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Chapter Ⅰ. 서론 28

1.1. 연구테마 선정과 전제조건 29

1.2.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1

1.3. 연구의 범위 및 대상 34

1.4. 연구의 방법 및 진행체계 37

Chapter Ⅱ. 공연문화시설의 이론적고찰 41

2.1. 공연문화시설의 정의와 오페라하우스의 개념 42

2.1.1. 공연문화시설의 정의와 역할 42

2.1.2. 오페라하우스의 개념과 특징 44

2.2. 공연시설의 유형과 특징 49

2.2.1. 공연시설의 시대적 특징 49

2.2.2. 공연시설의 변천 58

2.2.3. 공연예술의 종류 67

2.2.4. 공연문화시설의 유형 72

2.2.5. 공연문화시설의 형식 82

2.3. 공연문화시설의 소요공간과 사용자 99

2.3.1. 공연문화시설의 공간구성과 분류 99

2.3.2. 공연문화시설의 공간구성 체계 103

2.3.3. 공연문화시설의 사용자 104

Chapter Ⅲ. 오페라하우스의 계획요소와 공간구성 115

3.1. 오페라하우스의 공간구성과 동선시스템 116

3.1.1. 오페라하우스의 소요공간과 분류체계 [Facility program] 116

3.1.2. 오페라하우스의 공간개념과 동선시스템 [Circulation System] 124

3.1.3. 오페라하우스의 공간연계 및 동선에 따른 공간구성모델 [Spatial Zonning & Structure] 129

3.2. 오페라하우스의 스페이스프로그램 분석을 통한 계획요소 142

3.2.1. 스페이스 프로그램분석 142

3.2.2. 용적분석과 스페이스프로그램 비교 151

3.3. 계획요소 도출을 위한 분석지표설정 163

3.3.1. 공연문화시설의 건립기획 프로세스 163

3.3.2. 건립기획 및 건축계획을 위한 분석요소 170

3.3.3. 연구의 범위설정에 따른 공간계획(공간구성모델) 측면에서의 분석지표 174

Chapter Ⅳ. 오페라하우스 공간계획의 실증적 분석과 평가 175

4.1. 사례대상관 시설개요 및 영역설정 176

4.1.1. 시설개요 176

4.1.2. 사례대상관 도면분석 및 영역설정 191

4.2. 사례대상관의 공간구성체계분석 212

4.2.1. 소요시설 분류 및 구성체계 212

4.2.2. 사용자 및 물류의 동선시스템 분석 242

4.2.3. 소요시설의 연계방식과 공간구성체계 분석 272

4.3. 인터뷰 분석을 통한 사용자 요구평가 322

4.3.1. 인터뷰 분석 List 322

4.3.2. 사용자 요구분석 323

4.4. 소결 330

4.4.1. 소요시설의 분화체계에 따른 규모별 위계설정 330

4.4.2. 사례대상관 비교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333

4.4.3. 인터뷰 분석을 통한 사용자 요구분석 344

4.4.4. 분석종합 및 공간계획 고려사항 346

Chapter Ⅴ. 오페라하우스의 공간계획요소와 공간구성모텔제안 350

5.1. 오페라하우스 공간계획 Check Point (Guide Line) 351

5.1.1. 공공서비스 영역 (Public Space) 351

5.1.2. 상연영역 (Performance Space)_관객부문 353

5.1.3. 상연영역 (Performance Space)_공연부문 355

5.1.4. 상연영역 (Performance Space)_공연지원 부문 361

5.1.5. 상연영역 (Performance Space)_제작 부문 363

5.1.6. 관리·사무 영역 (Administration Space) 365

5.2. 소요시설의 분화체계에 따른 접근방식과 공간구성모델 369

5.2.1. 공공서비스 영역 [Public Area]의 분화체계 369

5.2.2. 상연영역 [Performance Area]의 분화체계 370

5.2.3. 관리/사무영역 [Administration Area] 373

5.2.4. 연계방식의 적용을 통한 공간구성모델 374

5.3. 제작 및 운영방식에 따른 시설형식 별 공간구성모델(예시) 375

Chapter Ⅵ. 결론 385

6.1. 분석결과의 종합고찰 386

6.2. 향후 연구과제 393

부록 394

Ⅰ. 시설개요 및 도면 395

Ⅱ. 인터뷰 분석을 통한 사용자 요구평가 437

참고문헌 472

Abstract 497

[표 2-1] 시대별 공연시설의 특징 57

[표 2-2] 무대, 객석공간의 구성과 공연의 표현요소와 관계 58

[표 2-3] 음향이론의 발달사 65

[표 2-4] 공연문화시설의 운영방식에 따른 분류방식 72

[표 2-5] 상연종목에 의한 극장형식의 분류 74

[표 2-6] 객석 수에 따른 공연장의 규모 89

[표 2-7] 공연시설 무대, 객석공간의 평면형상 도식화 96

