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9
1. 서론 11
1.1. 연구배경 및 목적 11
1.2. 연구범위 및 방법 13
1.3. 연구의 구성 15
2. 이론적 배경 16
2.1. 개념 정리 16
2.1.1. 축제의 정의 16
2.1.2. 축제의 성격 18
2.1.3. 축제의 유형 19
2.2. 축제 관련 선행연구 22
2.2.1. 축제 참여 동기 22
2.2.2. 축제의 유형화 25
2.2.3. 축제의 평가 27
2.2.4. 장소마케팅의 관점에서 본 축제 29
3. 국내외 축제 현황 38
3.1. 국외 축제 38
3.2. 국내 축제 68
3.3. 기타 축제 75
4. 축제의 유형화 및 유형별 특성 77
4.1. 축제 분류 기준 도출 77
4.2. 축제의 유형화 79
4.3. 축제 유형별 특성 80
5. 축제 유형별 성공사례 분석 82
5.1. 성공사례 분석을 위한 축제평가지표 82
5.2. 축제유형별 성공사례 분석 83
6. 지역축제의 활성화 전략(축제유형별 지역 축제의 SWOT 분석) 93
7. 결론 및 제언 105
7.1. 결론 105
7.2. 제언 107
참고문헌 108
ABSTRACT 113
〈그림1〉 연구 흐름도 15
〈그림2〉 San Fermines 39
〈그림3〉 La Tomatina 40
〈그림4〉 Military Tatoo 41
〈그림5〉 Carnevale de venezia 43
〈그림6〉 Street Parade 44
〈그림7〉 Oktoberfest 45
〈그림8〉 International Paris air show 45
〈그림9〉 Nice carnaval 46
〈그림10〉 donauinselfest 47
〈그림11〉 Internationale Film festspiele Berlin 48
〈그림12〉 Keukenhof Flower Festival 49
〈그림13〉 Fomulal Grand Prix, F-1 GP 50
〈그림14〉 망똥 레몬 축제 51
〈그림15〉 아비뇽 연극제 52
〈그림16〉 프랑스일주 사이클 대회 53
〈그림17〉 러시아 백야 축제 55
〈그림18〉 부차트 정원 56
〈그림19〉 Montrealhighlights Festival 56
〈그림20〉 Gay Pride Parade 57
〈그림21〉 Indy Car Carnival 58
〈그림22〉 Rio Canival 60
〈그림23〉 Lindauer Queentown Winter Festival 61
〈그림24〉 컨딩 풍경 축제 61
〈그림25〉 타마르 광장 등불 카니발 62
〈그림26〉 타이 포 용선 축제 63
〈그림27〉 푸쉬카르 낙타 축제 64
〈그림28〉 시놀룩 축제 65
〈그림29〉 삿보로 눈 축제 66
〈그림30〉 하쿠만고쿠 마츠리 67
〈그림31〉 몽고 나담 축제 67
〈그림32〉 High seoul festival 68
〈그림33〉 하이서울 페스티벌 2008 4계절 테마 68
〈그림34〉 함평 세계 나비·곤충 엑스포 69
〈그림35〉 The Puchon International(Lnternational) Fantastic Film Festival 70
〈그림36〉 경주 한국 술과 떡 잔치 71
〈그림37〉 World Flower Exhibition Koyang 71
〈그림38〉 보령 머드 축제 72
〈그림39〉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73
〈그림40〉 제주 들불 축제 73
〈그림41〉 창원 iROBAS 74
〈그림42〉 촛불문화제 75
문화, 인류, 예술을 논할 때 빠질 수 없는 공통된 키워드는 축제이다. 축제는 종합 예술로써 인류의 역사와 함께 과거로부터 오늘날까지 끊임없이 발전하며 그 민족과 나라의 문화를 표출하고 있다. 한 지역의 축제는 오늘날 세계인을 한 곳으로 불러 모으는 수단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인터넷의 보급으로 인해 새로운 유형의 축제가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다. 축제는 이제 한 국가와 민족의 문화, 예술의 표현에서 광고, 홍보를 통한 관광 자원으로 활용되며 국부 창출의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하고 있다. 세계의 많은 국가와 도시들은 장소 마케팅의 수단으로 축제를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서울특별시 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역 발전 정책의 일환으로 축제를 경쟁적으로 개최하고 있다. 그러나 지·단체만의 축제로 머무르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장소 마케팅이 추구하는 지역 활성화란 외부의 관광객과 자본의 유인을 목적으로 하는 경제적인 측면과 지역의 문화를 지키고 발전시키는 문화적인 측면, 그리고 지역민의 애향심과 주민 화합을 위한 공동체 의식 고양이라는 정치적 측면을 모두 달성하고자 하는 데 반해 그 지역이 갖는 특성, 그 축제의 성격 및 지자체의 역량 등을 고려하지 않은 마케팅의 부재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지역 축제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외 축제들을 축제의 목적과 주제, 운영의 세 가지 요인을 근거로 다음과 같이 유형화하였다.
