 |
14 | "Returning from Trinity", Scottish Journal of Theology. 41 (1988), pp. 192-215. | 미소장 |
15 | “Baptismal Formula, Feminist Objections, and Trinitarian Theology”, Journal of Ecumenical Studies. 26:2 (Spring 1989), pp. 235-250. | 미소장 |
16 | "The Practical Trinity", Christian Century. 109/22 (July 15-22 1992), pp. 678-682. | 미소장 |
17 | .“God in communion with us”, Catherine LaCugna ed., Freeing Theology: the Essentials of Theology in Feminist Perspective. San Francisco: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3. | 미소장 |
18 | "Author's Response", Horizons. 20/1 (Spring 1993), p. 137. | 미소장 |
19 | “Reviews of the Promise of Trinitarian theology”, Modern Theology. vol. 9 (1993), pp. 307-309. | 미소장 |
20 | "Translator's Dilemma: Inclusive Language" , Interpretation 38 (January 1984), pp. 64-66. | 미소장 |
21 | The Gospel according to St. John International Biblical Commentary vol 1. London: SPCK. 1978, 『요한복음I』국제성서주석 32, 서재경, 김화진, 박재순 공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4. | 미소장 |
22 | Die Kirchliche Dogmatik I/1. Zurich: Theologischer Verlag. 1986, 『교회교의학 I-1: 하나님의 말씀에 관한 교의, 전반부』, 박순경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3. | 미소장 |
23 | The Theology of Jurgen Moltmann. Edinburgh, Scotland: T&T Clark LTD, 1995. | 미소장 |
24 | London-born black caribbean children are at increased risk of atopic dermatitis ![]() |
미소장 |
25 | The Battle for the Trinity: The Debate over Inclusive God Language. Ann Arbor: Servant Publications, 1985. | 미소장 |
26 | Journeys by Heart: A Christology of Erotic Power. New York: Crossroad, 1995. | 미소장 |
27 | Transforming Grace: Christian Tradition and Women's Experience. San Francisco: Harper & Row, 1988. | 미소장 |
28 | eds., Religion, Feminism and the Family. Kentucky: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6. | 미소장 |
29 | Portrait de Karl Barth. Geneve: Labor et Fides, 1960, 『칼 바르트의 생애와 사상』, 최 영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3. | 미소장 |
30 | The Inclusive-Language Debate: A Plea for Realism. MI: Baker Book House, 2000. | 미소장 |
31 | "Why women need the Goddess", Carol p. Christ, Judith Plaskow eds., Womanspirit Rising. New York: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2. | 미소장 |
32 | Jesus Sophia: Die Sophia-christologie bei den ynoptikern. Zuerich: Zwingli, 1970. | 미소장 |
33 | The Power to Speak. Crossroad; New York, 1991. | 미소장 |
34 | eds., Horizons in Feminist Theology; Identity, Tradition and Norms.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7. | 미소장 |
35 | Feminist Theology as Theology of Religions ![]() |
미소장 |
36 | Old Testament Wisdom an Introduction. Atlanta: John Knox Press, 1981, 『구약 지혜문학의 이해』, 강성열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 미소장 |
37 | Beyond God the Father: Toward a Philosophy of Women's Liberation. (Boston: Beacon Press, 1985, 『하나님 아버지를 넘어서』, 황혜숙 역. 서울: 이대출판부, 1996. | 미소장 |
38 | “Review of God for Us”, Modern Theology. 9/2 (April 1993), pp. 215-216. | 미소장 |
39 | Gender and the Name of God: The Trinitarian Baptismal Formula. New York: Pilgrim Press, 1991. | 미소장 |
40 | Patricia eds., Praising God; the Trinity in Christian Worship.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9. | 미소장 |
41 | Unity and Diversity in the New Testament- An Inquiry into the Character of Earliest Christianity. London: SCM, 1977, 『신약성서의 통일성과 다양성』, 김득중, 이광훈 공역. 서울: 도서출판 솔로몬, 1988. | 미소장 |
