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2
제1절 연구 목적 2
제2절 연구방법 7
제3절 연구의 범위 및 한계 10
제2장 교회의 신학적 이해 12
제1절 교회의 본질 13
1. 교회의 어원적 의미 13
2. 교회의 기원 17
제2절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 20
제3절 교회와 하나님 나라 23
1. 하나님 나라의 의미 23
2. 하나님 나라와 교회의 관계 27
제3장 교회의 기능 33
제1절 예배(λειτουργΙα(이미지참조)) 34
1. 예배의 본질 36
2. 말씀 42
3. 세례 46
4. 성찬 51
제2절 케리그마(κηρυγμα(이미지참조)) 59
1. 케리그마 용어의 의미 62
2. 케리그마의 본질 65
3. 예수님의 케리그마 69
4. 초대교회의 케리그마 72
1) 베드로의 설교 73
2) 바울의 설교 74
3) 초대교회 케리그마의 특징 77
제3절 교육(διδαχη(이미지참조)) 81
1. 기독교교육의 본질 82
2. 구약시대의 교육 85
1) 히브리인의 교육(초기 종교교육) 86
2) 유대주의 교육(후기 종교교육) 92
3. 예수 그리스도의 교육 95
4. 초대교회의 교육 98
5. 초대교회 후기의 교육 - 카테케시스(κατηχησιζ(이미지참조)) 100
제4절 코이노니아(κοινωνΙα(이미지참조)) 104
1. 코이노니아의 본질 106
2. 하나님과의 코이노니아 108
1) 하나님의 말씀을 통한 만남 112
2) 성례전을 통한 만남 114
3) 예배(일상생활) 속에서의 만남 116
3. 예수 그리스도의 코이노니아 118
4. 이웃과의 코이노니아 120
제5절 디아코니아(διακονΙα(이미지참조)) 125
1. 디아코니아의 본질 128
2. 구약성경에 나타난 디아코니아 133
3. 예수 그리스도의 디아코니아 137
4. 초대교회의 디아코니아 144
5. 디아코니아의 조직 구조(은사로서의 직분) 148
제4장 새생명교회의 기능구조 진단을 위한 설문조사 152
제1절 설문조사 개요 152
1. 새생명교회 연혁 153
2. 목회철학 154
3. 새생명교회의 현황 156
1) 예배 156
2) 케리그마 157
3) 교육 157
4) 코이노니아 158
5) 디아코니아 159
4. 설문조사의 목적 및 조사 방법 159
제2절 설문조사 결과 160
1. 주요 설문조사 내용 161
2. 설문조사의 진행 과정 162
3. 설문조사 결과 162
1) 인구 사회학적 통계 162
2) 교회모습 묘사 빈도분석 163
3) 성도들의 신앙 성향에 관한 조사 168
4) 구원의 확신에 대한 조사 171
5) 자신의 삶에서 신앙의 중요성에 관한 조사 172
6) 교회에 대한 만족도 조사 173
7) 교회의 기능 중 관심 속에 실천하고 있는 것에 관한 조사 175
8) 주일 낮 예배 참석 빈도에 관한 조사 177
9) 회중예배 시간에서의 느낌에 관한 조사 179
10) 성찬식을 할 때의 느낌에 관한 조사 183
11) 기도생활에 관한 조사 185
12) 전도활동에 관한 조사 187
13) 일일 성경을 읽는 시간에 관한 조사 190
14) 성경 공부에 관한 조사 193
15) 코이노니아에 관한 조사 194
16) 디아코니아에 관한 조사 199
17) 헌금에 관한 조사 204
18) 설교에서 언급되고 있는 내용에 관한 조사 208
19) 신앙성장에 도움을 주는 것에 관한 조사 211
20) 상담가를 찾아 도움을 받는 것에 대한 반응 조사 214
21) 학력별 설교에 대한 만족도에 관한 조사 216
22) 새생명교회가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요소 219
4. 설문조사 결과 요약 222
제5장 교회의 기능구조화를 통한 새생명교회의 갱신 방안 223
제1절 교회 기능의 구조화 223
1. 교회 기능의 구조화에 대한 이론적 근거 224
2. 교회 기능의 구조화 형태 227
3. 교회 기능 상실의 결과 228
제2절 교회 기능의 상호관계성 229
1. 예배와 타 기능의 관계성 230
2. 케리그마와 타 기능의 관계성 231
3. 교육과 타 기능의 관계성 233
4. 코이노니아와 타 기능의 관계성 235
5. 디아코니아와 타 기능의 관계성 238
제3절 새생명교회 기능의 갱신 방안 240
