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論文槪要

목차

I. 서론 10

1. 연구목적 10

2. 선행연구 검토 13

3. 연구범위 및 연구방법 17

II. 西周時代의 국가 성립과정 21

1. 西周의 건국 23

1) 周族과 주변민족의 연맹 23

2) 周公의 동방 정벌 25

3) 주 왕조의 통치제도 확립 26

2. 주 왕조의 국가운영 39

1) 천자의 통치권 계승 41

2) 제후국의 역할 이행 요구 47

III. 東周時代 사회 변화와 개체성 확대 50

1. 개체의식 태동의 사회경제적 배경 51

1) 상업발달과 상공업 정책 52

2) 전쟁과 정복문화의 발단 64

2. 개체의식의 자각과 팽배 73

1) 제후국의 독자적 정국운영 74

2) 개체의식의 팽배와 국가운영의 위기 89

IV. 東周時代 책임적 자아의식의 자각과 전개 95

1. 책임적 자아의식의 태동과 정책의 변화 96

1) 백성구휼 정책 시행 96

2) 인재 발굴 방법의 변화 105

2. 책임적 자아의식의 순기능적 역할 114

1) 안영의 통치책임론 115

2) 자산의 법치사회론 120

3) 장무중의 다변외교론 133

V. 공자의 책임적 자아론과 공존사회[仁]의 구상 139

1. 책임적 자아론의 형성과 실재 139

1) 책임적 자아의 형성 140

2) 책임적 자아의 모범 150

2. 공존사회[仁]의 의미와 구현과정 164

1) ‘공존’의 의미 165

2) 공존사회의 구현조건 184

VI. 결론 202

참고문헌 207

Abstract 213

초록보기

서주시대와 동주시대에 대한 연구는 사회질서 확립과 제도 붕괴에 따른 혼란을 중심으로 검토되어 왔다. 서주시대의 사회질서는 주공의 제도 확립에 의해 이룩된 것이고, 동주시대의 혼란은 제도의 붕괴로 초래되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 시대의 특징을 사회질서의 확립과 붕괴로서만 설명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각 시대는 그 사회적 상황과 특징이 있으며, 그 상황 속에서 발생하는 여러 요인에 의해서 그 독자적 특징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서주시대와 동주시대의 정치 · 사회적 상황 속에서 발생하는 여러 요인을 분석하여 각 시대적 특징을 검토하고, 그 시대의 여건 속에서 하나의 새로운 사상체계가 어떻게 형성되는지를 검토하고자 한다. 동주시대의 격변기에 직면한 공자가 어떤 과정을 통하여 공존사회에 대한 책임의식을 자각하고 이를 실천하려 하였는지를 그 시대의 사회적 상황과 관련하여 규명해 보고자한다.

서주는 씨족사회의 형태로 출발하였으나, 주변민족과의 연맹을 통하여 국가로 발전하였다. 무왕은 주변 부족과의 통혼관계를 통하여 세력을 확장하고, 그들의 분쟁을 조정하며 주변 부족들과의 연맹체를 구성하여 共主로서 서주 건국을 이룩하였다. 그러나 갑작스러운 무왕의 죽음과 어린 성왕의 등극은 개국의 기틀이 잡히지 않았던 주 왕조에게 정치 군사적으로 위기의 상황이었다. 주공은 무왕의 뜻을 계승해서 동방을 정벌하고, 통치의 기본이 되는 제도를 정비하여 국가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그는 어린 성왕의 왕위계승을 확고하게 하고 왕권의 공고화를 이룩하기 위하여 종법제를 제정하였고, 효율적인 국가 운영을 위하여 관리체계를 조직하였다. 또한 이민족의 침략에 대응하기 위하여 군사조직을 정비하였다. 주공은 개국의 기틀을 마련하여 항구적인 국가 운영을 확립하기 위하여 제도와 규정을 마련하는데 온 힘을 기울였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주 왕조는 제도와 규정보다는 강력한 통치능력을 계승하여 왕조를 지속해 왔고, 분봉국가에 대해 규정된 역할의무를 철저히 이행할 것을 요구하며 제후국을 통치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제후국이나 이민족의 세력이 강대해 질수록 천자의 통치능력은 약화되고 거부되는 일이 점점 증가하였다. 적자 계승을 원칙으로 하는 왕권계승은 ‘세력’에 의해 계승되는 일이 발생하고, 이민족으로부터 왕실의 보호를 목적으로 조직된 군대 세력도 주 왕조에 이반하는 일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불안정한 정치사회를 제도의 확립으로만 극복하려고 하였던 왕조 초기의 구상은 실효성이 없는 원칙으로 남게 되었다.

