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요약 10
제I장 전통 주거문화 비교연구 14
1.1. 의미 16
1.2. 목적 19
1.3. 동향 21
1.4. 방법론 23
제II장 전통 주거문화 형성에 미친 요인 26
2.1. 자연환경 28
2.2. 사상과 종교, 가족제도 32
2.3. 전통 주거문화의 비교 39
2.4. 전통주거 공간개념 56
2.5. 전통 주거공간의 구성 59
제III장 한국, 중국, 일본, 전통창호의 개념과 역사 78
3.1. 한국 80
3.2. 중국 85
3.3. 일본 89
3.4. 한국, 중국, 일본 전통창호의 비교 93
3.5. 비교 연대표 95
제IV장 전통창호의 구성 98
4.1. 재료적 특성 비교 101
4.2. 구조적 특성 106
4.3. 형태적 특성 130
제V장 전통창호와 전통 주거문화와의 연계성과 심미성 148
5.1. 전통창호와 전통 주거문화와의 연계성 150
5.2. 전통 주거문화에서 한국 전통창호의 심미성 151
제VI장 결론 154
6.1. 결론 156
6.2. 제언 160
제VII장 기대효과 162
참고문헌 166
ABSTRACT 172
감사의 글 180
그림 1-4-1. 연구 방법의 구성 및 관련성 24
그림 2-1-1. 한국, 중국, 일본의 자연환경에 따른 전통 주거분포형태 31
그림 2-3-2-1. 한국의 공간구성과 조직 예 1 45
그림 2-3-2-2. 한국의 공간구성과 조직 예 2 46
그림 2-3-2-3. 중국의 공간구성과 조직 예 1, 북경의 자금성 평면도 47
그림 2-3-2-4. 중국의 공간구성과 조직 예 2 48
그림 2-3-2-5. 일본의 공간구성과 조직 예 49
그림 2-3-2-5. 일본의 지붕의 특성 50
그림 2-5-1-1. 한국 '반가' 평면구성 체계, 영천만취당 60
그림 2-5-2-1. 중국의 '사합원'의 입체적 구성체계 68
그림 2-5-2-2. 중국의 '사합원'의 평면적 구성체계 68
그림 2-5-3-1. 일본 '마치야'의 구정체계 1 76
그림 2-5-3-2. 일본 '마치야'의 구성체계 2 77
그림 3-2-1-1. 중국 전통창호의 문양 86
그림 3-3-2-1. 일본 전통창호, 쇼지의 개념 이해 92
그림 4-2-1-1. 빗살교창과 완자교창 107
그림 4-2-1-2. 들창 108
그림 4-2-1-3. 들어걸기 방식 111
그림 4-2-1-4. 정자살, 귀갑살, 숫대살, 빗살팔각 불발기 112
그림 4-2-1-5. 안고지기 113
그림 4-2-1-6. 여러 가지 문양의 창호 115
그림 4-2-2-1. 격선문 123
그림 4-2-2-2. 긴 창문 125
그림 4-2-2-3. 반창반벽 125
그림 4-2-3-1. 쇼지의 종류 128
그림 4-2-3-2. 일본 전통창호의 공간 활용 129
그림 4-3-3-1. 중국 전통창호의 장식 문양 1 135
그림 4-3-3-2. 중국 전통창호의 장식 문양 2 136
그림 4-3-3-3. 중국 전통창호의 장식 문양 3 137
그림 4-3-3-4. 쇼지의 패턴 1 141
그림 4-3-3-5. 쇼지의 패턴 2 142
그림 4-3-3-5. 쇼지의 패턴 3 142
그림 4-3-3-6. 쇼지의 패턴 4 143
그림 4-3-4-1. 한국 전통창호의 특징인 꽃살문 144
그림 4-3-4-2. 중국 전통창호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동물조각과 용 문양 145
그림 4-3-4-3. 일본 전통창호의 특징인 태극문 146
그림 5-1-1. 전통창호와 전통 주거문화와의 연계성 151
사진 4-2-1-1. 살창 줄 꽃살창 107
사진 4-2-1-2. 들창 108
사진 4-2-1-3. 당판문 109
사진 4-2-1-4. '들어걸기'를 보여주기 위한 사진 자료 112
사진 4-2-1-5. 숫대살만살문 118
사진 4-2-1-6. 완자교살문 118
사진 4-2-1-7. 사분합완자미서기문 119
사진 4-2-1-8. 정자매화꽃살문 119
사진 4-2-1-9. 완자팔각문과 만살문 121
사진 4-2-1-10. 접이세살문과 꽃완자문 121
사진 4-3-3-1. 한국의 전통창호 중 아자완자살문 133
사진 4-3-3-2. 한국의 전통창호 중 서각장지문 134
