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9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 목적 12

제2절 연구범위 및 방법 16

제2장 김정일 현지지도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 19

제1절 정치리더십으로서의 현지지도 19

1. 정치리더십에 관한 이론적 논의 19

2. 김정일 리더십과 현지지도 21

제2절 북한 정치리더십과 관영미디어와의 관계 49

1. 미디어의 정치적 기능 49

2. 정치리더십과 미디어관계 53

3. 북한 미디어의 기능 69

4. 북한미디어 편성분석 83

제3절 김정일 현지지도의 분석 틀 91

1. 현지지도 분석자료 선정 91

2. 변수 선정 93

3. 분석의 틀 98

제3장 시기별 김정일 '현지지도' 특징 분석 101

제1절 유훈 통치기(1995~1997) 101

1. 미디어 매체별 분석 101

2. 정량(定量)적 분석 103

3. 정성((定性)적 분석 109

4. 소결론: 군을 국정운영의 중심으로 이용 112

제2절 체제 정비기(1998~2002) 116

1. 미디어 매체별 분석 116

2. 정량(定量)적 분석 118

3. 정성(定性)적 분석 128

4. 소결론: 경제와 군사가 병행된 국정운영 136

제3절 체제안정 및 변화기(2003~2007) 138

1. 미디어 매체별 분석 138

2. 정량(定量)적 분석 144

3. 정성(定性)적 분석 151

4. 소결론: 선군정치로 국가를 운영 155

제4장 부문별 현지지도 분석 157

제1절 부문별 현지지도 분석 157

1. 군사부문 현지지도 157

2. 경제부문 161

3. 대외부문 및 기타 165

4. 소결론 168

제2절 현지지도 종합 분석 및 평가 170

1. 미디어 매체별 보도량 170

2. 정량적 분석 172

3. 정성적 분석 174

4. 현지지도 평가 177

제5장 김정일 '현지지도'의 특성과 한계 179

제1절 김정일 현지지도의 특성 179

1. 일반적 특성 179

2. 시기별 특성 181

제2절 김정일 현지지도의 한계 및 전망 182

1. 현지지도 한계 182

2. 현지지도 전망 187

제6장 김정일 체제의 전망 191

제1절 김정일 체제 변화의 촉진요인과 억제요인 191

1. 촉진 요인 191

2. 억제 요인 192

제2절 김정일 체제의 전망 192

1. 연구 결과 192

2. 체제 변화 전망 195

참고문헌 202

부록 : 김정일 현지지도 현황 (1995~2007년) 209

Abstract 280

〈표 2-1〉 현지지도 단위별 유형 24

〈표 2-2〉 현지지도의 목적별 유형 25

〈표 2-3〉 현지지도 현황(1957-61년) 35

〈표 2-4〉 김일성의 김정일 대동 현지지도 빈도와 김정일의 권력부상관계 37

〈표 2-5〉 연구자별 김정일의 현지지도 횟수 비교 91

〈표 2-6〉 김정일 현지지도 현황 (1995-2007) 92

〈표 2-7〉 매체별 보도현황〈1995-2007〉 93

〈표 2-8〉 직책별 현지지도 현황 96

〈표 2-9〉 현지지도 방식별 현황 97

〈표 3-1〉 '김정일 시대' 매체별 보도횟수 101

〈표 3-2〉 유훈통치기 매체별 보도현황 102

〈표 3-3〉 '김정일 시대' 시기별 현지지도 횟수 103

〈표 3-4〉 유훈 통치기 연도별 현지지도 횟수 103

〈표 3-5〉 직책별 현지지도 횟수 104

〈표 3-6〉 유훈 통치기 영도자로서의 방식별 현지지도 횟수 104

〈표 3-7〉 유훈 통치기 연도별 방식 빈도 105

〈표 3-8〉 유훈 통치기 영도자의 '실질적 현지지도' 방식의 세부현황 105

〈표 3-9〉 부문별 현지지도 횟수 106

〈표 3-10〉 최고사령관으로서 방식별 현지지도 횟수 107

〈표 3-11〉 연도별 방식 빈도 107

〈표 3-12〉 부문별 현지지도 횟수 108

〈표 3-13〉 '당과 정 간부들의 여러 부문 참관' 현황 112

〈표 3-14〉 1995~1997년 북한의 경제전략 113

〈표 3-15〉 체제 정비기 매체별 보도현황 116

〈표 3-16〉 체제 정비기 연도별 현지지도 횟수 118

〈표 3-17〉 직책별 현지지도 횟수 119

