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9

1. 서론 11

1.1. 연구의 의의 및 목적 11

1 2. 연구방법 및 내용 13

2. 이론적 배경 15

2.1.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이해 15

2.2.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 요소 18

2.3. 브랜드 아이덴티티 관리모델 24

2.4. 파워 브랜드의 성공 원칙 34

3. 대학 브랜드 아이덴티티(UBI)의 이해 39

3.1. 대학 브랜드 아이덴티티(UBI)의 이해 39

3.2. 대학 브랜드 아이덴티티(UBI)의 구성 요소 41

4. 대학별 UBID 개발 및 운용 실태 조사 45

4.1. 국내 대학의 UBID 운용 실태 조사 46

4.1.1. 포스텍(POSTECH)의 UBID 운용 실태 조사 46

4.1.2. 카이스트(KAIST)의 UBID 운용 실태 조사 51

4.1.3. 서울대의 UBID 운용 실태 조사 54

4.1.4. 고려대의 UBID 운용 실태 조사 57

4.1.5. 연세대의 UBID 운용 실태 조사 62

4.2. 해외 대학의 UBID 운용 실태 조사 71

4.2.1. 하버드(Harvard)대학교의 UBID 운용 실태 조사 71

4.2.2. 스탠포드(Stanford)대학교의 UBID 운용 실태 조사 74

4.2.3. 예일(Yale)대학교의 UBID 운용 실태 조사 86

5. 이화여자대학교의 UBID 구축 현황 및 문제점 분석 91

5.1. 이화여자대학교의 UBID 구축 현황 91

5.2. 이화여자대학교의 UBID 사용 현황 및 문제점 분석 93

6. 이화여자대학교의 UBID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제언 96

6.1. 이화여자대학교의 UBID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96

6.2. 이화여자대학교의 UBID 프로그램 보완 방향 제시 97

6.2.1. 이화여대 전용 UBID 개발 97

6.2.2. 기타 UBID 개발 대상 101

7. 결론 103

참고문헌 105

ABSTRACT 107

〈표 1〉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성요소에 대한 종합적 비교 22

〈표 2〉 5가지 브랜드 관리 모델의 비교 34

〈표 3〉 UBI의 의미요소와 표현요소 43

〈표 4〉 2007년 대학평가 종합순위 46

〈표 5〉 국내 대학 UBID 운용 실태 비교표 70

〈표 6〉 스탠포드 대학교의 UBID 운용현황 74

〈표 7〉 예일 대학교의 UBID 운용현황 86

〈표 8〉 해외 대학 UBID 운용 실태 비교표 90

〈표 9〉 이화여대 UBID 개발 제언 항목 정리 103

〈그림 1〉 연구 흐름도 14

〈그림 2〉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리즘(brand identity(ientity) prizm) 19

〈그림 3〉 브랜드 아이덴티티 핵심모델 20

〈그림 4〉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 21

〈그림 5〉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스템-2 (의미요소와 표현요소의 연계성) 24