근래에 나타나고 있는 아시아에 대한 디자인계의 관심은 한국이라는 나라에게 정체성 확립이라는 요구에 직면하게 하고 있다. 급속한 경제 성장을 보여주며 예측 불가능한 잠재력을 가진 중국과 경제, 사회문화적으로 서구를 뛰어넘는 위상을 확립한 일본 사이에 위치한 지정학상의 이유와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사대문화를 가지던 시기와 일본의 식민시대를 겪어 낸 역사적 배경은 우리 문화에 특수성을 부여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특수성은 한국문화를 세계문화 속에서 선별하기 어렵게 하며, 유사한 '동북아시아 문화'안에 위치하게 했으며, 우리 내부에서조차 진정한 우리 것을 구별할 수 없도록 만들었다. 동북아시아 삼국은 유교문화와 한자 문화를 공유하며 복잡하게 얽혀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3개국의 유사성 속에서 우리만이 갖고 있는 차별성을 찾아내어 우리의 정체성 확립에 기여하여 한국문화의 위치 정립에 기여하길 바란다.
창호는 한국 전통주거에서 입면의장에 있어 특징적 요소이다. 대부분의 전통 건축물의 정면은 거의 전부를 벽체 대신 창호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것은 서양 건축물이 정면의 대부분을 벽체로 처리하고, 여기에 개구부를 필요에 따라 설치함으로써 항상 중요한 입면이 벽체가 된 것과 차이를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렇게 서양과 대조적인 의장요소인 창호를 키워드로 하여 동북아시아 문화권인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의 전통 주거문화 속 창호를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북아시아 3개국은 전통 주거문화에 있어 공통성과 차별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각국 문화의 근간이 되는 사상체계와 사유방식을 살펴본 결과, 한자문화와 유교문화, 조화론적 세계관, 자연친화사상 등을 공유하고 있으며 이 중 한자는 모든 사상과 법례 등의 문헌의 전달 방식이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또한 조화론적 세계관은 음양조화론, 풍수사상 등의 고유사상과 불교와 유교 사상의 일부까지 포함하고 있는 포괄적 개념이다. 자연친화사상은 자연과의 조화라는 의미에서는 조화론적 세계관에 포함되나 동북아시아 3개국에서는 그 영향이 크게 나타났기 때문에 따로 분리된 개념으로 설정하였다. 풍수사상에 의한 건축조형, 목조가구식 건축, 내외부의 중첩과 상호관입, 천연재료의 사용, 의미론적 색채관, 문양의 상징성 등으로 특성화 할 수 있다.
이러한 공통성을 공유하며 동시에 차별성을 지니는데 한국의 자연순응주의, 인본주의, 현세적 사고방식 등이, 중국은 중화사상과 상대론적 세계관, 순자연적 세계관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해 일본은 집단주의와 내외의 엄격한 구분, 기능중시의 실용주의 등이 독자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창호 차별성은 개폐방법과 방향에서 찾아볼 수 있다. 한국은 건물 바깥쪽으로 열리게 되어있다. 이는 온돌과 마루의 발전으로 실내 공간의 분리로 인한 공간이 세분화되고, 처마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창호의 개폐 방향이 건물 안쪽이 아니 바깥쪽으로 발전한 것으로 본다. 중국의 문은 이중문인 풍문을 제외하고 모두 건물 안쪽으로 열린다. 창은 격문과 같은 형태의 함창이 안쪽으로 열리고, 처마에 창을 매달아 여는 지적창과 추창은 건물 밖으로 열린다. 나머지는 붙박이 형태이다. 일본의 창호는 한국과 같은 방향인 건물 바깥쪽으로 개폐한다. 항은 모두 붙박이 형태이므로 개폐가 불가능하고, 문은 모두 바깥쪽으로 열린다. 고온다습한 기후로 창은 항상 열려있는 붙박이 형태로 나타나고 마루의 발달과 처마의 길이가 중국에 비해 상당히 길고 내부공간의 세분화로, 호의 개폐방향이 건물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변한 것으로 추정된다.