〈표 3-18〉 영도자의 방식별 현지지도 횟수 119

〈표 3-19〉 연도별 방식 빈도 120

〈표 3-20〉 부문별 현지지도 횟수 121

〈표 3-21〉 체제 정비기 북한의 경제전략 122

〈표 3-22〉 최고사령관으로서 방식별 현지지도 횟수 126

〈표 3-23〉 연도별 방식 빈도 127

〈표 3-24〉 부문별 현지지도 횟수 128

〈표 3-25〉 장기체류 현지지도 횟수 129

〈표 3-26〉 장기체류 현지지도의 세부 현황 130

〈표 3-27〉 체제안정 및 변화기 매체별 보도현황 138

〈표 3-28〉 체제안정 및 변화기 연도별 현지지도 횟수 145

〈표 3-29〉 직책별 현지지도 횟수 145

〈표 3-30〉 영도자로서의 방식별 현지지도 횟수 146

〈표 3-31〉 연도별 방식 빈도 147

〈표 3-32〉 부문별 현지지도 횟수 148

〈표 3-33〉 최고사령관으로서 방식별 현지지도 횟수 149

〈표 3-34〉 연도별 방식 빈도 150

〈표 3-35〉 부문별 현지지도 횟수 150

〈표 4-1〉 김정일 군 관련 현지지도 현황(1995-2007년) 157

〈표 4-2〉 군사부문 건설단위 현지지도 사례(1995-2007년) 159

〈표 4-3〉 김정일 경제부문 현지지도 현황(1995-2007년) 161

〈표 4-4〉 김정일 대외 관련 현지지도 현황(1995~2007년) 165

〈표 4-5〉 매체별 보도 현황 총괄 170

〈표 4-6〉 부문별 현지지도 현황 172

〈그림 2-1〉 정부-언론관계의 진자 운동 모형 64

〈그림 2-2〉 매스미디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65

〈그림 2-3〉 가정 모형도 98

〈그림 2-4〉 기능변화 분석 틀 99

〈그림 3-1〉 양 시기 영도자의 방식별 현지지도 비율 120

〈그림 3-2〉 양 시기 최고사령관으로서 방식별 현지지도 비율 127

〈그림 3-3〉 시기별 영도자로서의 현지지도 방식 비율 146

〈그림 3-4〉 시기별 최고사령관으로서 현지지도 방식 비율 149

초록보기

본 연구는 김정일의 시기별, 부문별 현지지도에서 나타나는 통치패턴과 기능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를 통해 김정일의 현지지도 기능과 특징 이외에 현지지도 운용과 체제운용 사이의 문제를 분석하고 나아가 체제변화에 대한 영향 요인을 설명할 수 있는 시사점을 얻고자 했다.

현지지도에 관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본 논문은 현지지도 분석을 통해 김정일의 통치 스타일을 파악하고 나아가 주요정책 특징과 향후 북한의 관심정책 분야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현지지도에 관한 기존 연구들은 조선중앙연감이나 북한에서 제시한 자료에 근거해 단편적인 데이터를 제시하는데 그쳤으나 본 논문은 연도별, 부문별, 매체별 보도현황을 입체적으로 제시하여 과학적이고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김정일 통치활동을 객관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현시점에서 본 논문이 필요한 이유는 4가지다. 첫째, 현재 김정일 건강이상설과 신상문제이며 이는 북한의 급변상황 및 후계체계와도 연관되며, 둘째, 남쪽에는 이명박 정부가 들어서면서 남북관계가 교착 상태에 들어섰으며, 셋째, 미국에서는 민주당 오바마의 승리에 따른 향후 북·미관계설정이 관심사항이며, 넷째, 6자회담 진행 여부 등에 따라 회원국의 대응 등 상기 제시한 이유로 인해 북쪽의 최고통치권자인 김정일의 행태에 관해서 연구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김정일 이후 북한 통치는 변화 할 것인가? 만일 변화한다면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가 관심의 대상이다. 북한의 체제 급변은 동북아 안정과 세계 평화 안정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북한의 최고 지도자인 김정일 현 지지도 연구는 필요하다.