1. 새생명교회의 기능 구조 242
2. 새생명교회의 예배 243
1) 예배 현장의 분석 243
2) 예배 기능의 활성화 방안 244
3. 새생명교회의 케리그마 249
1) 케리그마 현장의 분석 249
2) 케리그마 기능의 활성화 방안 250
4. 새생명교회의 교육 252
1) 교육 현장의 분석 253
2) 교육 기능의 활성화 방안 253
5. 새생명교회의 코이노니아 255
1) 코이노니아 현장의 분석 256
2) 코이노니아 기능의 활성화 방안 257
6. 새생명교회의 디아코니아 260
1) 디아코니아 현장의 분석 260
2) 디아코니아 기능의 활성화 방안 261
7. 새생명교회 기능의 구조화를 위한 방안 263
제6장 결론 266
제1절 요약 266
제2절 한국교회를 위한 제언 267
참고문헌 272
부록 280
Abstract 292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이 사람을 보라(본회퍼의 삶과 신학) 』. 서울 : 나눔사, 2006. | 미소장 |
2 | 『교회의 기독교 교육과정』. 서울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5. | 미소장 |
3 | 『만남의 기독교교육사상』. 서울 :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4. | 미소장 |
4 | 『기독교사회복지론』. 서울 : 대학출판사, 2002. | 미소장 |
5 | 『일상생활과 축제로서의 예배』. 서울 : 이레서원, 2005. | 미소장 |
6 | 『21세기 건강한 교회』. 서울 : 도서출판제자, 1997. | 미소장 |
7 | 『가족치료』. 서울 : 학지사, 2003. | 미소장 |
8 | 『기독교 사회복지학』. 서울 : 도서출판 진흥, 1998. | 미소장 |
9 | “구약성서시대의 종교교육”, 『기독교 교육사』. 서울 : 한들출판사, 2007. | 미소장 |
10 | “신약성서에서의 사회봉사”, 『사회봉사의 신학과 실천』. 서울: 한울, 1992. | 미소장 |
11 | 『기독교 사회봉사의 역사와 신학』. 부천 : 실천신학연구소,2004. | 미소장 |
12 | 『초대 기독교 예배』. 서울 :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2001. | 미소장 |
13 | 『현대 실학신천론』.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9. | 미소장 |
14 | 『건강한 교회가 부흥한다』. 서울 : 한국학술정보, 2007. | 미소장 |
15 | 『한국기독교회사 1』. 서울 : 생명의 말씀사, 2004. | 미소장 |
16 | 『한국기독교회사 2』. 서울 : 생명의 말씀사, 2006. | 미소장 |
17 | “역사 속에 나타난 교회 사회사업”, 『교회사회복지 실천론』. 서울 : 한국강해학교출판부, 1998. | 미소장 |
18 | . 『설교학』. 서울 : 개혁주의신행협회, 1998. | 미소장 |
19 | 『성서의 가난한 사람들』. 왜관 : 분도출판사, 2001. | 미소장 |
20 | 『설교의 원리와 실제』. 서울 : 기독교연합신문사, 2005. | 미소장 |
21 | 『기독교 초기교회 교육의 재구성』. 경기 : 한국학술정보, 2006. | 미소장 |
22 | 『프락시스와 기독교교육과정』.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1. | 미소장 |
23 | “정신건강과 적응”,『한국교회와 정신건강』. 서울 : 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1998. | 미소장 |
24 | 『현대교회와 사회봉사』. 서울 : 예영커뮤니케이션, 1997. | 미소장 |
25 | “기독교 교육역사”. 『기독교교육개론』. 서울 : 지성출판사,1994. | 미소장 |
26 | 기독교교육의 역사적 기초 , 『기독교교육개론』.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2006. | 미소장 |
27 | 『신학적 교회론』. 서울 : 한들출판사, 2006. | 미소장 |
28 | 『실천적 교회론』. 서울 : 한들출판사, 2006. | 미소장 |
29 | 『교육과 사회사상』. 서울 : 문음사, 1999. | 미소장 |