[표 2-8] 공연장의 사용자와 공간부문 99

[표 2-9] 공연장의 운영자 그룹의 구분과 역할 105

[표 2-10] 공연장의 홍보마케팅 그룹의 구분과 역할 106

[표 2-11] 공연장의 지원그룹의 구분과 역할 107

[표 2-12] 공연장의 무대기술그룹의 구분과 역할 108

[표 2-13] 공연장의 예술스텝그룹의 구분과 역할 109

[표 2-14] 출연진 및 관련자의 구분과 역할 110

[표 3-1] 공공서비스 영역의 소요시설 116

[표 3-2] 관람부문 소요시설 117

[표 3-3] 공연부문 소요시설 117

[표 3-4] 공연지원부문 소요공간 118

[표 3-5] 제작부문 소요공간 120

[표 3-6] 설비부문 소요시설 121

[표 3-7] 관리부문 소요시설 122

[표 3-8] 공용부문 소요시설 122

[표 3-9] 오페라하우스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123

[표 3-10] 분석사례 공연시설의 건축개요 143

[표 3-11] 대구오페라하우스와 코펜하겐오페라하우스의 면적비교표 146

[표 3-12] 국립극장 분석내용 152

[표 3-13] 세종문화회관 분석내용 154

[표 3-14] 대구오페라하우스 분석내용 156

[표 3-15] LG아트센터 분석내용 158

[표 3-16] 운영자문위원과 건축자문위원의 기획연구 내용 166

[표 3-17] 계획요소 도출을 위한 분석항목 173

[표 3-18] 연구의 범위설정에 따른 공간계획 측면에서의 분석지표 174

[표 4-1] 세종문화회관 시설개요 176

[표 4-2] 국립극장 시설개요 177

[표 4-3] 대전 아트센터 시설개요 178

[표 4-4] 대구 오페라하우스 시설개요 179

[표 4-5] LG 아트센터 시설개요 180

[표 4-6] 고양시 일산문화센터 (아람누리) 시설개요 181

[표 4-7] 성남아트센터 시설개요 182

[표 4-8] 예술의 전당 시설개요 183

[표 4-9] 동경문화회관 시설개요 184

[표 4-10] 동경 신 국립극장 시설개요 185

[표 4-11] 도코로자와 문화센터_MUSE 시설개요 186

[표 4-12] 사이타마 아트 시어터 시설개요 187

[표 4-13] 도쿄 메트로폴리탄 아트센터 시설개요 188

[표 4-14]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시설개요 189

[표 4-15] 바스티유 오페라하우스 시설개요 190

[표 4-16] 세종문화회관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212

[표 4-17] 국립극장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214

[표 4-18] 대전아트센터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216

[표 4-19] 대구오페라하우스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218

[표 4-20] LG 아트센터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220

[표 4-21] 고양시 일산 문화센터(아람누리)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222

[표 4-22] 성남 아트센터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224

[표 4-23] 예술의 전당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226

[표 4-24] Tokyo Metropolitan Symphony Orchestra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228

[표 4-25] New National Theater, Tokyo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230

[표 4-26] Tokorozawa Culture Center, Muse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232

[표 4-27] Saitama Atrs Theater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234

[표 4-28] Tokyo Metropolitan Art Space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236

[표 4-29] Copenhagen Opera House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238