42 | Christology in the Making: A New Testament Inquiry into the Origins of the Doctrine of the Incarnation.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1980. | 미소장 |
43 | "Stoicism in Philippians", Paul in His Hellenistic Context.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5. | 미소장 |
44 | eds., Concilium, Women: Invisible in Church and Theology. Edinburgh: T&T Clark, 1985. | 미소장 |
45 | In Memory of Her: A Feminist Theological Reconstruction of Christian Origins. New York: Crossroad, 1983, 『크리스챤 기원의 여성신학적 재건』, 김애영 역. 안양 : 태초, 1993. | 미소장 |
46 | Sharing Her Word: Feminist Biblical Interpretation in Context. (Boston: Beacon Press, 1998), 『성서-소피아의 힘』, 김호경 역. 서울: 다산, 2002. | 미소장 |
47 | God as Communion,: John Zizioulas, Elizabeth Johnson, and the Retrieval of the Symbol of the Triune God. Minnesota: The Liturgical Press, 2001. | 미소장 |
48 | "Review on She Who Is", Religious Studies Review. vol 21 (January 1995), p. 23. | 미소장 |
49 | Changing the Subject: Women's Discourses and Feminist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4. | 미소장 |
50 | The Trinity and Subordinationism: The Doctrine of God and the Contemporary Gender Debate. Illinois: Interv arsity Press, 2002. | 미소장 |
51 | Changing of the Gods: Feminism and the End of Traditional Religions. Boston: Beacon Press, 1979. | 미소장 |
52 | A History of Christian Thought vol. 1. 『기독교사상사 I』, 이형기, 차종순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8. | 미소장 |
53 | Rediscovering the Triune God: the Trinity in Contemporary Theology.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4. | 미소장 |
54 | 20th-Century Theology: God and the World in a Transitional Age. Illinois: Inter Varsity Press, 1992. | 미소장 |
55 | The Core of Our Desire ![]() |
미소장 |
56 | Introducing Feminist Images of God. Cleveland Ohio: The Pilgrim press, 2001. | 미소장 |
57 | Ecofeminism and Theology. Kampen: Kok Pharos, 1994. | 미소장 |
58 | Capitalism and Christianity: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Personalism. By Bayer Richard C. .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1999. xvi + 176 pages. $45.00 (paper $19.95). ![]() |
미소장 |
59 | "Catherine Mowry LaCugna's Contribution to Trinitarian Theology" Theological Studies. 63 (2002), pp. 730-752. | 미소장 |
60 | Feminism and Religion. Boston: Beacon Press, 1996,『페미니즘과 종교』, 김윤성, 이유나 역. 서울; 청년사, 1999. | 미소장 |
61 | Theology and Feminism. Oxford: Blackwell Publishers, 1990. | 미소장 |
62 | A Handbook of Theological Terms . 『신학용어해설』, 박양조 역. 서울: 기독교문사, 1984. | 미소장 |
63 | Catherine Mowry LaCugna's Trinitarian Theology: IV- The Trinity, Pastoral Theology, and Catherine Lacugna: The Trajectory of a Friendship ![]() |
미소장 |
64 | Revising the Church.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8, 『전환기의 교역론』, 박근원 역. 서울: 그리스도교 신학 연구소, 1991. | 미소장 |
65 | Wind of the Spirit, A Constructive Christian Theology. Louisville, Kentucky: Westminster/John Knox Press, 1994, 『기독교 구성신학』, 손원영 외 역. 서울: 은성출판사, 2000. | 미소장 |
66 | eds., Christian Theology. Philadelphia: Fortress, 1994, 『현대 기독교 조직신학』, 윤철호 역.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9. | 미소장 |
67 | The Trinity; Nexus of the Mysteries of Christian Faith. New York: Orbis Books, 2005. | 미소장 |
68 | "Books on the Theme of Trinity", Living Pulpit. 8, no 2 (1999), pp. 33-35. | 미소장 |