30 | “예배의 정의”, 『복음주의 예배학』. 서울 : 요단, 2005. | 미소장 |
31 | 『칼 바르트의 교회론』. 서울 : 한들출판사, 2000. | 미소장 |
32 | 『교육의 이해』. 서울 :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7 | 미소장 |
33 | 『하나님의 나라와 교회』. 서울 : 한들출판사, 2005. | 미소장 |
34 | 『기독교교육사』. 서울 : 대한예수교장로총회, 1999. | 미소장 |
35 | 『심리상담』. 서울 : 쿰란출판사, 2007. | 미소장 |
36 | “설교학”, 『21세기 실천신학개론』.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2006. | 미소장 |
37 | 『한국교회와 실천신학』. 서울 : 여수룬, 1999. | 미소장 |
38 | 『설교학 서설』. 서울 : 엠마오, 1992. | 미소장 |
39 | 『예배학 개론』. 서울 : 종로서적, 1997. | 미소장 |
40 | 『기독교교육사』. 서울 : 베다니, 1999. | 미소장 |
41 | 『기독교상담학』. 서울 : 도서출판베다니, 1994. | 미소장 |
42 | “예배의 성경적 배경”, 『복음주의 예배학』. 서울 : 요단, 2005. | 미소장 |
43 | 『한국교회와 예배갱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4. | 미소장 |
44 | “기독교 교육학”, 『21세기 실천신학 개론』.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2006. | 미소장 |
45 | 『한국교회 미래 리포트』. 서울 : 두란노, 2005. | 미소장 |
46 | 한신대학교학술원신학연구소. 『한국 기독교인의 정치, 사회의식조사』. 서울 : 한울아카데미, 2004. | 미소장 |
47 | 『교회사를 통해 본 작은 공동체운동』.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1998. | 미소장 |
48 | 『디다케』. 정양모역주. 왜관 : 분도출판사, 1998. | 미소장 |
49 | 『DPT 교리강해연구 교회편』. 서울 : 선린출판사, 1991. | 미소장 |
50 | 『기독교영성Ⅰ』. 유해룡 외 3인역. 서울 : 은성출판사, 1997. | 미소장 |
51 | 『그리스도 중심의 설교』. 김기제역. 서울 : 은성, 2004. | 미소장 |
52 | 『사도적 설교와 그 전개』. 윤종은역. 서울 : 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 미소장 |
53 | 『설교학 강의 』. 한만수외 2인역.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1996. | 미소장 |
54 | 『자연적 교회성장』. 정진우 외 3인역. 서울 : 도서출판 NCD, 2006. | 미소장 |
55 | 『예배학 개론』. 김상구역.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2006. | 미소장 |
56 | 『복음의 커뮤니케이션』. 김상구역.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2008. | 미소장 |
57 | 『성도의 공동생활』. 문익환역.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77. | 미소장 |
58 | 『실천신학 개론』. 김상구외 3인역. 서울 : CLC, 2004. | 미소장 |
59 | 『디트리히 본회퍼의 옥중서간』. 고범서역.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5. | 미소장 |
60 | 『교회』. 황영철역. 서울 :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1998. | 미소장 |
61 | 『구약, 어떻게 설교할 것인가』. 이우제역. 서울 : 이레서원, 2004. | 미소장 |
62 | 『진정한 영적생활』. 권혁봉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95. | 미소장 |