[표 4-30] L'Opera de la Bastille 소요공간별 분류체계 240

[표 4-31] 공연장 현황조사 및 분석을 위한 인터뷰 항목 분류표 322

[표 4-32] 인터뷰 분석을 통한 사용자 요구사항 [관객] 324

[표 4-33] 인터뷰 분석을 통한 사용자 요구사항 [출연자] 325

[표 4-34] 인터뷰 분석을 통한 사용자 요구사항 [스텝] 327

[표 4-35] 인터뷰 분석을 통한 사용자 요구사항[관리·운영자] 328

[표 4-36] 소요공간의 분화 규모별 위계설정 330

[표 4-37] 공연시설 사례대상관 현황분석 344

[표 4-38] 소요공간의 분화 규모별 위계설정 345

[표 4-39] 분석종합 347

[표 4-40] 공연시설 공간계획 고려요소 348

[표 5-1] 객석 배열의 계획 요건 354

[표 5-2] 공공서비스 영역 [Public Area]의 분화체계 369

[표 5-3] 상연영역 [Performance Area]의 분화체계 370

[표 5-4] 상연영역 [Performance Area]의 분화체계 371

[표 5-5] 상연영역 [Performance Area]의 분화체계 372

[표 5-6] 관리/사무영역 [Administration Area] 373

[표 5-7] 제작방식과 운영방식 및 규모에 따른 시설형식 375

[표 5-8] 오페라하우스 운영 및 제작 방식에 따른 세부공간별 조합 377

[표 Ⅰ-1] 세종문화회관 시설개요 395

[표 Ⅰ-2] 국립극장 시설개요 398

[표 Ⅰ-3] 대전 아트센터 시설개요 401

[표 Ⅰ-4] 대구 오페라하우스 시설개요 403

[표 Ⅰ-5] LG 아트센터 시설개요 406

[표 Ⅰ-6] 고양시 일산문화센터(아람누리) 시설개요 409

[표 Ⅰ-7] 성남아트센터 시설개요 411

[표 Ⅰ-8] 예술의 전당 시설개요 415

[표 Ⅰ-9] 동경문화회관 시설개요 418

[표 Ⅰ-10] 동경 신 국립극장 시설개요 421

[표 Ⅰ-11] 도코로자와 문화센터_MUSE 시설개요 423

[표 Ⅰ-12] 사이타마 아트 시어터 시설개요 425

[표 Ⅰ-13] 도쿄 메트로폴리탄 아트센터 시설개요 427

[표 Ⅰ-14]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시설개요 430

[표 Ⅰ-15] 바스티유 오페라하우스 시설개요 434

[표 Ⅱ-1] 공연장 현황조사 및 분석을 위한 인터뷰 항목 분류표 437

[그림 1-1] 연구테마 선정과 전제조건 30

[그림 1-2] 연구의 배경 및 목적 33

[그림 1-3] 연구의 범위 및 대상 36

[그림 1-4] 연구의 방법 및 진행체계 39

[그림 2-1] 에피다우르스(Epidaurus, BC340) 극장 단면각도, 그리스 시대의 공연시설은 그림처럼 26.5˚ 내외의 각도로 구성되어 있다. 49