첫째, 전통·관광형은 그 지역의 전통을 계승하고, 지역의 역사적 사실이나 인물을 주제로 지역 활성화를 위한 관광 유치 목적으로 행하여지는 축제 유형으로 산 페르민 축제, 뷰놀 토마토 축제 등이 이에 속하며, 문화적 도시 축제라고 할 수 있다.
둘째, 역사·목적형은 역사적 유물이나 유적을 활용하거나 지역의 스토리를 연계하여, 역사의식과 교육 등의 목적으로 개최되어지는 축제 유형으로 연천 전곡리 구석기 축제, 타이 포 용선 축제 등이 이에 속하며, 역사적 도시 축제라고 할 수 있다.
셋째, 생태·관광형은 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태·환경적 특성을 주제로 축제를 개최하여 관광을 목적으로 하는 축제의 유형으로 함평 나비·곤충 엑스포, 보령 머드 축제 등이 이에 속하며 생태·환경적 도시 축제라고 할 수 있다.
넷째, 문화·관광형은 지역의 특색 있는 문화소재를 매개로 하거나, 음악, 미술, 무용 등의 예술적 요소를 중심으로 다양한 볼거리와 체험을 위한 인위적인 문화공간을 제공함으로써 도시의 이미지 상승을 기대하여 개최되는 축제의 유형으로 리우 카니발, 에딘버러 페스티발 등이 이에 속하며, 종합 도시 축제라고 할 수 있다.
다섯째, 예술·산업형은 관광 이외의 문화 예술 산업을 목적으로 개최되는 축제유형으로 베를린 영화제, 부천 국제 판타스틱 영화제 등이 이에 속하며, 마케팅화 된 도시 축제라고 할 수 있다.
여섯째, 특수·문화형은 축제라는 형태를 빌어 축제 이외의 다른 목적을 전달하고자 열리는 축제 유형으로 뉴욕 게이 퍼레이드, 플래시 몹 등이 이에 속하며 목적을 위한 축제라고 할 수 있다.
일곱째, 경제·목적형은 특수한 일련의 산업(첨단 기술을 요하는)을 위해 개최되어지는 축제 유형을 의미한다. 자동차나 비행기, 싸이클과 같이 제품의 성능을 광고하여 그 제품의 판매가 목적이 되는 축제 유형으로 파리 에어쇼, 모나코 F1 등이 이에 속하며, 상업 마케팅용 축제를 말한다.
여덟째, 지역·산업형은 지역의 농림 축산업, 어업, 상업 등의 발전을 위해 관광객을 유인하는 축제 유형으로 금산 인삼 축제, 망통 레몬 축제 등이 이에 속하며, 특산물 도시 축제라고 할 수 있다.
도출된 축제 유형별로 축제의 도시 문화적 구성요소의 관점을 고려한 축제 평가 지표를 기준으로 하여 국외 축제에 대한 성공 사례 조사를 통하여 축제를 분석하여 유형별 선정된 국내 사례를 swot분석한 후 이를 성공 사례 분석과 장소마케팅 이론을 도입하여 축제 유형별 차별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이 각 지역의 장소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맞춤형 유형별 전략으로 지역문화 축제로, 세계 속에 경쟁력 있는 축제로 활성화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