69 | Introducing Body Theology.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8. | 미소장 |
70 | Introducing Feminist Theology.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Sheffield, 2001. | 미소장 |
71 | eds., An A to Z of Feminist Theology. Sheffield: Sheffield Academic Press, 1996. | 미소장 |
72 | Feminist Theory and Christian Theology : Cartographies of Grace. Minneapolis: Fortress Press, 2000. | 미소장 |
73 | Jesus der Christus, Mainz : Matthias Gruenewald, Verlag, 『예수 그리스도』, 박상래 역. 서울: 분도출판사, 1977. | 미소장 |
74 | The God of Jesus Christ, trans., Matthew J. O'Connel. New York: Crossroad, 1996. | 미소장 |
75 | "Pneumatic Nudges: The Theology of Moltmann, Feminism, and the Future", The Future of Theology. Michigan: Grand Rapids, 1996. | 미소장 |
76 | ed., Speaking the Christian God the Holy Trinity and the Challenge of Feminism. Michigan/Leominster: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Gracewing, 1992. | 미소장 |
77 | ed., This is My Name Forever: The Trinity and Gender Language for God. Illinois: InterVarsity Press, 2001. Kloppenborg, John S. "Early Christianity, Q, and Jesus", Semeia. 55 (1992). | 미소장 |
78 | eds., Theologie-wohin, Benziger Verlag, 1984, 현대신학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박재순 역. 서울: 한국신학 연구소, 1989. | 미소장 |
79 | Epochen der Dogmen Geschichte, 『기독교 교리사』, 구영철 역. 서울: 컨콜디아사, 1995. | 미소장 |
80 | Umwelt des Neuen Testaments. Gottingen: Vendenhoeck & Ruprecht, 1971, 『신약성서 배경사』, 박창건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5. | 미소장 |
81 | Her Story: Women in Christian Tradition.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8, 『기독교 전통 속의 여성』, 손승희 역. 서울: 이대출판부, 1995. | 미소장 |
82 | Wisdom Myth and Mythology: An Essay in Understanding a Theological Tradition ![]() |
미소장 |
83 | "Two Models of Trinitarian Theology: A Way Beyond the Impasse", Perspectives in Religious Studies. 21 (Spring 1994), pp. 61-63. | 미소장 |
84 | The Feminist Question: Feminist Theology in the Light of Christian Tradition. Michigan: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1994. | 미소장 |
85 | Right Relations: A Test of the "Practical" Trinitarian Doctrine of God for Ecclesiology in the Theologies of Catherine Mowry LaCugna and Edward Schillebeeckx. New York: UMI dissertation services, 2001. | 미소장 |
86 | Metaphorical Theology: Models of God in Religious Language.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2, 『은유신학: 종교 언어와 하느님 모델』, 정애성 역. 서울: 한들, 2001. | 미소장 |
87 | Christian Theology. 『역사 속의 신학』, 김홍기외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 미소장 |
88 | Imago Trinitatis: Toward a Relational Understanding of Becoming Human. Lanham, M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002. | 미소장 |
89 | Trinity, Community and Power. Tennessee: Kingswood Books, Abingdon Press, 2000. | 미소장 |
90 | Dividing Lines in Jesus Research Today ![]() |
미소장 |
91 | An Introduction to the Apocrypha. New York: Oxford Univ. press, 1977, 『외경이란 무엇인가』, 민영진 역. 서울: 컨콜디아사, 1979. | 미소장 |
92 | “Review of God for Us”, Louvain Studies. 20/1(Spring 1995), p. 91. | 미소장 |
93 | The Divine Feminine; The Biblical Imagery of God as Female. Crossroad; New York, 1993. | 미소장 |
94 | Toward a Contemporary Doctrine of the Immanent Trinity: Karl Barth and the Present Discussion ![]() |
미소장 |