[그림 2-2] 아스펜더스 극장 단면도, 지붕에 천막을 설치하여 부분적인 실내공간을 형성하였다. 51

[그림 2-3] 만시옹, 중세시대 고정무대에 사용된 배경구조물이다. 52

[그림 2-4] 수레무대의 단면도 52

[그림 2-5] 콘월야외극장 무대배치도 52

[그림 2-6] 로마시대 아스펜더스 극장(BC11) 평면도 54

[그림 2-7] 르네상스시대 떼아트로 올림피코- 비센자(1585) 평면도 54

[그림 2-8] Globe Theater 평면도 54

[그림 2-9] 글로브 극장 복원도 54

[그림 2-10] 떼아트로 올림피코 사비에타(1590)의 무대구배와 투시도적 배경 54

[그림 2-11] 드루리 레인 극장(1674)의 단면도, 무대높이가 높고 무대하부에 기계장치와 다층의 발코니석이 설치되어 있다. 55

[그림 2-12] 떼아트로 올림피코 사비에타(1590) 평면도 59

[그림 2-13] 떼아트로 파네세 파르마(1619) 평면도 59

[그림 2-14] 떼아트로 파네세 파르마 단면도 60

[그림 2-15] 스카라 극장 평면도 60

[그림 2-16] 드루리 레인 극장의 평면도 60

[그림 2-17] 칼 페르디난트 랑그한스의 극장 음향 분석도 61

[그림 2-18] 길리의 극장계획안 61

[그림 2-19] 쉰켈의 극장 계획안 62

[그림 2-20] 점퍼의 뮌헨 모뉴멘탈 극장 계획안 62

[그림 2-21] 바이에른 축제극장 평면도 62

[그림 2-22] 바이에른 축제극장 단면도 62

[그림 2-23] 보스톤 심포니 홀 평면도 63

[그림 2-24] 베를린 필하모닉 평면도 63

[그림 2-25] 총체극장의 3가지 변형 타입 평면도 64

[그림 2-26] 공연문화시설 유형에 따른 분류 73

[그림 2-27] 공연시설 형식에 따른 분류 82

[그림 2-28] 프로세니움 스테이지 무대형식(Hostos Center)/ 동경문화회관 84

[그림 2-29] 프로세니움 스테이지 무대형식(Hostos Center)/ 요코하마아레나극장 85

[그림 2-30] 오픈 스테이지 무대형식(Central Bank Auditorium)/ 동경 신국립극장 87

[그림 2-31] 가변형 스테이지의 사례 (Horrogate Theater) 88

[그림 2-32]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의 말굽형 객석 92

[그림 2-33] LG Art Center의 메가폰형 객석 93

[그림 2-34] Saitama Atrs Theater(Concert Hall)의 슈박스형 객석 93

[그림 2-35] Suntory Hall의 바인야드형 객석 94

[그림 2-36] Royal Albert Hall의 타원형 객석 94

[그림 2-37] Bayreuth Festspielhaus의 부채형 객석 95

[그림 2-38] Aichi Arts Center(Main Hall)의 킹그랩형 객석 95

[그림 2-39] 기능에 따른 공연장의 사용자 104

[그림 2-40] 예술의 전당의 조직표 113

[그림 2-41] 세종문화회관의 조직도 113

[그림 2-42] 국립극장의 조직도 114

[그림 2-43] 브로드웨이 뮤지컬 극장의 조직도 114

[그림 3-1] Function Program에 따른 Circulation System 126

[그림 3-2] 오페라하우스 동선시스템 127

[그림 3-3] 공공 서비스 영역과 관객부문 130

[그림 3-4] 공연준비 부문 131

[그림 3-5] 오페라 극장의 오케스트라단 공연준비 부문 133

[그림 3-6] 심포니 홀의 공연준비부문 134

[그림 3-7] 리허설 관련 제실 135

[그림 3-8] 오페라하우스의 기술지원 부문 136

[그림 3-9] 오페라하우스의 제작 부문 138

[그림 3-10] 오페라하우스의 제작 부문과 사무공간의 연계 139

[그림 3-11] 관리·사무영역과 공공서비스 영역 140

[그림 3-12] 오페라하우스의 일반적인 기능도 141

[그림 3-13] 사례시설의 연면적 대비 시설영역 분포(대분류) 144

[그림 3-14] 사례시설의 연면적 대비 시설영역 분표(소분류) 145

[그림 3-15] 대구 오페라하우스와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의 동일스케일 평면도 146

[그림 3-16] 대구 오페라하우스와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평면 오버랩 148

[그림 3-17] 대구 오페라하우스와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단면 오버랩 148

[그림 3-18] 대구 오페라하우스와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의 면적 비교 그래프 148

[그림 3-191 대구 오페라하우스와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의 연면적대비 면적비율 비교 그래프 148

