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8

제1장 서론 11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1

제2절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4

1. 연구문제 14

2. 본 논문의 구성 15

3. 연구방법 15

제2장 영화 속 여성 이데올로기의 이론적 배경과 시대의 특성 17

제1절 영화에 나타난 이데올로기 17

1. 이데올로기 개념 17

2. 이데올로기의 특징 21

3. 이데올로기의 문화적 작용 22

4. 영화 속 여성 이데올로기 25

제2절 페미니즘 31

1. 여성과 자본주의 35

2. 여성과 가부장제 37

3. 한국 영화와 가부장제 39

4. 페미니즘 시각에서의 한국 영화 40

제3절 韓·中 사회 문화적 배경 41

1. 유교문화사상의 특징과 배경 41

2. 한류와 미친 영향 44

제3장 韓·中 영화 속 여성 이미지의 비교 53

제1절 영화에 나타난 여성이미지 53

1. 한국 영화에 나타난 전통 여성이미지 53

2. 〈엽기적인 그녀〉와 한국전통 여성 이미지 비교 55

1) 〈엽기적인 그녀〉 여주인공 성격 특징 55

2) 한국 전통 여성 이미지와의 비교 56

3. 중국 영화에 나타난 전통 여성이미지 비교 62

4. 〈河东狮吼〉와 중국 전통 여성 이미지 비교 64

제2절 두 영화 여성 이데올로기의 비교 65

1. 두 영화 서사구조 분석 65

1) 〈엽기적인 그녀〉의 줄거리 65

2) 〈河東獅吼〉의 줄거리 67

3) 〈엽기적인 그녀〉의 서사구조 분석 68

4) 〈河東獅吼〉의 서사구조 70

2. 텍스트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의 특성 76

1) 〈엽기적인 그녀〉의 여(女)주인공의 이데올로기 특성 76

2) 〈河東獅吼〉의 여(女)주인공의 이데올로기 특성 77

3. 두 영화에 나타난 여(女)주인공 이데올로기의 공통점 78

4. 두 영화에 나타난 여(女)주인공 이데올로기의 차이점 87

제3절 '엽기女' 신드롬의 사회 영향 99

제4장 결론 103

제1절 결론 및 논의 103

제2절 한계 및 제언 105

참고문헌 107

Abstract 110

표목차

〈표 2-1〉 이데올로기의 발생과정 21

〈표 2-2〉 중국에서 한류의 전개 과정-태동기(1997 년) 50

〈표 2-3〉 발전기(1998년-2000년) 50

〈표 2-4〉 확장기(2000 년-현재) 51

〈표 3-1〉 〈엽기적인 그녀〉 사건개요 69

〈표 3-2〉 〈河東獅吼〉 사건개요 70

〈표 3-3〉 두 여자 주인공 이데올로기의 차이점 98

초록보기

 아시아권을 넘어 세계적으로 불고 있는 한류열풍을 타고 “엽기녀” 신드롬은 한국뿐만이 아니라 아시아 각국에서 일어났다. 이후 중국 홍콩, 타이완, 베트남, 일본 등 아시아 지역에서도 흥행돌풍을 일으켰고, 전지현은 엽기녀의 기상천외한 갖가지 행동을 잘 소화하며 열연하여 아시아에서 한류열풍의 주역이 되었다. 또한 이 영화는 스티븐 스필버그가 이끄는 미국 메이저영화사 드림웍스가 배급권과 함께 영어판 리메이크 권리를 매입하여 관심을 끌기도 했다. 이에 따라 세계 많은 나라에서는 <엽기적인 그녀>를 패러디한 자국판 “엽기녀”영화, 드라마 제작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河東獅吼>는 중국누리꾼들이 공인하는 <엽기적인 그녀>중국판으로 불리울 만큼 “엽기녀”패러디에 성공한 영화이다.

동아시아에서 전통적인 여성상은 남성적인 파워와 배일에 가려진 수동적인 삶을 살고 있는 모습이다. 동방문화 특히 중화문화권에서의 문화적 배경을 살펴보면 역대로 유교문화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각 국은 사회적인 배경 및 문화존재 배경을 유교전통에 두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유교전통에 대한 뿌리가 깊다. 하지만 2001년 한국에서만 관객 570만 명을 돌파하면서 ‘엽기녀’신드롬을 일으킨 한국 영화 <엽기적인 그녀>는 한국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각국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본 연구에서는 양국의 여성 문화적 관심을 영화 <엽기적인 그녀>와 <河東獅吼>을 통해 조명한 만큼 양국의 영화 비교를 통해 여성의 이데올로기 특징을 발견하고, 양국의 문화에 대해 올바르게 다가갈 수 있는 척도를 마련하는데 그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이런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첫째, 중국 영화가 한국영화를 모방하여 제작하게 된 이유와 배경은 무엇인가? 둘째, <엽기적인 그녀>의 이데올로기 특성이 무엇인가? 셋째, <河東獅吼>의 이데올로기 특성이 무엇인가? 넷째, 두 여자 주인공의 이미지에 나타난 공통점이 무엇인가? 다섯째, 두 여자 주인공의 이미지에 나타난 차이점이 무엇인가? 여섯째, 한.중 영화 속 "엽기녀"가 사회에 준 영향이 무엇인가 하는 부분이다.

한국영화 <엽기적인 그녀>와 중국영화 <河東獅吼>은 모두 전통적인 여성 이미지에 대한 전복이며,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제도에 따라 움직이던 전통질서에 대한 부정이다. 또한 21세기는 여성의 시대라는 일부 학자들의 주장에 동조한 여성자아 의식의 변화 및 사회적으로 여성 지위 확대의 중요한 징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두 영화는 사극과 현대극이라는 차이가 있지만, 비교 가능성이 충분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엽기녀’는 근래 스크린 및 안방극장에서 중요한 주제로 등장했지만, 중·한 ‘엽기녀’열풍 영화를 주제로 한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이다. 한국에서 <엽기적인 그녀>와 그 후속인 <조폭마누라>를 다룬 논문 등이 제기되었고, 중국의 일부 잡지에서 <엽기적인 그녀>와 <河東獅吼>를 비롯한 “엽기녀” 현상을 다룬 연구가 몇몇 등장했지만,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 지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한·중 “엽기녀” 현상의 학술적인 비교분석은 사실상 없는 상황이다. <엽기적인 그녀>와 <河東獅吼>는 전례 없이 과장된 수법을 동원한 영화지만, 영화를 통해 한·중 양국의 유교사상이 전통여성상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고, 전통적인 윤리관, 전통여성상의 파괴가 이루어진 원인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데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중 ‘엽기녀’ 열풍의 대표영화인 두 영화의 비교분석을 통해 ‘엽기녀’ 현상을 이론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영화 속 전통 관념의 흔적들을 비교하여, 두 문화권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는데 그 의의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석을 위해 본 연구는 한국영화 <엽기적인 그녀>와 중국영화 <河東獅吼>를 선정,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현시대 전통적인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여성에 대한 척도는 차츰 파괴되고 있으며 여성은 자아의식의 성장을 이루어 주체적이고 자주적인 존재로 세상을 살고 있다. 또 여성에게 주어진 여러 가지 유교적 판단 표준이 달라지고 있으며 여성의 사회참여의식이 높아짐과 더불어 여성은 남성과 똑같은 사회주력으로 진보하고 있다. 하지만 과장적으로 표현된 엽기녀 형상과는 달리 아직도 집단무의식속과 여성자체의 의식 속에 남성중심의 가부장적인 여성관이 존재하고 있는 점은 한국이나 중국 모두 마찬가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