이에 Ⅱ장에서는 서주시대를 왕조 유지와 왕권의 공고화를 이룩하기 위하여 주 왕조가 실제적으로 발휘하였던 통치능력을 중심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작업은 제도 확립으로만 국한되었던 서주시대에 대한 이해를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새로운 시각에서 서주시대를 논의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 줄 것이다.

동주시대는 사회 질서 붕괴에 따른 혼란기로 규정되어왔다. 종법제의 붕괴로 천자의 권위는 땅에 떨어졌고, 제후국의 패권다툼으로 인하여 사회혼란이 극대화되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이 그 간의 연구 시각은 서주시대의 완벽한 제도를 통해서 사회적 안정을 이룩했다는 전제에서 동주시대의 혼란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동주시대는 경제적 요인과 사회 문화적 요인으로 급격한 사회변동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사회적 변화가 다발적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제후국은 상업 발달과 상품 교역의 활성화를 통하여 경제적 기반을 축적하였고, 무기 생산으로 인한 전술의 향상으로 군사력을 증강하여 정치 사회적으로 독자성을 발휘할 수 있었다.

이에 Ⅲ장에서는 상공업 발달과 철기문화의 확대가 제후국의 경제력과 군사력 증강에 미친 영향을 살피고, 이러한 요인으로 인하여 제후국의 독자적 정국운영과 각 계층의 개인적 이권요구가 나타난 상황을 고찰할 것이다.

또한 동주시대 사회상에 대한 연구는 제후국의 독자성 확대로 초래된 부정적인 측면만을 부각시켜서 제후국의 사회적 책임 자각과 그에 따른 정국운영에 관한 언급이 간과되어 있다. 그러므로 동주시대에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고, 이를 토대로 정국을 운영하고자 하였던 제후국의 정국운영 상황을 살피고, 격변의 시대 속에서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고 이를 지향하였던 인물에 대해서도 검토하고자 한다.