[그림 3-20] 대구오페라하우스, 코펜하겐오페라하우스, 바스티유오페라하우스 오버랩 150

[그림 3-21] 사례공연문화시설의 면적, 용적비교 (절대치 면적㎡, 절대치 용적㎡) 160

[그림 3-22] 사례공연문화시설의 면적, 용적비교 (백분율%) 160

[그림 3-23] 분석결과와 향후 보완연구 사항 161

[그림 3-24] 공연문화시설 건립기획 Process 진행 다이어그램 169

[그림 3-25] 건축계획요소도출을 위한 분석지표설정 172

[그림 4-1] 세종문화회관1층 평면도 191

[그림 4-2] 장충동 국립극장1층 평면도 193

[그림 4-3] 대전 아트센터 중1층 평면도 194

[그림 4-4] 대구 오페라하우스 1층 평면도 196

[그림 4-5] LG아트센터 3충 평면도 197

[그림 4-6] 고양시 일산문화센터(아람누리) 1층 평면도 198

[그림 4-7] 성남아트센터 대극장 1층 평면도 199

[그림 4-8] 예술의 전당_오페라극장 1층 평면도 201

[그림 4-9] 동경문화회관 1층 평면도 203

[그림 4-10] 동경 신 국립극장 1층 평면도 204

[그림 4-11] 도코로자와 문화센터_MUSE 1층 평면도 205

[그림 4-12] 사이타마 아트 시어터 1층 평면도 207

[그림 4-13] 도쿄 메트로폴리탄 아트센터 2층 평면도 208

[그림 4-14]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지하1층 평면도 209

[그림 4-15] 바스티유 오페라하우스 2층 평면도 210

[그림 4-16] 세종문화회관 동선시스템 분석도 242

[그림 4-17] 장충동 국립극장 동선시스템 분석도 244

[그림 4-18] 대전 문화 예술의전당 동선시스템 분석도 246

[그림 4-19] 대구 오페라하우스 동선시스템 분석도 248

[그림 4-20] LG 아트센터 동선시스템 분석도 250

[그림 4-21] 일산문화센터(아람누리) 동선시스템 분석도 252

[그림 4-22] 성남아트센터 동선시스템 분석도 254

[그림 4-23] 예술의 전당 동선시스템 분석도 256

[그림 4-24] 동경문화회관 동선시스템 분석도 258

[그림 4-25] 동경신국립극장 동선시스템 분석도 260

[그림 4-26] 도코로자와 문화센터_MUSE 동선시스템 분석도 262

[그림 4-27] 사이타마 아트시어터 동선시스템 분석도 264

[그림 4-28] 도쿄 메트로폴리탄 아트센터 동선시스템 분석도 266

[그림 4-29]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동선시스템 분석도 268

[그림 4-30] 바스티유 오페라하우스 동선시스템 분석도 270

[그림 4-31] 세종문화회관 연계기능도 272

[그림 4-32] 장충동 국립극장 연계기능도 276

[그림 4-33] 대전아트센터 연계기능도 279

[그림 4-34] 대구오페라하우스 연계기능도 282

[그림 4-35] LG아트센터 연계기능도 285

[그림 4-36] 고양시 일산문화센터 연계기능도 288

[그림 4-37] 성남아트센터 연계기능도 291

[그림 4-38] 예술의 전당_오페라 극장 연계기능도 294

[그림 4-39] 동경문화회관 연계기능도 298

[그림 4-40] 동경신국립극장 연계기능도 301

[그림 4-41] 도코로자와 문화센터_MUSE 연계기능도 305

[그림 4-42] 사이타마 아트시어터 연계기능도 309

[그림 4-43] 도쿄 메트로폴리탄 아트센터 연계기능도 312

[그림 4-44]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연계기능도 315

[그림 4-45] 바스티유 오페라하우스 연계기능도 319

[그림 5-1] 가시선의 단면상 검토 353

[그림 5-2] 가시선의 평면상 검토 353

[그림 5-3] 프랑스 바스티유 오페라하우스 1층 평면도 356

[그림 5-4] 덴마크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1층 평면도 357

[그림 5-5] 일본 신국립극장 중극장 평면의 구성 357

[그림 5-6] 대규모 제작장의 예 364

[그림 5-7] 영국 국립극장 부설 제작장 (london, 영국) 364

[그림 5-8] 소요시설의 분화체계에 따른 접근방식과 연계모형 374

[그림 5-9] 초대형규모급 오페라 전문공연시설_공간구조모형(안)_영문 378

[그림 5-10] 초대형규모급 오페라 전문공연시설_공간구조모형(안)_국문 379

[그림 5-11] 대형규모급 오페라 전문공연시설 [프로듀싱+상주단체(유)] 오페라하우스_공간구조모형(안) 380