북한은 미디어를 국가와 당이 장악하고 김일성·김정일 우상화, 당 노선 선전에 이용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본 연구는 북한의 미디어보도에 비친 김정일의 현지지도 내역을 여러 변수로 분류하여 현지지도 횟수와 변화를 여러 각도에서 추적하고 그 변화 원인을 설명함으로써 북한 최고지도자의 전체적인 정책적 특징을 조망하고자 한다.

즉 북한의 대내·대외적 환경변화에 따라 김정일의 현지지도 기능이 어떻게 변화 되었으며 이에 따라 정책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기를 3개 시기로 구분하여 주요통치(정책)변화를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을 통해 도출 김정일 시대의 현지지도 의미와 효과와 전망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현지지도는 최고지도자가 국가정책의 집행을 현장에서 점검하는 통치행위의 형태이다. 이러한 북한의 통치행위는 일반적 국가에서 최고지도자의 현장시찰과는 차이가 있다. 북한은 산업화 과정에서 제도화된 현지지도(on-the-spot guidance)에 대해 "정력적인 현지지도로 천만군을 불러일으키시어 사회주의 건설의 새로운 앙양을 일으켜 나가시는 것은 위대한 김일성·김정일 동지의 독특한 영도 방식" 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북한에서 말하는 수령의 혁명적 지도방식인 현지지도는 최고지도자의 정치활동과 통치스타일, 관심사항 등을 이해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북한은 최고지도자를 우상화하는 중요한 요소로 미디어를 통해 인민들에게 현지지도를 반복적으로 선전함으로써 최고지도자에 대한 결속을 강화해왔다. 그런 점에서 북한 미디어의 역할에 대한 이해와 리더십에 대한 관계가 선행되어져야 한다.

본 논문은 북한 현지지도 특징을 통한 김정일의 리더십을 알고자 정치리더십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살펴보고 북한에 있어서 미디어이론 적용을 확인하였으며, 현지지도의 개념, 목적, 기능을 도출하였다. 북한의 미디어 특성을 선 이해해야만 미디어부분별 분석이 쉽게 이해가 되기 때문에 북한의 미디어 개념과 미디어별 기능 편성 내용을 제시한 후 3개 시기로 구분 김정일의 현지지도를 분석하였다.

미디어보도를 통해서 본 김정일 현지지도는 시기별로 차이가 있음이 발견되었다. 유훈통치기('94~'97)는 총 145회를 실시했으며 군관련 분야에 70% 비율로 방문하여 지도하였는바 이는 군을 중심으로 국가운영을 한 선군정치의 영향으로 분석된다. 김정일은 총을 가진 군대만이 최후의 보루라고 인식, 군을 통해서 이를 전체 인민에게 확산·보급하자는 것으로 평가된다.

체제정비기('98~'02)는 총 423회 현지지도를 실시했으며 전체 대비 39%를 차지하고 있다. 이 시기는 유훈통치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가했으며 특히 '01년도, '02년도에 와서는 백단위를 넘는 현지지도가 진행되었다. 즉, 이시기에는 김정일의 현지지도가 김정일의 통치방식으로 자리잡았음을 의미한다.

체제안정 및 변화기('03~'07)는 김정일 시대를 구분하는 마지막 기로서 현지지도는 총 530회를 실시하는 등 전체의 48%라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05년도를 정점으로 현지지도 횟수는 대폭 늘어났다. 이는 현지지도가 김정일의 주요 통치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2003년 이후 군부대 방문이 늘고 있다. 이는 '군'을 중심으로 하는 국가 운영방식을 나타내는 것이다.