이에 Ⅳ장에서는 동주시대에 나타난 제후국의 책임성 자각과 책임적 직분완수의 면모를 고찰할 것이다. 이러한 검토를 통하여 공자의 책임적 자아론의 형성배경과 그 전개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공자의 정치사상은 周代의 예제 회복이나 有德者에 의한 德治실현, 또는 仁政구현으로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공자는 특정 유덕자에 의한 국가통치를 넘어서서 영속적인 공존사회를 지향하였다. 공자는 각각의 개체가 사회적 책임을 자각하여 공존사회를 이룩할 것을 주장하였다. 책임적 자아를 통해 이룩되는 공존사회는 ‘仁’으로 표현된다. 그런데 ‘仁’은 공존사회로서의 의미보다는, 도덕적 품성이나 인격완성을 위한 덕목, 조화를 추구하기 위해 발휘해야 하는 동정심, 배려와 같은 태도로 설명되었다. ‘仁’에 대한 이러한 이해는 당시 사회에서도 존재했었다. 당시의 제후나 은자들은 仁이 격변의 시대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되지 못한다고 판단하며 비판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공자는 공존사회를 건설하는 것이 격변의 시대를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대안이라고 파악하였다. 그의 ‘仁’은 개인적인 수양덕목이나 배려와 같은 태도를 넘어서 항구적인 사회적 통합과 공존사회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점을 밝히기 위하여 Ⅴ장에서는 책임적 자아의 특징을 고찰하고, ‘克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통하여 공존사회의 의미를 규명하고, 공존사회의 구현과정을 고찰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공자의 책임적 자아론의 궁극적인 목적이 공존사회 실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9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尙書』 미소장
2 『詩經』 미소장
3 『左傳』 미소장
4 『論語』 미소장
5 『周禮』 미소장
6 『孟子』 미소장
7 『國語』 미소장
8 『管子』 미소장
9 『史記』 미소장
10 哲學硏究 네이버 미소장
11 Study on the Origin of the Clannish Feng-chien System in the Western Chou Times 네이버 미소장
12 Emergence of the Discussions on the Ideal Bureaucrats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네이버 미소장
13 고대 중국에 있어서 예(禮)와 법의 제정 소장
14 周 宗法封建내 庶弟(小宗)와 縣의 역할 : 宗法制度 解析에 對한 새로운 試論 소장
15 규범의 근거로서 혈연적 연대와 신분의 구분에 대한 古代儒家의 인식 소장
16 고대중국의 정치적 현실주의 소장
17 왕권신수설과 天命思想의 비교연구 소장
18 「책임적 행위자 용어의 기원」, 신정근, 『철학논구』제27집, 1997. 미소장
19 혁신과 통제 네이버 미소장
20 구성주의 국제정치이론의 의미와 한게 소장
21 「고대 중국 仁사상의 형성과 발전에 관한 연구」, 신정근, 서울대학교박사학위 논문, 1999. 미소장
22 「행위와 도덕적 책임에 관한 고찰」, 구인회,『철학연구』 제47집, 1999. 미소장
23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in accordance with circumstance of times and the rule of law in Fachia 소장
24 「아시아적 가치와 민주주의: 유교민주주의는 가능한가」, 함재봉,『철학연구』제44집, 철학연구회, 1999. 미소장
25 漢武帝의 西域遠征·封禪·黃河治水와 禹·西王母神話 소장
26 中國古代 네이버 미소장
27 합리주의적 기능주의 비판과 구성주의적 대안 모색 소장
28 국제정치 이론논쟁의 현황과 전망 : 새로운 이론적 통합의 향방 소장
29 Narrative of "Disunion" vs "Alliance" and Its Philosophical Response 소장
30 Wendt's Constructivism Challenges Waltz's Neorealism 소장
31 유교 지식인의 '사회' 개선의 의의 네이버 미소장
32 도덕적 가치와 책임에 관하여 : 흄의 이론을 중심으로 소장
33 나와 규범 : 克己復禮 소장
34 춘추사상의 국제평화정신과 민족국가의 자주정신 소장
35 A Study on the Incorporation of Powerful Local Families into Feudal System in Western-zhou Dynasty 소장
36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仁 개념」, 정용환,『동양철학연구』제49집, 2002. 미소장
37 Menschenrechte und demokratische Solidaritat 네이버 미소장
38 「동아시아 전통적 국제질서의 구성주의적 이해」, 남궁 곤, 『국제정치총론』 제43집, 2003. 미소장
39 Historical Textual Analysis on Chinese Management Thought 소장
40 중국고대의 질서담론 : 혈통과 젠더의 서사 소장
41 냉전의 종식과 국제정치이론 : 구성주의를 중심으로 소장
42 Shift from Alliance to a Powerful State: Unitary Function of Law in Shang Yang's Reform Program 소장
43 도덕군주론 : 고대 유가의 聖王論 소장