[그림 5-12] 대형규모급 오페라 전문공연시설 [논 프로듀싱+상주단체(유)] 오페라하우스_공간구조모형(안) 381

[그림 5-13] 대형규모급 오페라 전문공연시설 [논 프로듀싱+상주단체(무)] 오페라하우스_공간구조모형(안) 382

[그림 5-14] 중형규모급 오페라 전문공연시설 [논 프로듀싱+상주단체(무)+초청] 오페라하우스_공간구조모형(안) 383

[그림 5-15] 중형규모급 오페라 전문공연시설 [논 프로듀싱+상주단체(무)+대관] 오페라하우스_공간구조모형(안) 384

[그림 Ⅰ-1] 세종문화회관 영역설정-지하1층 396

[그림 Ⅰ-2] 세종문화회관 영역설정-지상2층 397

[그림 Ⅰ-3] 세종문화회관 영역설정-지상3층 397

[그림 Ⅰ-4] 국립극장 영역설정-지하1층 399

[그림 Ⅰ-5] 국립극장 영역설정-지상2층 400

[그림 Ⅰ-6] 세종문화회관 영역설정-지상3층 400

[그림 Ⅰ-7] 대전아트센터 영역설정-1층 402

[그림 Ⅰ-8] 대전아트센터 영역설정-2층 402

[그림 Ⅰ-9] 대구 오페라하우스 영역설정-지하1층 404

[그림 Ⅰ-10] 대구 오페라하우스 영역설정-지상2층 405

[그림 Ⅰ-11] 대구 오페라하우스 영역설정-지상3층 405

[그림 Ⅰ-12] LG아트센터 영역설정-지상1층 407

[그림 Ⅰ-13] LG아트센터 영역설정-지상2층 407

[그림 Ⅰ-14] LG아트센터 영역설정-지상3층 별관 408

[그림 Ⅰ-15] 고양시 일산문화센터(아람누리) 조감도 410

[그림 Ⅰ-16] 고양시 일산문화센터 로비, 객석부분 410

[그림 Ⅰ-17] 고양시 일산문화센터 영역설정-지하1층 410

[그림 Ⅰ-18] 성남아트센터 영역설정-지상2층 412

[그림 Ⅰ-19] 성남아트센터 영역설정-대극장 지상3층 412

[그림 Ⅰ-20] 성남아트센터 영역설정-대극장 지하1층 413

[그림 Ⅰ-21] 성남아트센터 영역설정-중극장 지상1층 413

[그림 Ⅰ-22] 성남아트센터 영역설정-중극장 지하1층 414

[그림 Ⅰ-23] 예술의 전당 영역설정-지상2층 416

[그림 Ⅰ-24] 예술의 전당 영역설정-지상3층 416

[그림 Ⅰ-25] 예술의 전당 영역설정-지상4층 417

[그림 Ⅰ-26] 예술의 전당 영역설정-지하1층 417

[그림 Ⅰ-27] 동경문화회관 영역설정-지하1층 419

[그림 Ⅰ-28] 동경문화회관 영역설정-지상2층 420

[그림 Ⅰ-29] 동경문화회관 영역설정-지상3층 420

[그림 Ⅰ-30] 동경 신 국립극장 영역설정-지상1층 422

[그림 Ⅰ-31] 도코로자와 문화센터_MUSE 영역설정-지상2층 424

[그림 Ⅰ-32] 사이타마 아트 시어터 영역설정-지상2층 426

[그림 Ⅰ-33] 사이타마 아트 시어터 영역설정-지상3층 426

[그림 Ⅰ-34] 도쿄 매트로폴리탄 아트센터 영역설정-지상1층 428

[그림 Ⅰ-35] 도쿄 매트로폴리탄 아트센터 영역설정-지상5층 428

[그림 Ⅰ-36] 도쿄 매트로폴리탄 아트센터 영역설정-지상7층 429

[그림 Ⅰ-37] 도쿄 매트로폴리탄 아트센터 영역설정-지상8층 429

[그림 Ⅰ-38]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영역설정-지상1층 431

[그림 Ⅰ-39]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영역설정-지상2층 432

[그림 Ⅰ-40]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영역설정-지상3층 432

[그림 Ⅰ-41]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영역설정-지상4층 433

[그림 Ⅰ-42]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영역설정-지상5층 433

[그림 Ⅰ-43] 바스티유 오페라하우스 영역설정-지하중층 435

[그림 Ⅰ-44] 바스티유 오페라하우스 영역설정-지상6층 435

[그림 Ⅰ-45] 바스티유 오페라하우스 영역설정-지하1층 436

[사진 2-1] 디오니소스 극장, 그리스 시대 반원형으로 된 야외공연장이다. 50

[사진 2-2] 콜로세움, 로마시대 원형으로 된 격투경기장이다. 50

[사진 2-3] 연암문화재단이 건설, 운영하는LG아트홀(좌) / 금호문화재단이 설립한 금호아트홀(우) 78

[사진 2-4] 예술의 전당은 논프로듀싱 씨어터로 출발하였으나 최근 국립 오페라단등 계약제상주 예술단체를 두어 안정적인 프로그래밍을 시도하고 있다. 80

