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초록 7

I. 서론 8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2. 이론적 배경 13

1) 완벽주의 13

2) 완벽주의와 사회적 유대감 17

3) 완벽주의와 우울 20

4)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 23

3. 연구문제 및 가설 26

II. 연구방법 28

1. 연구대상 28

2. 측정도구 28

1)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28

2) 사회적 유대감 척도 (Social Connectedness Scale-Revised: SCS-R) 29

3) 우울성향 척도(한국판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30

4) 주관적 안녕감 척도 30

3. 연구절차 32

4. 분석방법 32

III. 결과 33

1.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3

2. 완벽주의와 우울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36

3.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38

4. 완벽주의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40

1) 완벽주의와 긍정적 정서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40

2) 완벽주의와 부정적 정서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42

3) 완벽주의와 삶 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43

IV. 논의 45

참고문헌 54

부록 64

부록 1.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 65

부록 2. 사회적 유대감 척도(SCS-R) 68

부록 3. 우울 성향 척도(CES-D) 69

부록 4. 정서질문지(PANAS) 70

부록 5. 삶 만족 척도(SWLS) 71

ABSTRACT 74

표목차

표 1. KMO와 Bartlett의 구형성 검정 34

표 2. 한국판 사회적 유대감 척도의 고유치 34

표 3. 한국판 사회적 유대감 척도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36

표 4. 완벽주의, 우울, 주관적 안녕감, 사회적 유대감 간의 상관분석 37

표 5. 완벽주의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 40

표 6. 완벽주의와 긍정적 정서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 41

표 7. 완벽주의와 부정적 정서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 43

표 8. 완벽주의와 삶 만족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대감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위계적 중다회귀 분석 44

그림목차

그림 1. 주축요인 추출법을 이용한 탐색적 요인분석 스크리 도표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