김정일의 현지지도는 '95년부터 계속 증가하였으며 2005년은 최고 정점을 기록하였다. 각 시기별로 보아도 군사부분이 주를 이루었으며 이는 김정일의 '선군정치'를 나타내 주는 것이다. 따라서 김정일은 단순히 '살아남기' 차원이 아니라 '강성대국'을 건설하겠다는 포부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한 것이다. 김정일이 경제분야를 직접 챙기기도 하지만 공개활동의 반이상을 군부대 방문이나 군관련 행사에 할애하는 것은 앞으로도 군 중시 정책이 계속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북한은 1990년대 들어 구소련과 동구 사회주의 체제가 해체되고 세계 각국들이 화해와 협력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가고 있는 변화된 국제정세 속에서 생존을 위한 외교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즉, 국제적고립을 탈피하고 경제적 실리 획득을 위한 전방위 외교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김정일은 현지지도를 국가정책을 수행하는 차원에서 통치수단 목적과 정치적 목적, 대중지도 목적, 경제적 목적으로 현지지도를 시행해 왔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김정일은 핵과 미사일 등의 대량 살상무기 개발에 박차를 가해 왔다. 그리고 이를 저지하고자 하는 국제사회, 특히 미국에 대해서 체제보장과 경제적 지원을 동시에 얻어내기 위해 핵카드를 활용하여 대결과 협상을 반복하는 외교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이는 연도별 현지지도 현황을 파악해본 결과 은둔과 벼랑끝전술을 이용하는 김정일의 행태에서도 알 수 있다. 북한은 2005년 9월 19일 제4차 6자회담에서 공동성명을 통해 북한의 모든 핵무기와 현존하는 모든 핵계획을 포기한다는 원칙에 합의하고, 2007년 2월 13일 6자회담 3단계 회의에서 '9.19 공동성명 이행을 위한 초기조치'에 제대로 이행하지 않고 있는 시점이다.

1998년 당 총비서로 추대된 지 10주년을 맞은 김정일은 2008년 현재 국내·외의 도전요소를 잘 통제함으로서 권력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처럼 권력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핵심적 요인은 김정일이 미디어를 효과적으로 활용했기 때문이다. 현재 북한 김정일은 와병설에도 불구하고 미국 대선결과 민주당 오바마가 대통령에 당선되자 최근 언론에 모습을 보이면서 건재함을 과시하고 있다. 북한은 북·미관계를 개선시키려는 노력과 함께 경제난국 상황을 헤쳐 나가기 위한 노력을 전개할 것이다.