[사진 2-5] 동경 신국립극장 중극장 사진 86

[사진 2-6] Cosmos Hall(Main Hall) 무대에서 객석을 바라본 전경 90

[사진 2-7] Cosmos Hall(Main Hall) 객석에서 무대를 바라본 전경 90

[사진 2-8] Edwin Thomas Hall의 연속된 천장반사판 90

[사진 2-9] New luxor theatre의 천장반사판 90

[사진 2-10] Tokorozawa Culture Center (Medium Size Hall) 91

[사진 2-11] Symphony Garden 91

[사진 2-12] Fuchu-no-mori Theater(Vienna Hall)의 잔향가변장치 92

[사진 3-1] 코펜하겐오페라하우스 6면무대 145

[사진 4-1] 중앙 광장의 조각공원 272

[사진 4-2] 공연전 로비 273

[사진 4-3] 객석 내 슈퍼인포즈 273

[사진 4-4] 임시 설치된 영사기 273

[사진 4-5] 무대세트 조립장 274

[사진 4-6] 출연자 휴게실 274

[사진 4-7] 오케스트라 연주 공간 274

[사진 4-8] 단체분장실 275

[사진 4-9] 대형의 세트제작장 277

[사진 4-10] 대형의 세트제작장 277

[사진 4-11] 로비와 무대의 연결통로 278

[사진 4-12] 무대, 분장실 간 연결통로 278

[사진 4-13] 옆 무대에 임시로 설치되어있는 퀵체인지 룸 278

[사진 4-14] 옆 무대에 임시로 설치되어있는 퀵체인지 룸 278

[사진 4-15] 로비-관리 사무영역 연결통로 280

[사진 4-16] 외부 하역공간 280

[사진 4-17] 내부 하역공간 280

[사진 4-18] 임시 사인물 281

[사진 4-19] 아트홀 대 연습실 281

[사진 4-20] 앙상블홀 대 연습실 281

[사진 4-21] 출연자 출입구 283

[사진 4-22] 여자전용 화장실 283

[사진 4-23] 무대 하부의 무대창고 284

[사진 4-24] 사무국장 사무실 284

[사진 4-25] 대 연습실 284

[사진 4-26] Wardrobe Laundry Room 286

[사진 4-27] Rope Rigging Gallery 286

[사진 4-28] 단체 분장실 287

[사진 4-29] 출연자 휴게실 287

[사진 4-30] 성남아트센터 전경 291

[사진 4-31] 성남아트센터 카페테리아 292

[사진 4-32] 성남아트센터 유아방 292

[사진 4-33] 콘서트흘 객석 292

[사진 4-34] 앙상블시어터 객석 292

[사진 4-35] 성남아트센터 무대와 객석 293

[사진 4-36] 콘서트홀 무대 293

[사진 4-37] 메인 로비 진입구 295

[사진 4-38] 2층 로비의 서비스 플라자 295

[사진 4-39] 하역장 입구 296

[사진 4-40] 옆 무대의 창고화 296

[사진 4-41] 분장실 주변의 세탁실 296

[사진 4-42] 하역장에 설치된 세탁기 296

[사진 4-43] 동경문화회관의 전경 298

[사진 4-44] 메인로비의 전경 299

[사진 4-45] 대홀 객석 내부 전경 299

[사진 4-46] 측무대에 적재된 공연물품 300

[사진 4-47] 분장실 앞의 의류보관시설 300

[사진 4-48] 분장실 안내판 300

[사진 4-49] 수동의 무버블 파티션 300

[사진 4-50] 오페라 극장에서 본 수 공간 302

[사진 4-51] 진입 통로의 갤러리 303

[사진 4-52] 오페라 극장의 로비 303

[사진 4-53] 조립장 303

[사진 4-54] 물품 운반용 리프트 303

[사진 4-55] 측무대에서 본 조립장 304

[사진 4-56] 색깔에 따른 시설별 안내도 304

[사진 4-57] 도코로자와 문화센터 항공사진 305

[사진 4-58] 중앙광장에서 본 마키홀 306

[사진 4-59] 마키홀의 락커룸 306

[사진 4-60] 하역장에 적재된 무대 시설 307

[사진 4-61] 마키홀의 조정실 307

[사진 4-62] 마키홀 상부 플라잉 갤러리 308

[사진 4-63] 아크홀 분장실 308

[사진 4-64] 도로에서 본 공연장모습 309

