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Ⅰ.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2. 연구 문제 11
3. 용어의 정의 11
1) 야뇨증 11
2) 부적응 행동 12
3) 행동주의적 미술치료 12
Ⅱ. 이론적 배경 13
1. 야뇨증 13
1) 야뇨증의 개념 13
2) 대소변 가리기와 심리적 발달 15
3) 야뇨증 아동의 특성 17
2. 부적응 행동 18
1) 부적응 행동의 개념 18
2) 야뇨증 아동과 부적응행동 19
3) 부적응행동과 미술치료 19
3. 행동주의적 미술치료 21
1) 행동주의적 미술치료의 개념 21
2) 야뇨증 아동과 행동주의적 미술치료 23
Ⅲ. 연구방법 26
1. 연구대상 26
1) 아동의 특성 26
2) 가족 배경 27
3) 배변훈련 시기의 양육 환경 27
4) 의뢰사유 28
2. 연구도구 28
1) 야뇨빈도 측정 28
2) 한국 아동 인성평정 척도 (KPRC: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 29
3) KFD 29
4) 부적응 행동관찰 32
3. 연구절차 33
4. 미술치료 프로그램 33
5. 자료분석 38
Ⅳ. 연구결과 39
1. 행동주의적 미술치료가 야뇨증 아동의 야뇨빈도 감소에 미치는 효과 39
2. 행동주의적 미술치료가 야뇨증 아동의 부적응 행동개선에 미치는 효과. 40
1) 한국 아동 인성 평정척도(KPRC) 검사에 의한 비교분석 40
2) 동적 가족화(KFD) 그림검사에 의한 비교 44
3) 부적응 행동 관찰에 의한 비교 분석 46
3. 행동주의적 미술치료 과정에 있어서 야뇨증 아동의 변화양상 46
1) 야뇨증 아동의 변화양상 46
2)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회기별 기록 48
Ⅴ. 논의 및 결론 92
참고문헌 98
Abstract 103
부록 105
〈부록 1〉 행동 계약서 1 106
〈부록 2〉 행동 계약서 2 107
〈부록 3〉 부적응 행동 관찰 목록 108
〈부록 4〉 부모교육 내용 109
〈그림 1〉 각 국가별 연령에 따른 야뇨증의 유병률 14
〈그림 2〉 야뇨증 아동의 야뇨 빈도의 변화 추이 39
This study is to help bed-wetting children express creatively and freely to project themselves onto art works by means of art therapy, and to investigate if and how behavioral art therapy can help the children with bed-wetting at night reduce the frequency of bed-wetting and improve maladjusted behavior.
The study subject is a seven year old boy living in Daegu city who has shown the symptoms of nocturnal enuresis (bed-wetting at night) and maladjusted behavior. The art therapy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18 sessions during the period of August 7 to November 15 of 2007, 1-2 sessions a week, and each session lasting 50 minutes. For data analysis, adopted are a comparative analysis for pretest and posttest of KPRC and KFD to check if the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in reducing the frequency of bed-wetting at night. Changes in maladjusted behavior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and during the whole process of the program a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havioral art therapy is effective for reducing the frequency of the child's bed-wetting.
Second, behavioral art therapy has effects on improving the child's maladjusted behavior.
Third, the child has changed through behavioral art therapy to the extent that maladjusted behavior has been reduced; smooth interactions are enhanced; expression of feelings is encouraged; and fear to be filthy is lessened.
There could be some suggestions, howe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not be generalized because this study is based on a single case. Various programs for children's bed-wetting at night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for practical purposes. There needs a follow-up study concerning the child's developmental stages including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