참고문헌 (13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언론의 4이론』,서울 :나남출판,1991. 미소장
2 『북한학 개론』,서울 :법문사,1998. 미소장
3 『북한매스미디어론』,서울 :나남출판사,1997. 미소장
4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북한연구방법론』,서울 :한울,2004. 미소장
5 과학․백과사전출판사 편,『조선전사 년표 Ⅱ』,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1991. 미소장
6 『독재자 리더십』,서울 :황소자리,2007. 미소장
7 『위대한 영도자 김정일동지는 인민에 대한 사랑의 최고화신』,평양 :사회과학출판사,2001. 미소장
8 『북한의 산업화와 경제정책』,서울 :역사비평사,2001. 미소장
9 『북한학』,서울 :박영사,1999. 미소장
10 『김정일 시대의 북한』,서울 :삼성경제연구소,1997. 미소장
11 『현대북한언론 연구』,서울 :경남대학교 출판부,1998. 미소장
12 『현대북한언론의 이해』,서울 :한울,1999. 미소장
13 『미디어 사회』,서울 :인북스,2006. 미소장
14 『김정일장군의 선군정치』,평양 :평양출판사,2000. 미소장
15 『21세기 태양 김정일장군』,평양 :평양출판사,2000. 미소장
16 『북한방송 총람』,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2004. 미소장
17 『90년대 북한체제의 위기와 변화』,서울 :민족통일연구원,1997. 미소장
18 『북한의 개혁개방과 체제변화』,서울 :해남,2004. 미소장
19 방송위원회,『남북방송교육백서』,서울 :방송위원회,2004. 미소장
20 『조선중앙텔레비젼보도에 관한 연구』,서울 :연세대언론홍보대학원,2002. 미소장
21 방일영문화재단,『21세기 한국방송의 좌표』,서울 :나남출판사,2002. 미소장
22 『신문리론』,도쿄 :재일본조선출판인협회,1967. 미소장
23 백과사전출판사,『조선대박과사전 24』,평양 :백과사전출판서,2001. 미소장
24 북한연구소,『북한총람』,서울 :광진문화인쇄소,2003. 미소장
25 북한연구학회 편,『북한의 군사』,서울 :경인문화사,2006. 미소장
26 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 편,『철학사전』,평양 ;사회과학출판사,1985. 미소장
27 사회과학출판사 편,『조선말대사전』,평양 :사회과학출판사,1992. 미소장
28 사회과학출판사,『령도예술』,평양 :사회과학출판사,1985. 미소장
29 『현대북한의 지도자:김일성과 김정일』,서울 :을유문화사,2000. 미소장
30 『북조선 사회주의체제 성립사』,서울 :도서출판선인,2005. 미소장
31 7·1조치 이후 북한의 체제 변화: 아래로부터의 시장사회주의화 개혁 네이버 미소장
32 『응용 다변량분석』,서울:탐진,1997. 미소장
33 연합뉴스 편,『북한연감2007』,서울 :연합뉴스,2007. 미소장
34 『현대 북한 체제론』,서울 :을유문화사,2000. 미소장
35 『정부와 언론』,서울 :나남출판,1994. 미소장
36 『김정일 시대의 북한 정치경제』,서울 :을유문화사,2000. 미소장
37 『김정일 현지지도의 특성』,서울 :통일연구원,2002. 미소장
38 『김정일시대 북한의 정치체제:통치이데올로기,권력엘리트,권력구조의지속성과 변화』,서울 :통일연구원,2004. 미소장
39 『김정일 체제의 북한 군대 해부』,서울 :도서출판 황금알,2004. 미소장
40 『마르크스 레닌주의와 언론』,서울 :범우사,1979. 미소장
41 『한반도 분단극복을 위한 정치리더십』,서울 :백산서당,2007. 미소장
42 『북한의 자본주의 인식변화』,서울 :통일연구원,2000. 미소장
43 『분단국의 방송교류』,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2004. 미소장
44 『조선로동당 연구』,서울 :역사비평사,1995. 미소장
45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서울 :역사비평사,2004. 미소장
46 『정치리더십과 한국민주주의』,서울:나남출판,2003. 미소장
47 『CEO ofDPRK 김정일』,서울:중앙books,2007. 미소장
48 조선로동당출판사,『김정일동지략전』,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1999. 미소장
49 조선중앙방송위원회,『방송리론』,평양 :조선중앙방송위원회,1985. 미소장
50 조선중앙통신사,『조선중앙년감』,평양 :조선중앙통신사,각년도판. 미소장
51 통일부,『주간북한동향 제588호』,서울 :통일부,2002. 미소장
52 통일부,『북한 이해』,서울 :통일부통일교육원,2007. 미소장
53 한국방송학회,『특수방송론』,서울 :나남출판사,1992. 미소장
54 한국정치학회,『남북한의 최고지도자』,서울 :백산서당,2001. 미소장
55 『김정일 :인간․사상․령도』,평양 :평양출판사,1994. 미소장
56 『개인의 생명보다 귀중한 민족의 생명』,서울 :시대정신,1999. 미소장
57 『나는 역사의 진리를 보았다』,서울 :도서출판 한울,1999. 미소장
58 『북한의 국가전력과 파워엘리트』,서울 :도서출판선인,2007. 미소장
59 “최고지도자의 정책지도법 현지지도”,『민족21』,2001년 6월호. 미소장
60 정권의 성격변화와 언론보도 : 대통령 친인척 비리보도의 뉴스프레임을 중심으로 소장
61 “시사만화의 정치적 의제설정과 프레임 구성에 대한 연구”,『언론과 사회 16권2호』,2008여름호. 미소장
62 “북한연구방법론의 심화”,북한연구학회.『북한사회의 입체적 이해와 북한연구』,북한연구학회 연말학술회의 논문,2004. 미소장
63 “인민군대는 조국과 인민의 보위자이며 사회주의건설의 적극적인 참가자이다”,『근로자』,1986년 11월호. 미소장
64 “북한주민의 생활․의식변화와 북한체제 변화 가능성-북한이탈주민의 회고 조사를 중심으로”,통일부편.『김정일 정권10년의 변화와 전망:정치․경제․사회․문화분야를 중심으로』,서울:통일부,2004. 미소장