95 | Der gekreuzigte Gott: Das Kreuz Christi als Grund und Kritik christlicher Theologie. München: Chr. Kaiser Verlag, 1972,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 김균진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79. | 미소장 |
96 | Gott in der Schoepfung. München: Chr. Kaiser Verlag, 1985, 『창조 안에 계신 하나님』, 김균진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6. | 미소장 |
97 | Trinitat und Reich Gottes. München: Chr. Kaiser Verlag, 1980, 『삼위일체와 하나님 나라』, 김균진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2. | 미소장 |
98 | Der Geist des Lebens: Eine ganzheitliche Pneumatologie. München: Chr. Kaiser Verlag, 1991, 『생명의 영』, 김균진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2. | 미소장 |
99 | In der Geshichte des dreieinigen Gottes. 『삼위일체와 하나님의 역사: 삼위일체 신학을 위한 기여』, 이신건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 미소장 |
100 | Erfahrungen theologischen Denkens: Wege und Formen christlicher Theologie. Gütersloh: Chr. Kaiser, 1999, 『신학의 방법과 형식: 나의 신학 여정』, 김균진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 미소장 |
101 | Das Land wo Milch und Honig fliesst. 『젖과 꿀이 흐르는 땅』, 김윤옥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1. | 미소장 |
102 | What Are They Saying about Theological Method? Ramsey: Paulist Press, 1984, 『신학방법론』, 윤흥식 역. 서울, 기 독교문서선교회, 2000. | 미소장 |
103 | The Tree of Life: An Exploration of Biblical Wisdom Literature. New York: The Anchor Bible Reference Library, 1992, 『생명의 나무』, 박요한 영식 신부 역. 서울: 성바오로, 1998. | 미소장 |
104 | National Council of Churches, An Inclusive Language Lectionary: Readings for Year A. Atlanta: John Knox Press; New York: Pilgrim Press;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83. | 미소장 |
105 | The Trinity. Michigan: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2002, 『삼위일체』,이세형 역.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 | 미소장 |
106 | 21-aminosteroid and 2-(aminomethyl)chromans inhibition of arachidonic acid-induced lipid peroxidation and permeability enhancement in bovine brain microvessel endothelial cell monolayers ![]() |
미소장 |
107 | Gender and the Trinity ![]() |
미소장 |
108 | The Cambridge Companion to Feminist Theology ![]() |
미소장 |
109 | God as Trinity: Relationality and Temporality in Divine Life. Louisville: Westminster/John Knox Press, 1993. | 미소장 |
110 | "Der dreifaltige Gott als Transzendeter Urgrund der Heilsgeschichte", in Die Heilsgeschichte vor Christus, volume 2 of mysterium Salutis, Grundriss helsgeschichtlicher Dogmatik, eds., Johannes Feiner and Magnus Loehrer, Einsiedeln, Germany: Benziger, 1965-1976, The Trinity, trans., Joseph Donceel. 1970; rpt., New York: Crossroad, 1997, 2004. | 미소장 |
111 | Grundkurs des Glaubens. Einfuehrung in den Begriff des Christentums. Verlag Herder, Friburg i. Br., 1976, Foundations of Christian Faith. The Seabury Press, 1978, 『그리스도교 신앙입문: 현대 가톨릭 신학 기초론』, 이봉우 역. 서울: 분도출판사, 1994. | 미소장 |
112 | "Naming the Trinity: Orthodoxy and Inclusivity" Worship. 60 (November 1986), pp. 492-493. | 미소장 |
113 | God beyond Gender: Feminist Christian God-Language. Minneapolis: Fortress Press, 1995. | 미소장 |
114 | Spring-in study of the aileron rib manufactured from advanced thermoplastic composite ![]() |
미소장 |
115 | ""Logoi Sophon": on the Gattung of Q", Trajectories Through Early Christianity.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71. | 미소장 |