63 | 『신약신학』. 이창우역. 서울 : 성광문화사, 1983. | 미소장 |
64 | 『예수와 하나님의 나라』. 이태훈역. 서울 : 도서출판엠마오, 1993. | 미소장 |
65 | 『교인 여론조사』. 배용준역, 서울: 규장, 2007. | 미소장 |
66 | 『예수는 어떤 공동체를 원했나?』. 정한교역. 왜관: 분도출판사, 1996. | 미소장 |
67 | 『그리스도교 사상사』. 송기득역. 서울 : 한국신학연구소, 2001. | 미소장 |
68 | .『교회란 무엇인가』. 이홍근역. 왜관 : 분도출판사, 2005. | 미소장 |
69 | 『교회』. 정지련역. 서울 : 한들출판사, 2007. | 미소장 |
70 | 『전인건강』. 이종헌 ․ 오성춘역. 서울 : 성장상담연구소, 1995. | 미소장 |
71 | 『설교의 원리와 실제』. 정장복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92. | 미소장 |
72 | 『속사도 교부들』. 이은선역.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1994. | 미소장 |
73 | 『기독교강요 상권』. 김종흡외 3인공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2001. | 미소장 |
74 | 『기독교강요 중권』. 김종흡외 3인공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2001. | 미소장 |
75 | 『기독교강요 하권』. 김종흡외 3인공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2001. | 미소장 |
76 | 『기독교 아동교육』. 정희영역. 서울 : 양서각, 1997. | 미소장 |
77 | 『기독교 예배학 입문』. 정장복 ․ 조기연역. 서울 : 예배와 설교 아카데미, 2005. | 미소장 |
78 | 『바울처럼 설교하라』. 이우제역. 고양 : 크리스챤출판사, 2008. | 미소장 |
79 | 초기 기독교 공동체 . 『영성 Ⅰ』. 서울 : 은성, 1997. | 미소장 |
80 | 『성령』. 이동원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1. | 미소장 |
81 | 『상담과 치유공동체』. 정동섭역. 서울 :요단출판사, 1999 | 미소장 |
82 | 『교육신학과 실제』. 문창수역. 서울 : 정경사, 1980. | 미소장 |
83 | 『조직신학』. 권수경 ․ 이상원역. 서울 :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2001. | 미소장 |
84 | 『교회론』. 신복윤역. 서울 : 성광문화사, 1992. | 미소장 |
85 | 『교육목회 커리큐럼』. 고용수역. 서울 : 한국장로교출 판사, 2005. | 미소장 |
86 | 『나와 너』. 표제명역. 서울 : 문예출판사, 2001. | 미소장 |
87 | 『초대교회의 문제 부와 재산』. 송영의역. 서울 : 지평서원, 1993. | 미소장 |
88 | 『예수님의 치유』. 고재봉역. 서울 : 요단출판사, 1993. | 미소장 |
89 | 『세상의 포로된 교회』. 김재영역. 서울 : 부흥과 개혁사, 2006. | 미소장 |
90 | 『루터의 신학』. 이형기역. 서울 : 크리스천 다이제스트, 1994. | 미소장 |
91 | 『기독교 교육학 개론』. 엄성옥역. 서울 : 은성, 1998. | 미소장 |
92 | 『기독교강요 연구핸드북』. 박희석 ․ 이길상역. 서울 : 크리스챤 다이제스트, 1997. | 미소장 |
93 | 『기독교 종교교육과 신학』. 고용수 ․ 박봉수역. 서울 : 한국장로교출판사, 1998. | 미소장 |
94 | 『예배의 역사와 신학』. 정장복역. 서울 : 한국장로교출판사, 2003. | 미소장 |
95 | 『기독교 교육의 기초』. 박경순역. 서울 : 디모데, 2003. | 미소장 |
96 | 『조직신학』. 박정렬 ․ 이영훈 편역. 군포 : 순신대학교 출판부, 1995. | 미소장 |
97 | 『설교학원론』. 박근원역. 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2001. | 미소장 |
98 | 『구속사적 설교의원리』. 권수경역. 서울 : SFC출판부, 2003. | 미소장 |