65 김정일의 경제부문 현지지도 분석 소장
66 “수령님의 고매한 공산주의적 풍모와 혁명적 사업방법,인민적 사업작풍을 따라 배우자”,『근로자』,1974년 제11호. 미소장
67 “농촌경리에서 이룩한 성과를 더욱 공고발전시킬데 대하여”,조선로동당 평안남도위원회 전원회의 확대회의에서 한 결론 1963년 10월 18일,『김일성저작집 17』,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1982. 미소장
68 “당사업과 경제사업에서 나서는 몇가지 문제에 대하여”,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과장이상 일군들 앞에서 한 연설 1960년 10월 19일,『김일성저작집 14』,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1981. 미소장
69 “당사업에서 형식주의와 관료주의를 없애며 일군들을 혁명화할데 대하여”,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조직지도부,선전선동부 일군들 앞에서 한 연설 1966년 10월 18일,『김일성저작집 20』,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1982. 미소장
70 “사회주의건설에서 인민정권의 당면과업에 대하여”,최고인민회의 제2기 제1차회의에서 한 연설 1957년 9월 20일,『김일성저작집 11』,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1981. 미소장
71 “성,관리국의 지도를 개선하며 공장 당위원회의 사업을 강화할데 대하여”,황해제철소 당위원회에서 한 연설 1962년 8월 30일,『김일성저작집 16』,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1982. 미소장
72 “시,군 인민위원회의 당면한 몇가지 과업에 대하여”,시,군 인민위원회위원장 강습회에서 한 연설 1958년 8월 9일,『김일성저작집 12』,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1981. 미소장
73 “올해 농사경험과 다음해 영농사업방향에 대하여”,농촌경리부문 지도일군협의회에서 한 연설 1980년 9월 21일,『김일성저작집 35』,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1987. 미소장
74 “자주적인 새 사회 건설에서 인테리의 역할”,조선통일지지 베네수엘라 위원회 위원장 일행과 한 담화 1980년 8월 14일,『김일성저작집 35』,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1987. 미소장
75 “조선로동당 제4차대회에서 한 중앙위원회사업총화보고”,(1961년 9월11일),조선로동당출판사 편,『김일성저작집 15』,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1981. 미소장
76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당면한 정치,경제 정책들과 몇가지 국제문제에 대하여”,일본 <요미우리신문> 기자들이 제기한 질문에 대한 대답 1972년 1월 10일,『김일성저작집 27』,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1984. 미소장
77 “경제건설은 강성대국건설의 가장 중요한 과업”,『경제연구』,1999년제2호. 미소장
78 “3대혁명을 힘있게 벌려 생산에서 새로운 앙양을 일으키자”,함경남도 및 검덕광산 지도일군들과 한 담화,1975년 7월 1일,『김정일선집 5』,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1995. 미소장
79 “올해를 강성대국건설의 위대한 전환의 해로 빛내이자”,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들과 한 담화 1999년 1월 1일,『김정일선집 14』,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2000. 미소장
80 “올해를 사회주의경제건설에서 혁명적 전환의 해로 되게 하자”,전당 당일군회의 참가자들에게 보낸 서한,1997년 1월 24일,『김정일선집 14』,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2000. 미소장
81 “인민군대를 강화하며 군사를 중시하는 사회적 기풍을 세울데 대하여”, 『김정일선집 13』,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1998. 미소장
82 “인민생활을 더욱 높일 데 대하여”,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책임일군협의회에서 한 연설 1984년 2월 16일,『김정일선집 8』,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1998. 미소장
83 “자강도의 모범을 따라 경제사업과 인민생활에서 새로운 전환을 일으키자”,자강도의 여러 부문 사업을 현지지도하면서 일군들과 한 담화 1998년 1월 16~21일,6월 1일,10월 20일,22일,『김정일선집 14』,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2000. 미소장
84 “혁명발전의 요구에 맞게 대학 교육을 강화할데 대하여”,김일성종합대학창립 50돐에 즈음하여 대학교 직원,학생들에게 보낸 서한 1996년 10월 1일,『김정일선집 14』,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2000. 미소장
85 “시범단위를 창조하고 일반화하는 것은 우리 당의 전통적인 사업방법”,『근로자』,1986년 10월호. 미소장
86 “위대한 김정일동지는 자주시대의 가장 로숙하고 세련된 정치원로이시다”,『철학연구』,2000년 제1호. 미소장
