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4
I. 머리말 6
II. 김경신의 정치 활동과 왕위 계승 8
1. 혜공왕대 정치 상황과 김경신의 활동 8
2. 선덕왕대 김경신과 김주원의 왕위 경쟁 18
III. 원성왕의 왕권 강화 정책 26
1. 정치 세력의 통합 노력 26
2. 제도와 사상의 정비 32
3. 당 및 발해와의 외교 43
IV. 맺음말 52
참고문헌 56
(Abstract) 60
본 논문은 新羅 元聖王(金敬信)의 왕위 계승과 왕권 강화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惠恭王대 김경신이 어떻게 활동하였는지 당시 정치 상황과 함께 살펴보았다. 그리고 宣德王(金良相)대 왕위 계승자였던 金周元과 김경신의 왕위 경쟁에 대해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원성왕이 자신의 즉위를 반대하는 세력들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어떻게 왕권을 강화해 나갔는지 알아보았다.
혜공왕은 모후 섭정기를 걸쳐 재위 11년(775) 친정을 개시하였다. 김경신은 김양상, 김주원과 함께 혜공왕의 친정 지지 세력이었다. 그리하여 그는 혜공왕을 대신해서 김유신가를 포섭하는 역할을 하였다. 그러던 중 혜공왕 16년(780) 金志貞이 반란을 일으키자 김경신은 반란 진압에 군사를 동원하였고, 이러한 공이 인정되어 김양상이 왕위에 오르자 상대등이 되었다.
김경신의 군사력은 반란 진압에 결정적인 도움이 되었지만, 선덕왕에게는 오히려 자신의 왕권을 유지하는데 부담이 되었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선덕왕은 재위 5년(784) 선위를 표명하였다. 이는 당시 왕위 계승의 제1후보자인 김경신이 아닌 무열왕계인 김주원으로 하여금 다음 왕위를 잇게 하고자 한 선덕왕의 의지를 드러내는 것이었다. 그러나 김경신은 선덕왕의 선위를 무마시키고, 자신의 지지 세력을 확대해 나갔다. 그리하여 그는 선덕왕이 죽자 왕위 계승자인 김주원을 물리치고 자신의 지지 세력을 기반으로 하여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왕위에 오른 원성왕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먼저 그는 정치 세력들을 통합하기 위해 힘을 기울였다. 원성왕은 즉위하자마자 문무백관에게 관위를 1등급씩 올려주고, 김주원의 지지 세력인 悌恭을 시중에 임명하였다. 그리고 왕위 계승 경쟁에서 패하고 溟州로 물러난 김주원을 명주군왕으로 봉하기도 하였다. 원성왕대에는 즉위년(785)과 재위 6년(790)년에 瑞祥 중 하나인 赤烏가 나타났다. 이러한 적오의 출현과 진상은 여타의 진골 귀족 세력들이 원성왕의 왕위계승을 인정하고 지지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원성왕은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제도를 정비하기도 하였다. 먼저 그는 자신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직계 4祖를 추봉하고 이 작업이 끝나자 곧 태자 책봉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리고 그는 政法典을 정비하여 다른 귀족들의 불사 활동을 통제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원성왕은 재위 4년(788) 讀書三品科를 설치하여 새로운 인재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한편, 원성왕은 사상을 정비하여 왕권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그는 萬波息笛의 권위를 강조하여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만파식적을 아버지로부터 전해받았다는 설화를 유포시켰다. 그리고 원성왕은 예악 사상에 관심을 기울이기도 하였으며 奉恩寺를 중창하여 백성들과 귀족 세력들을 정신적으로 규합하고자 노력하였다.
원성왕은 외교 관계를 통해 왕권 강화를 추구하기도 하였다. 唐으로부터 책봉을 받은 원성왕은 당과의 관계 유지를 통해 왕권을 안정시키고 강화하고자 노력하였다. 그리고 그는 재위 6년 渤海에 사신을 파견하였다. 당시 신라 정계는 원성왕의 왕권 강화로 인한 진골 귀족들의 불만이 쌓여 있는 상태였다. 이에 원성왕은 발해 사신 파견을 통해 귀족들의 관심을 외부로 돌리고자 하였던 것이다.
이처럼 왕위 계승자로 지목된 김주원과의 왕위 계승 경쟁에서 승리한 원성왕은 정치 세력을 통합하고 제도와 사상을 정비하며 외교 관계 등 제 측면들을 통해 왕권을 강화하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