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2. 연구문제 11
3. 연구범위 및 한계 11
II. 이론적 배경 13
1.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역할 정체감 13
가. 생물학적 성(sex)과 사회적 성(gender)의 개념 13
나.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역할 정체감 16
다. 대학생과 젠더의 관계 22
2. 양성평등의식의 이해 25
가. 양성평등의 개념적 특성 25
나. 양성평등의식검사의 유형 32
다. 양성평등교육의 동향과 과제 34
3. 성 인지적 관점과 실천 37
가. 성인지력의 개념적 특성 37
나. 성인지적 관점과 실천 38
III. 연구방법 41
1. 연구대상 41
2. 조사도구 41
3. 자료분석 43
IV. 연구 결과 및 논의 44
1. 조사대상자의 개인적 배경 44
2. 대학생의 인구대상학적 배경과 양성평등의식 45
가. 성별 양성평등의식 45
나. 연령별 양성평등의식 46
다. 학교별 양성평등의식 48
라. 가족형태별 양성평등의식 50
마. 소결 52
3. 개인적 배경요인별 남녀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차이 53
가. 연령별 남녀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차이 53
나. 학교별 남녀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차이 54
다. 전공계열별 남녀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차이 55
라. 가족형태별 남녀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차이 56
마. 소결 57
4. 양성평등의식이 가장 낮은 문항과 가장 높은 문항의 비교 58
가. 가정생활척도의 문항별 평균비교 58
나. 학교생활척도의 문항별 평균비교 59
다. 직장생활척도의 문항별 평균비교 60
라. 사회문화생활척도의 문항별 평균비교 61
마. 소결 62
V. 결론 65
1. 요약 및 결어 65
2. 제언 66
참고문헌 74
〈부록 : 설문지〉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성(性) 인지성에 관한 설문지 68
Abstract 79
본 연구는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 수준과 성인지적 관점에 관한 분석을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대학생들이 양성평등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성, 연령, 전공계열과 같은 사회적 환경과 어떠한 인과적인 상관을 가지는지 밝혀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생활척도, 학교생활척도, 직업생활척도, 사회문화생활척도별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은 어떠한가?
둘째, 성, 연령, 학교, 전공계열, 가족형태별 남녀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셋째, 대학생의 성인지적 관점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의 현황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인구학적 특징과 양성평등의식 척도간의 관계분석을 조사하였다. 조사연구를 위한 대상자는 현재 부산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에 재학 중인 만 18세부터 만 23세까지의 남녀대학생이며 한국여성개발원(2002)에서 제작된 청소년용 한국형 남녀평등의식검사(KGES-A)를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총 426부였으며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일원배치분산분석, 일반선형모델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각 척도별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의 정도가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활, 가정생활, 학교생활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성별에 따라 양성평등의식을 살펴본 결과, 4가지 영역척도에서의 양성평등의식은 여자대학생이 남자대학생보다 높았으며 대학생의 연령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을 살펴본 결과. 4가지 영역척도에서의 양성평등의식은 나이가 적을수록 전반적인 양성평등 의식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전공계열에 따른 양성평등의식을 살펴본 결과, 4가지 영역척도에서의 양성평등의식은 인문사회계열의 대학생이 자연계열의 대학생보다 높았으며 계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가족의 형태에 따라 대학생들의 양성평등의식을 살펴본 결과, 양성평등의식의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체 문항을 대상으로 양성평등의식이 가장 낮은 문항은 “여자에게는 시집 잘 가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이며 가장 높은 문항은 “어린아이가 있는 여자도 직업을 가질 수 있도록 보육시설을 늘려야 한다.”이다. 4가지 영역별 척도 중 가정생활과 학교생활의 영역에서의 양성평등의식의 정도가 직업생활과 사회문화생활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조사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성인지성에 관한 정책과제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 집단의 성, 지역, 전공계역, 가족형태와 같은 배경요인을 고려한 양성평등의식교육 및 정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둘째, 대학생의 양성평등의식 향상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에서의 양성 평등한 사회문화적 분위기 확산(인프라 구축)이 병행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관련기관간의 적극적인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