99 | 『증언하는 설교』. 이우제 ․ 황의무역. 서울 : 기독교문서선교회, 2006. | 미소장 |
100 | 『영성신학』. 김병오역.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출판부, 2002. | 미소장 |
101 | 『기독교 윤리학』. 김중기역. 서울 : 대한기독교출판사, 1990. | 미소장 |
102 | 『발달의 이론』. 서봉연역.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 2000. | 미소장 |
103 | 『세계기독교회사』. 강근환, 민경배외2역. 서울 : 대학기독교서회, 2000. | 미소장 |
104 | Stages of Faith. Harper & Row. San Fransisco, 1981. | 미소장 |
105 | Will Our Children Have Faith?. N.Y. : The seabury Press, 1976. | 미소장 |
106 | The Gift of Power. N.Y. : Macmillan, 1953. | 미소장 |
107 | The Rise of Christian Education. N.Y. : MacMillan, 1944. | 미소장 |
108 | Teaching & Religious Imigination : An Essay in the Theology of Teaching. San Fransisco : Harper Colins, 1987. | 미소장 |
109 | 『신학사전』. 서울 : 개혁주의신행협회, 1978. | 미소장 |
110 | 『가족치료용어사전』. 대구 : 정암서원, 1995. | 미소장 |
111 | 『성서고고학 사전』.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4. | 미소장 |
112 |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1권』. 서울 : 어문각, 1992. | 미소장 |
113 | 『신약성서신학사전』. 서울 : 요단출판사, 1986. | 미소장 |
114 | 『구약원어 신학사전』. 번역위원회. 서울 : 요단출판사, 1986. | 미소장 |
115 | “신약성서에 나타난 디아코니아”, 석사학위 청구논문, 협성대신학대학원, 2005. | 미소장 |
116 | “통전적 선교공동체를 위한 교회 유형 연구”, 석사학위 청구논문, 한신대대학원, 1999. | 미소장 |
117 | 건강한 교회로의 가치전환 및 양육시스템 테마모델 : 광은교회는 목장을 통한 건강한 교회를 세운다 | 소장 |
118 | “한국 교회의 코이노니아(공동체성)회복을 위한 연구”, 석사학위청구논문, 목원대신학대학원, 2005. | 미소장 |
119 | 구약의 경제 윤리(II) ![]() |
미소장 |
120 | “건강한 교회를 위한 교육 목회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 청구논문, 목원대신학대학원, 2007. | 미소장 |
121 | 건강한 교회에서의 목회자와 평신도 : 새신자 양육 방안을 중심으로 | 소장 |
122 | 건강한 교회 운동에 대한 한 고찰 : 한밀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 소장 |
123 | “코이노니아 교회론과 한국교회”, 석사학위 청구논문, 목원대신학대학원, 2002. | 미소장 |
124 | “통전적 교회성장을 위한 교회교육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 청구논문, 장로회신학대세계선교대학원, 2005. | 미소장 |
125 | “코이노니아의 성서적 이해”, 『기독교 사상』. 416호, 서울 : 대한기독교서회, 1993. | 미소장 |
126 | 건강한 교회를 위한 성경적 전도와 방법에 대한 바른 이해 | 소장 |
127 | “교회역사와 교회봉사의 상관관계 고찰”, 『신학과 목회』. 14 집, 경산 : 영신출판사, 2000. | 미소장 |
128 | “교제로서의 예배와 삶 : 종교 개혁가 마르틴 부써의 예배 이해”, 『개혁신학과 교회 통권』. 제15호, 천안 : 고려신학대학원, 2005.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