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7

Ⅰ. 서론 9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9

2. 연구방법 및 연구범위 12

Ⅱ. 본론 14

1장 학교폭력의 개념 및 원인 14

1. 학교폭력의 개념 14

2. 학교폭력의 원인 15

2장 학교폭력의 사례 및 현황 17

1. 학교폭력 사례 17

2. 학교폭력 현황 20

3장 학교폭력예방교육 27

1. 학교사회복지사 제도 27

2.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지도 안 29

3.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40

Ⅲ. 결론 70

참고문헌 74

부록 76

Abstract 84

표목차

〈표 1〉 학교폭력 발생건수 21

〈표 2〉 학교폭력 징계건수 21

〈표 3〉 학교폭력 유형별 피해자 22

〈표 4〉 학교폭력 피해기간 23

〈표 5〉 학교폭력의 가해대상 23

〈표 6〉 학교폭력 피해 장소 23

〈표 7〉 학교폭력 피해자 현황 24

〈표 8〉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교육 지도 안 30

〈표 9〉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교육 지도 안 34

〈표 10〉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교육 지도 안 36

〈표 11〉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교육 지도 안 38

〈표 12〉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교육 실시기간 42

〈표 13〉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교육 참여도 인원(%) 43

〈표 14〉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교육 참여도 인원(%) 44

〈표 15〉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교육의 만족도 인원(%) 46

〈표 16〉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교육의 만족도 인원(%) 47

〈표 17〉 학교폭력예방 교육의 형태(지도자) 인원(%) 48

〈표 18〉 학교폭력의 범주 및 학교폭력 실태에 대한 이해 조사 인원(%) 51

〈표 19〉 학교폭력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에 대한 이해 조사 인원(%) 52

〈표 20〉 학교폭력 예방을 위한 실천의지 인원(%) 54

〈표 21〉 학교폭력의 예방효과 인원(%) 55

〈표 22〉 S중학교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 교육의 효과 인원(%) 57

〈표 23〉 학교폭력의 범주 및 학교폭력 실태에 대한 이해 조사 인원(%) 58

〈표 24〉 학교폭력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에 대한 이해 조사 인원(%) 59

〈표 25〉 학교폭력에 대한 방관적 의식 조사 인원(%) 61

〈표 26〉 학교폭력예방을 위한 실천자세 인원(%) 63

〈표 27〉 학교폭력 실태조사(가해경험) 인원(%) 64

〈표 28〉 학교폭력 실태조사(피해경험) 인원(%) 66

〈표 29〉 학교폭력 예방대책 인원(%) 67

〈표 30〉 ‘학교폭력 신고센터’의 예방효과 인원(%) 68

초록보기

최근 학교폭력의 경향은 저연령화 되고 있으며, 집단 따돌림과 같은 정신적 폭력에 시달리는 현상이 증가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학교폭력이 매해 증가되고 학교폭력이 근절되지 못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예방교육의 부재를 들고 있다. 스웨덴, 노르웨이 등 북유럽 국가들의 경우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해 학교폭력을 50% 줄였다는 보고도 있어 학교폭력 예방교육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왔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예방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서 학교사회복지사를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는 학교와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일선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학교사회복지사를 활용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은 연구·시범학교라는 한계점이 있지만 지도자가 지도 교육 안을 통해 각 학년, 각 반별, 모둠별로 예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또한 학교폭력 발생 후의 사후 대책에 중점을 둔 교육이 아니라, 학교폭력에 노출되어 있는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예방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측면에서 교육의 의의가 크다.

이러한 학교사회복지사를 활용한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교육이 갖는 교육의 효과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 할 수 있다.

첫째. 학교폭력의 범주와 학교폭력의 실태를 통해서 학교폭력의 심각성을 이해하게 하는 교육이 이루어졌다.

둘째. 학교폭력 가해자, 피해자, 방관자의 입장을 이해하게 하는 교육을 통해서 무심하게 방관하며, 동조하는 자세가 아닌 중재 역할의 중요성과 방법을 제시하여 방관자에 대한 새로운 가치관을 정립할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 졌다.

셋째. 학교폭력 예방을 위해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자세를 갖는 긍정적인 가치관의 변화를 가져왔다.

넷째.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대처방안에 대한 교육이 이루어졌다.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을 통해 학교폭력의 위험성을 알게 됨으로써 학교폭력을 감소하고 예방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대처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은 학교폭력 예방 대책으로 정착되어져야 한다. 학교폭력 예방 교육의 중요성에 대해 인지해야 하며,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의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연구 및 개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 교육이 정착 할 수 있는 제반여건이 조성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