87 “경애하는 수령님의 현지지도방법은 공산주의적 령도방법의 위대한 모범”,『근로자』,1978년 제4호. 미소장
88 “경제강국건설의 돌파구를 열어 나가기 위한 현명한 령도” ,『력사과학』,2000년 제3호. 미소장
89 “선군정치는 우리식 사회주의의 생명선”,『철학연구』,제 3호,2004. 미소장
90 “총대중시는 국사중의 제일국사”,『철학연구』,제 2호,2000. 미소장
91 “북한 김정일 체제의 군사정책 연구 :1995~2005”,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5. 미소장
92 “북한정치 연구의 쟁점과 과제”,북한연구학회,『현대북한연구와 남북관계』,추계학술회의 논문,2004. 미소장
93 김정일의 '경제 지도'에 관한 연구 : 북한의 공식 문헌을 중심으로 소장
94 “김정일체제의 지배이데올로기연구 :선군정치를 중심으로”,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5. 미소장
95 “북한의 TV프로그램편성전략”,한국방송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 1994. 미소장
96 김일성 「현지지도」연구 : 1980-90년대를 중심으로 소장
97 “북한의 현지지도와 정치리더십에 과한 연구”,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6. 미소장
98 “김정일 현지지도에 관한 계량분석”,『신진연구자 연구논문(Ⅳ)』,서울 :통일부,2002. 미소장
99 “김정일정권10년:통치이데올로기변화”,통일연구원,2004. 미소장
100 “김정일 현지지도 특성에 관한 연구”,국방대학교안전보장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5. 미소장
101 김정일 연구 1;후계자로의 부상과 권력구조 재편 소장
102 “경애하는 김정일 동지께서 제2의 천리마대진군을 빛나는 승리에로 이끌어주시는 위대한 령도”,『력사과학』,2000년 제1호. 미소장
103 ”북한의 권력 엘리트 연구 - 현지지도 수행을 중심으로”,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1 미소장
104 “북한의 권력엘리트 연구-현지지도 수행을 중심으로”,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1. 미소장
105 “현지지도”,『통일경제』,1997년 12월호. 미소장
106 “김정일 시대의 신년사와 통치강령 변화에 관한연구”,경기대학교정치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2006. 미소장
107 “김정일의 정치리더십 연구 :현지지도를 중심으로”,건국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박사학위논문,2007. 미소장
108 편집국,“김일성동지의 위대한 현지지도방법을 따라 배우자”,『근로자』,1969년 제11호. 미소장
109 “북한 현지지도의 정치경제학적 기원에 관한 연구”,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1. 미소장
110 “북한의 현지지도와 경제운영 -계획경제와 교시경제의 변주곡”,『정치비평』,하반기. 미소장
111 북한의 현지지도 연구 : 특성과 기능을 중심으로 소장
112 The Dynamics of Modernization: A Study in Comparative History,New York:Harper & Row,1996. 미소장
113 Socialist Korea, New York, Monthly Review Press,1976. 미소장
114 Leadership,N.Y Harper & Row,1978 미소장
115 The Active Society,A Theory of Sociental and Political Process,New York,Eree Press,1968. 미소장
116 Political Leadership: Readings for an Emerging Field,N.Y The Free Press,1972 미소장
117 Communism in Korea, Berkel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1972. 미소장
118 Kim Il Sung, The North Korean Leader,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1988. 미소장
119 The Dictator and Totalitarianism 네이버 미소장
120 Politicsas Leadership, Columbia: Univ.of Missouri Press,1990 미소장
121 Dependence in and Interdependent World, The Limited Possibility of Transformation within the Capitalist World Economy,New York,Cambridge University Press,1979. 미소장
122 Evolution of the Korean Workers' Party and the Rise of Kim Chŏng-il 네이버 미소장
123 The Dictator and Totalitarianism 네이버 미소장
124 『내외통신 주간판』. 미소장
125 『로동신문』. 미소장
126 『연합뉴스』. 미소장
127 『월간조선』. 미소장
128 『조선대백과사전』. 미소장
129 『조선일보』. 미소장
130 『조선중앙년감』 미소장
131 『조선중앙방송』. 미소장
132 『조선중앙TV』. 미소장
133 『조선중앙통신』. 미소장
134 『평양방송』. 미소장
135 htttp://www.korean.dprkorea.com/ 미소장
136 국가정보원,www.nis.go.kr 미소장
137 통일부,www.unikorea.go.kr 미소장
138 탈북자동지회,www.nkd.or.kr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