116 | Sexism and God-talk. Boston: Beacon Press, 1983, 『성차별과 신학』, 안상님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5. | 미소장 |
117 | Between the Testaments. London: SCM press, 1960, 『신구약 중간시대』, 임태수 역. 서울: 컨콜디아사, 1977. | 미소장 |
118 | Future of Partnership.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9. | 미소장 |
119 | ed., The Liberating Word: A Guide to Nonsexist Interpretation of the Bible.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76, 『해방의 말씀』, 김상화 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0. | 미소장 |
120 | Household of Freedom: Authority in Feminist Theology. Philadelphia: Westminster press, 1987. | 미소장 |
121 | eds., Dictionary of Feminist Theologies. Louise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1996, 『여성신학 사전』, 황애경 역. 서울: 이대출판부, 2003. | 미소장 |
122 | Quilting and Braiding: the Feminist Christologies of Sallie McFague and Elizabeth A. Johnson in Conversation. Minnesota: The Liturgical Press, 1998. | 미소장 |
123 |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Nashville: Abingdon press, 1968, 『구약성서개론』, 김이곤, 문희석, 민영진 공역.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78. | 미소장 |
124 | The Philosophy of Religious Language, Sign, Symbol, and Story. Oxford: Blackwell, 1996. | 미소장 |
125 | "Jesus was a Feminist", The Catholic World. (January 1971), pp. 177-183. | 미소장 |
126 | ed., Through her Eyes. New York: Orbis Books, 1995. | 미소장 |
127 | ed. Ingeberg C. Henerr, Vorlesungen uber die Geschichte des Christlichen Denkens-Urchristentum bis Nachreformation. Evangelisches Verlagswert, Stuttgart, 1971, 『폴틸리히의 그리스도교 사상사』, 송기득 역.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3. | 미소장 |
128 | ed., The Future of Theology: Essays in Honor of Jürgen Moltmann. Michigan: William B. Eerdmans Pub. Co, Grand Rapids, 1996. | 미소장 |
129 | Theologie des Alten Testaments. München: Chr. Kaiser Verlag, 1958. tr., D. M. G. Stalker, Old Testament Theology. San Francisco: Harper, 1962. 『구약성서신학III』, 허혁 역. 왜관: 분도출판사, 1976. | 미소장 |
130 | The Orthodox Church. Middlesex: Penguin Books, 1986. 『동방정교회의 역사와 신학』, 이형기 역. 서울: 한국장로교 출판사, 1999. | 미소장 |
131 | Feminist Practice and Poststructuralist Theory. Oxford: Basil Blackwell, 1987, 『여성해방의 실천과 후기구조주의 이론』, 조주현 역. 서울: 이대출판부, 1993. | 미소장 |
132 | "Tri-feminism", Theology Today. 52 (1995), pp. 330-343. | 미소장 |
133 | GENDER IN THE TRINITY ![]() |
미소장 |
134 | Faith Feminism and the Christ.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83. | 미소장 |
135 | The Jesus Quest: The Third Search for The Jew of Nazareth. Illinois: InterVarsity Press, 1995. | 미소장 |
136 | Feminist theology/ Christian theology: in Search of Method. Philadelphia: Fortress Press, 1990. | 미소장 |
137 | "The Trinity and Women's Experience", The Christian Century. (April 15, 1987), pp. 354-356, 534-535. | 미소장 |
138 | Human Capacity and Human Incapacity: A Theological Exploration of Personhood ![]() |
미소장 |
139 | Being as Communion: Studies in Personhood and the Church. New York: St. Vladimir Seminary Press, 2002. | 미소장 |
140 | 『페미니즘과 기독교』.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 미소장 |
141 | 『사회문제와 기독교 윤리』.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4. | 미소장 |
142 | 구덕관 박사 회갑기념 논문집 출판위원회. 『지혜전승과 설교』.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1. | 미소장 |
143 | 『폴 틸리히 신학연구』.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 미소장 |