44 고대 중국협상가들의 협상전략에 관한 역사적 연구 소장
45 선진 儒家와 道家의 사회통합 원리 소장
46 A Comparison between Confucian and Fachian Views of Recruitment in Ancient China 소장
47 古代中國에서 情과 法의 충돌 소장
48 董仲舒 春秋學의 天人感應論에 대한 고찰 : 祥瑞·災異說을 중심으로 소장
49 周公의 文化개혁과 政治철학 소장
50 문화다원주의와 인정윤리학 소장
51 구성주의 국제이론의 기반과 유형론에 대한 분석적 검토 소장
52 출토문헌과 전래문헌의 조화 : 자범편종 명문과 『좌전』에 기술된 진 문공의 패업 소장
53 金文에 나타난 西周 군사력 구성과 왕권 소장
54 Tributary Diplomacy in the Multi-state System of Ch’un-ch’iu Period 네이버 미소장
55 Coexistence and Care: the Comparison of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in East and West 소장
56 People and Enlightened Individuals in Politics 소장
57 중국(中國) 고대(古代)의 "세(勢)", "성(聖)"론의 변화와 전제군주론(專制君主論)의 형성 소장
58 The Property of Pre-Qin Confucianism 소장
59 『고대 중국적 세계질서 연구』, 김한규, 일조각, 1982. 미소장
60 『在歷史的表象背後一對中國封建社會超定結構的探究』, 成都, 사천인민출판사, 1983. 미소장
61 『商周史』, 윤내현, 서울, 민음사, 1984. 미소장
62 『선진 정치사상사』, 劉澤華, 천진: 남개대학출판사, 1984. 미소장
63 『중국사회사상사』, 송영배, 한길사, 1986. 미소장
64 『중국철학산고』, 김충열, 온누리, 1988. 미소장
65 『동양윤리학사』, 崔丞灝, 새문사, 1989. 미소장
66 『강좌중국사1』,서울대학교 동양사학 연구실, 지식산업사, 1989. 미소장
67 『중국문화개론』, 이종계, 광주, 중산대학출판사, 1995. 미소장
68 『국제관계이론』, 비오티, 카우피 지음, 이기택 옮김, 일신사, 1996. 미소장
69 『중국 고대사상의 세계』, B.Schwartz, 나성 옮김, 살림, 1996. 미소장
70 『세계관 충돌의 국제정치학-동양 禮와 서양 公-』, 김용구, 나남출판,1997. 미소장
71 『사대주의』, 이춘식, 고려대학교출판부, 1997. 미소장
72 『사회구성론』, Giddens Anthony, 황명주 정희태 권진현 옮김, 자작아카데미, 1998. 미소장
73 『반논어』, 趙紀彬, 조남호, 신정근 역, 예문서원, 1999. 미소장
74 『문명의 공존』, 하랄트 뮐러, 푸른 숲, 2000. 미소장
75 『중국의 왕권주의』, 劉澤華, 상해인민출판사, 2000. 미소장
76 『국제정치이론』, Waltz Kenneth N. 박건영 옮김, 사회평론, 2000. 미소장
77 『중국 전통 정치철학과 사회통합』, 劉澤華, 북경: 중국사회과학출판사,2001. 미소장
78 『중국 고대 정치사상사』, 劉澤華, 남개대학출판사, 2001. 미소장
79 『중국정치사상사 上下』, 劉澤華, 장현근 옮김, 동과서, 2002. 미소장
80 『다양성을 추구하는 조직이 강하다』, 루스벨트 토머스 지음, 채계병 옮김, 이지북, 2002 미소장
81 『국제정세의 이해』, 유현석, 한울아카데미, 2003. 미소장
82 『세속화와 현대문명』, 찰스 테일러, 김선욱 외 역, 철학과 현실사, 2003. 미소장
83 『중국 고대 사상의 세계』, 벤자민 슈워츠 지음, 나성 옮김, 살림, 2004. 미소장
84 『논어의 논리』, 박이문 지음, 문학과 지성사, 2005. 미소장
85 『복잡계로 풀어내는 국제정치』, 민병원, 삼성경제연구소, 2005. 미소장
86 Social 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 네이버 미소장
87 "Individualism and Humanitarianism in Late Ming Thought,"Wm. T. de Bary ed., Self and Society in Ming Society (New York & London, Columbia UP, 1970) 미소장
88 "On the Problem of the Self in Confucianism," S. Krieger & R. Trauzettel ed., Confucianism and the Modernization of China (Mains, Hase & Koehler Verlag, 1991) 미소장
89 Tribesmen, Englewood Cliff: Prentice-Hall, INC. Morton H. Fried, The Evolution of Political Society, New York: Random House, 1967. 미소장
90 Intellectual Change in the Chunqiu Period: The Reliability of the Speeches in theas Sources of Chunqiu Intellectual History 네이버 미소장
91 TEXTS AND ARTIFACTS: A REVIEW OF THE CAMBRIDGE HISTORY OF ANCIENT CHINA 네이버 미소장
92 "Review for Creel's The Origins of Statecraft in China", Journal Asian Studies 1970. 미소장
93 "The development of tension between virtue and achievement in Early Confucianism" Philosophy East and West, vol.31, no.1, 198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