〈그림 6〉 켈러의 브랜드 관리모델 28

〈그림 7〉 UBI의 구성요소 42

〈그림 8〉 POSTECH의 심벌마크(엠블램) - 기본형, 활용형, 단도규정 47

〈그림 9〉 POSTECH의 심벌마크(앰블램) - 칼라 사용 규정 47

〈그림 10〉 POSTECH의 심벌마크(엠블램) - 잘못된 사용 예 48

〈그림 11〉 POSTECH의 로고(워드마크) - 컬러 사용 규정 49

〈그림 12〉 POSTECH의 로고(워드마크) - 잘못된 사용 예 49

〈그림 13〉 POSTECH의 로고(워드마크) - 조합 방법 예시 50

〈그림 14〉 POSTECH의 로고(워드마크) - 한글 영문 조합 방법 예시 50

〈그림 15〉 POSTECH의 교색 시스템 51

〈그림 16〉 카이스트(KAIST)의 심벌마크(엠블렘) 51

〈그림 17〉 카이스트(KAIST)의 로고(워드마크) 52

〈그림 18〉 카이스트(KAIST)의 로고(워드마크) - 조합방법 예시 52

〈그림 19〉 서울대의 심벌마크(엠블렘) 54

〈그림 20〉 서울대의 이니셜로고 55

〈그림 21〉 서울대의 교목 55

〈그림 22〉 서울대의 교조 56

〈그림 23〉 서울대의 개교 52주년 기념 상징 - 쌍학 56

〈그림 24〉 서울대의 정문 56

〈그림 25〉 고려대의 심벌마크(엠블렘) 57

〈그림 26〉 고려대의 글로벌 엠블렘 58

〈그림 27〉 고려대의 로고(워드마크) 60

〈그림 28〉 고려대의 글로벌 로고(워드마크) 61

〈그림 29〉 고려대의 글로벌 심벌 컬러값 61

〈그림 30〉 고려대의 캐릭터 62

〈그림 31〉 연세대의 심벌마크(엠블렘) 63

〈그림 32〉 연세대의 120주년 기념 심벌마크(엠블렘) 63

〈그림 33〉 연세대의 로고(워드마크) 64

〈그림 34〉 연세대의 로고(워드마크) - 조합 방법(가로형) 65

〈그림 35〉 연세대의 로고(워드마크) - 조합 방법(세로형) 66

〈그림 36〉 연세대의 로고(워드마크) - 색상활용 67

〈그림 37〉 연세대의 캐릭터 67

〈그림 38〉 연세체 69

〈그림 39〉 하버드의 심벌마크(엠블렘) 72

〈그림 40〉 하버드의 컬러 - 크림슨(Crimson) 73

〈그림 41〉 하버드의 랜드마크 - 하버드동상 74

〈그림 42〉 스탠포드의 심벌마크(엠블렘) 75

〈그림 43〉 스탠포드의 심벌마크(엠블렘) - Block "S" 75

〈그림 44〉 스탠포드의 로고(워드마크) 및 조합방법 77

〈그림 45〉 스탠포드의 로고(워드마크) 사용예시 79

〈그림 46〉 스탠포드의 심벌마크 및 로고의 사용금지 규정 80

〈그림 47〉 스탠포드의 서체 가이드 라인 82

〈그림 48〉 스탠포드의 컬러 가이드 라인 83

〈그림 49〉 스탠포드의 스테이셔너리 가이드 라인 85

〈그림 50〉 예일의 심벌마크(엠블렘) 86

〈그림 51〉 예일의 로고(시그너춰) 87

〈그림 52〉 예일의 로고(타입페이스) 88

〈그림 53〉 예일의 컬러 - "Yale Blue" 89

〈그림 54〉 예일의 스테이셔너리 가이드 라인 89

〈그림 55〉 예일의 School signatures 90

〈그림 56〉 이화여대의 심벌마크(엠블렘) 91

〈그림 57〉 이화여대의 UBID 사용현황 95

초록보기

21세기는 지식 기반의 무한경쟁 사회이고, 지식과 감성의 융합이 경쟁 우위의 핵심으로 부상하는 시대이다. 또한 21세기는 브랜드 시대이다. 기업 가치 형성의 핵심적 요인인 브랜드는 기업의 가장 중요한 무형자산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세계의 모든 기업들은 궁극적으로 소비자의 마음 속에 바람직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하여 브랜드 경영 전략에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대학은 시장에 부응해야 하는 산업이라는 관점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더 이상 '폐쇄적인 상아탑'이 아니며 전통적인 학제, 교수 방법 등에서 탈피하여 시장 관점에서 학생, 기업, 정부,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가치와 요구에 부응하여 지속 가능 발전을 도모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미 세계적인 명문대학들은 경쟁과 자율을 핵심가치로 삼는 세계 시장의 원리를 수용하며 차별화된 경쟁전략을 수행해왔다. 또한 국내의 유수 대학들도 대학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것을 핵심 과제로 삼고 이를 위해 각자의 전문화, 특성화된 분야를 확보하여 집중적으로 투자, 육성해 나가고 있다. 이화여대도 122년간 세계적인 전문 여성 교육의 본체로서 국가사회 발전에 기여해 왔으며 최고 여성 지도자 배출을 위해 혁신과 도전을 추구해왔다. 이화여대가 당면한, 그리고 현재 목표로 하고 있는 글로벌 명문대학을 행한 행보를 위해 글로벌 기준과 시장 상황에 부합하여 통합적이고 전문적인 '이화'브랜드를 관리하는 체계가 더욱 필요할 것이다. 또한 글로벌 시대의 국내 핵심 거점으로서 파주 캠퍼스 교육 연구 복합단지 조성 준비에 맞춰 통일되고 체계적인 '이화'브랜드 정립을 시급히 마련해야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화여대를 위한 보다 구체적인 대학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략을 세우기 위해 먼저 브랜드의 정의 및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구성 요소는 무엇인지 도출하였고, 또한 브랜드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지, 파워브랜드를 구축하는 방법은 무엇인지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핵심적 구성 요소 중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요인들에 대해 다른 국내외의 대학들은 어떻게 관리를 하고 있는지 실제 사례를 조사하여 비교 검토 했으며, 이를 통해 합리적이고 체계적인 대학 브랜드 아이덴티티 디자인(UBID)의 관리 방법을 도출해 보았다. 또한 이화여대의 현재의 UBID 운용실태를 살펴보고 비교해 봄으로써 글로벌 최고 최대 명문 대학으로 나아가기 위한 UBID 정립의 필요성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고 이화여대를 위한 전용 서체 개발 및 고유 컬러 지정 등 UBID 전략을 제언하였다.

대학 브랜드로서 경쟁력을 발휘하여 위상을 높이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수립 및 지속적인 유지, 보완과 긍정적인 이미지를 얻기 위한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 한다. 또한 브랜드 경쟁력의 제고에 경영 역량을 집중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과정들을 통해 우리의 대학도 자랑스러운 세계 최고 브랜드로서 세계 속에 이름이 널리 알려지고 각인되어 당당히 우리의 이화 브랜드를 자랑하는 모습을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