[사진 4-65] 1층 로비의 정보광장 310

[사진 4-66] 음악홀 객석 310

[사진 4-67] 공방 311

[사진 4-6B] 오페라홀 소도구 창고 311

[사진 4-69] 오페라홀 측무대 311

[사진 4-70] 오페라홀 분장실 311

[사진 4-71] 광장에 서 본 외관 모습 312

[사진 4-72] 진입로비의 아트리움 313

[사진 4-73] 중 홀에서 본 아트리움 313

[사진 4-74] 소극장 세탁실 314

[사진 4-75] 하역장 314

[사진 4-76] 소극장 무대 314

[사진 4-77] 리허설룸 출입구 314

[사진 4-78] 야경모습 315

[사진 4-79] 로비의 내부 316

[사진 4-80] 무대에서 본 객석 모습 316

[사진 4-81] 조립장 내부 317

[사진 4-82] 하역장 내부 317

[사진 4-83] 무대에서 본 객석의 모습 318

[사진 4-84] 리허설 모습 318

[사진 4-85] 광장에서 본 외관 319

[사진 4-86]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334

[사진 4-87] 도코로자와 문화센터 334

[사진 4-88] 대전 아트센터의 중앙광장 336

[사진 4-89] 동경 신 국립극장 계단식 메인홀 336

[사진 4-90] 동경문화회관 여성전용 화장실 336

[사진 4-91] 도코로자와 문화센터 라커룸 336

[사진 4-92] 국립극장 하역 Lift 338

[사진 4-93]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하역장과 연결된 제작장 338

[사진 4-94] 동경 신 국립극장 조립장 339

[사진 4-95]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무대창고 339

[사진 4-96] 세종문화회관 수동식 웨건 341

[사진 4-97] 사이타마 아트시어터 갤러리아 341

[사진 4-98]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측면무대와 후면무대 341

[사진 4-99] 대전 예술의전당 분장실 342

[사진 4-100] 동경 신 국립극장 분장실 342

[사진 4-101] 도쿄 메트로폴리탄 아트센터의 리허설 로비 343

[사진 4-102]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Full-Size 리허설룸 343

[사진 5-1]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제작장 365

[사진 5-2] 동경 신 국립극장 조립장 365

[사진 Ⅰ-1] 세종문화회관 대극장 396

[사진 Ⅰ-2] 세종문화회관 소극장 396

[사진 Ⅰ-3] 국립극장 외부전경 399

[사진 Ⅰ-4] 국립극장 내부전경 399

[사진 Ⅰ-5] 대구오페라하우스 야경 404

[사진 Ⅰ-6] The Auditorium 404

[사진 Ⅰ-7] LG 아트센터 주진입구 406

[사진 Ⅰ-8] LG 아트센터 객석부분 406

[사진 Ⅰ-9] 성남아트센터 외부전경 411

[사진 Ⅰ-10] 오페라하우스 내부전경 411

[사진 Ⅰ-11] 동경문화회관 외부전경 419

[사진 Ⅰ-12] 동경문화회관 로비, 객석부분 419

[사진 Ⅰ-13] 동경신국립극장 외부전경 422

[사진 Ⅰ-14] 동경신국립극장 객석부분 422

[사진 Ⅰ-15] 도코로자와 문화센터_Muse 외부전경 424

[사진 Ⅰ-16] 도코로자와 문화센터_Muse 램프, 객석부분 424

[사진 Ⅰ-17] 사이타마 아트시어터 외부전경 426

[사진 Ⅰ-18] 사이타마 아트 시어터 무대, 객석부분 426

[사진 Ⅰ-19] 도쿄 매트로폴리탄 아트센터 외부전경 427

[사진 Ⅰ-20]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외부전경 431

[사진 Ⅰ-21] 코펜하겐 오페라하우스 객석부분 431

[사진 Ⅰ-22] 바스티유 오페라하우스 외부전경 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