144 | 『이름 없는 하느님: 유일신 신앙에 대한 김경재 교수의 본격 비판』. 서울: 삼인, 2002. | 미소장 |
145 | 캅바도키아 교부들의 삼위일체론에서 위격과 실체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소장 |
146 | 『신학을 어떻게 할 것인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 미소장 |
147 | 『한국 여성신학의 지평』. 서울: 한울, 1995. | 미소장 |
148 | 『여성신학의 주제탐구』. 오산: 한신대학교출판부, 2003. | 미소장 |
149 | “여성신학과 하나님 언어”. 한국기독교장로회신학연구소, 『말씀과 교회』, (2004. 2). | 미소장 |
150 |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0. | 미소장 |
151 | 『현대 삼위일체론 연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3. | 미소장 |
152 | 『교의학 방법론 I, II』.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7. | 미소장 |
153 | 『칼 바르트의 신론 연구』. 서울: 이화여대논총, 1973. | 미소장 |
154 | 『하나님 나라와 민족의 미래』. 서울: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4. | 미소장 |
155 | 『민족통일과 기독교』. 서울: 한길사, 1986. | 미소장 |
156 | "한국 여성신학의 영성". 한국기독교학회, 『오늘의 영성신학』. 서울: 양서각, 1988. 박순경. #@ 『통일신학의 여정』. 서울: 한울, 1992. | 미소장 |
157 | 『통일신학의 미래』. 서울: 사계절, 1997. | 미소장 |
158 | 초기 헬레니즘 시대 유대교의 지혜의 성격 : 전도서와 벤 시라서를 중심으로 | 소장 |
159 | 한국여성신학 ![]() |
미소장 |
160 | 예수와 Q 공동체의 하나님 | 소장 |
161 | 『예수 말씀 복음서 Q 개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 | 미소장 |
162 | 하이데거와 신의 현현 ![]() |
미소장 |
163 | 『여성신학 이야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2. | 미소장 |
164 | 『조직신학의 이해』.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2. | 미소장 |
165 | 『신앙과 이해』.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9. | 미소장 |
166 | 개혁 신학의 義認論과 聖化論의 재조명 | 소장 |
167 | issue of rejection and acceptance of contemporary culture in Judaism and New Testament ![]() |
미소장 |
168 | 『예수 그리스도 상, 하』.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8. | 미소장 |
169 | 『구약성서의 하나님, 역사, 여성』.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0. | 미소장 |
170 | 『기독교대백과사전』. 서울: 기독교문사, 1980. | 미소장 |
171 | 요한 福音書의 로고스;개념의 출처와 특성에 대하여 | 소장 |
172 | 『삼위일체』.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1. | 미소장 |
173 | 칼 라너의 종교 신학 ![]() |
미소장 |
174 | 하느님을 체험한다는 것 : 칼 라너의 초월론 | 소장 |
175 | 『알기 쉽게 간추린 몰트만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 미소장 |
176 | 『현대의 삼위일체』. 서울: 생명의 씨앗, 2006. | 미소장 |
177 | "Q, 그리스도교 기원의 고고학". 『기독교사상』, 1994년 9월호, 69면. | 미소장 |
178 | 원시 그리스도교 혼합주의 : '바울 종교의 헬레니즘화'를 중심으로 | 소장 |
179 | 칼바르트의 화해론 연구 | 소장 |
180 | “칼 바르트는 과연 자연신학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주었나? - 손영진 박사의 ”칼 바르트의 기독론은 위로부터의 기독론인가“에 답하며”. 『말씀과 교회』, 2000년 10월호. | 미소장 |
181 | “Q의 지혜 기독론 연구”, 장로회 신학대학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5). | 미소장 |
182 | 편집부 엮음. 『현대신학을 이해하기 위해 꼭 알아야 할 28인』.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 미소장 |
183 | 한국여신학자협의회 ![]() |
미소장 |
184 | 한국여신학자협의회 ![]() |
미소장 |
185 | 한국여신학자협의회 ![]() |
미소장 |
186 | 한국여신학자협의회 ![]() |
미소장 |
187 | 한국여신학자협의회 ![]() |
미소장 |
188 | 한국여신학자협의회 ![]() |
미소장 |
189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여성위원회. 『주기도 새번역안, 무엇이 문제인가』. 서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2007. | 미소장 |
190 | 생명의 영성 : 생명과 성령: 생명 현상에 대한 신학적 이해를 위하여 ![]() |
미소장 |
191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편, 『철학대사전』. 서울: 동녘, 1990. | 미소장 |
192 | 제2부 현대 조직신학자들의 영성 : 바르트의 신학과 영성 ![]() |
미소장 |
193 | 『삼자적 임재: 성령론적 신학 방법론 서설』. 서울: 한들출판사, 2000. | 미소장 |
194 | <여성신문>. 2006년 5월 5일자. 9월 1일자. 9월 15일자. 2007년 5월 11일자. 7월 6일자. | 미소장 |
195 | <한겨레신문>. 2007년 7월 3일자, 1월 16일자. | 미소장 |
196 | <조선일보>. 2007년 4월 28일자.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