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I. 서론 8

II. 대상문화재 11

1) 보림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寶林寺鐵造騷遣舍那佛坐像) 11

2) 경의선장단역증기기관차(京義線長諦驛蒸氣機關率) 14

III. 연구방법 16

1) 시료채취 16

(1) 보림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16

(2) 경의선장단역증기기관차 17

2) 미생물 분리배지 제조 19

3) 시료의 접종과 배양 21

4) 곰팡이의 순수 분리와 특성조사 23

(1) 곰팡이의 순수 분리 23

(2) 곰팡이의 동정 23

(3) 곰팡이의 생장특성조사 24

(4) 곰팡이의 대사산물 조사 24

5) 곰팡이에 의한 철제시편의 부식 25

(1) 철제시편의 제작 25

(2) 곰팡이의 접종과 배양 26

(3) 곰팡이에 의한 철제시편의 부식 관찰 28

① 중량 변화 측정 28

② 표면 변화 관찰 28

IV. 연구결과 및 고찰 29

1) 시료로부터 미생물의 분리 29

2) 순수분리 된 곰팡이의 동정과 특성조사 34

(1) 곰팡이의 동정 34

(2) 곰팡이의 생장특성조사 37

(3) 곰팡이의 대사산물 조사 40

3) 곰팡이에 의한 철제시편의 부식 42

(1) 중량변화 측정 42

(2) 표면 변화 관찰 42

IV. 결론 48

참고문헌 50

Abstract 56

표차례

표 1) 대상별 시료채취 부위와 시료 수 16

표 2) 온·습도에 의한 인공풍화 운용프로그램 27

표 3) 시료로부터 순수분리된 곰팡이의 생장특징 33

표 4) 고체평판배지 상에서의 곰팡이의 생장과 현미경 관찰 1.2.3. 34

표 5) 배지 조성에 따른 곰팡이의 생장 변화 양상 1.2. 38

표 6) 곰팡이의 생장에 따른 철제시편의 표면변화 1.2.3. 44

그림차례

〈그림 1〉 국보 제117호 보림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11

〈그림 2〉 경의선장단역증기기관차 14

〈그림 3〉 보림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내부 시료채취 부위. A: 붉은색 부식층 B: 검은색 부식층, C: 붉은색 부식층, D: 붉은색과 주황색 부식층 17

〈그림 4〉 경의선장단역증기기관차의 시료 채취 부위. A: 노란색의 부식층(동3), B: 부식이 되어 표면이 박락되고 있는 부분(동14), C: 황갈색 부식층 부분(서11), D: 붉은색 부식층(남1) 18

〈그림 5〉 혼합된 시료액 22

〈그림 6〉 시료의 접종 22

〈그림 7〉 pH 미터 24

〈그림 8〉 절단 전의 철판 25

〈그림 9〉 준비된 철제시편 25

〈그림 10〉 F17의 BF, BM, CzD 배양액 27

〈그림 11〉 보림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 시료에서 분리된 미생물 30

〈그림 12〉 경의선장단역증기기관차 시료에서 분리된 미생물 30

〈그림 13〉 보림사철조비로자나불좌상에서 순수분리된 곰팡이 31

〈그림 14〉 경의선장단역증기기관차에서 순수분리된 곰팡이 32

〈그림 15〉 곰팡이에 의한 배양액의 pH 변화 41

〈그림 16〉 곰팡이에 의한 배양액의 유기산 생성 측정 41

〈그림 17〉 F11을 접종한 철제시편에 생성된 부식물(A: 곰팡이 위의 붉은 부식물(x50), B: 곰팡이를 들어 올린 표면의 부식층(x50)) 47

〈그림 18〉 F24를 접종한 철제시편에 생성된 부식물(A: 붉은 부식층과 갈색물방울을 덮고 있는 곰팡이 균사(x50), B: 곰팡이 위의 갈색물방울과 붉은 부식물(x50)) 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