셋째,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창호는 대부분이 목재로 골격을 이루는 틀에서 구성되며 한 쪽 면에 종이를 붙이는 것으로 이뤄진다. 기본적인 구성 재료가 일반적으로 나무와 종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공통적인 특성을 기본으로 하면서 나라별로 독특한 특성을 보여주는 곳은 종이(창호지)를 붙이는 방법에서 차이가 있다. 한국은 종이를 안쪽에 붙임으로써 내부공간에는 면적구성을, 외부공간에는 선적구성을 이루게 한다. 이에 비해 일본은 종이를 바깥쪽에 붙임으로써 그 반대의 효과를 추구한다. 중국 역시 바깥쪽으로 종이를 붙이는 것으로 소개되고 있다. 중국은 창호를 보다 장식적으로 활용하여 종이보다 유리를 사용하거나, 투창으로서 창살만으로 구성된 것을 많이 볼 수 있다. 그리고 정원을 비롯한 외부공간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목재 외에도 점토나 금속재료를 사용하기도 했다.
넷째, 한국 전통창호의 대표성을 가지는 것은 '들어걸기'(문짝 전체를 위로 들어 올려 거는 것)라 할 수 있다. 선자귀는 들어 거는 형태의 문이다. 들어 거는 문은 중국과 일본에서도 비슷한 형태를 찾을 수 있으나 중국의 '지적창'은 은이 아닌 창으로, 들어 거는 형태의 문은 없다. 지적창의 형태는 위창과 아래 창으로 나뉘고, 위창은 들어 지지하는 형태로 열리고, 아래 항은 떼어내는 창이다. 일본의 '부호'는 들어 거는 형태로 두 부분으로 나눠 윗부분만 들어 걸게 되어있고, 나머지 아랫부분은 떼어내게 설계되어 있다. 일본과 중국은 들어지는 형태와 분리하는 형태의 창호로 나타나는데 한국의 선자귀는 문 전체를 들어 걸 수 있게 설계, 설치되었다. 선자귀에는 여닫이형태의 분합이 설치되기도 하는데, 이때 분합을 접어 선자귀와 함께 들어 거는데, 이러한 형태는 중국과 일본에서는 볼 수 없다. 지게 또한 중국과 일본에서는 볼 수 없다. 지게는 호와 같은 외짝 문으로 문살로 구성된 문이다. 중국에서는 호가 사라지게 됨으로 지게와 같은 형태의 문은 나타나지 않는다.
다섯째, 한국과 일본의 창호는 주로 실내 공간에서 사용되는 한정된 범위를 갖고, 목재와 종이를 주재료로 사용하지만 중국의 내부는 물론 외부공간에서도 활용하고 다양한 재료를 사용한다. 특히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진 투창 형식의 창호는 중국만의 독특한 특징이다. 한국은 창살의 형태를 본 따서 만든 이름의 창호가 있고, 중국 전통창호는 창살 구성은 각 범주들이 조합되어 하나의 창살형태가 만들어지는 방식이고, 일본은 독특한 기하학적 특성으로 구성된다.
위의 비교결과들을 통하여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 주거문화와 그 공간의 창호를 비교하여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유교, 조화론적 세계관, 자연친화 사상이란 가지고 한국은 인본주의, 중국은 중화사상, 일본은 집단주의라는 각국의 개성을 가진다. 공통된 정신문화를 바탕으로 목조가구식 건축, 내외부의 중첩과 관입, 음양조화와 풍수에 의한 조형, 자연과의 상생관계를 고려한 공간 등의 공통된 주거문화의 배경을 가지며 한국의 인본주의는 선적구성과 '앉힌다'는 개념의 읍경의 배치로, 중국의 중화사상은 폐쇄적 공간 구성과 엄격한 좌우대칭으로, 일본의 집단주의는 비대칭구성, 수평적 전개라는 전통주거의 대표특징으로 발현된다.
이러한 사상, 주거적 배경이 전통창호에서 공통성으로는 3개국 모두 자연모티브의 문양이 주를 이루며, 자연색이 포함된 색채를 선호하며 목재와 종이의 사용이라는 자연 소재사용으로 나타난다. 차별성은 한국의 전통창호에서는 부드럽고 도톰한 선, 유사배색의 선호로 따뜻하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로 사용하였고, 목재의 가공은 재료(육송) 자체의 자연스러움이 강조되었다. 중국은 창호의 문양이 사실적이고 양감이 풍부하며 세밀한 묘사로 화려하고 장식성이 부각되었으며 대비배색이 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목재는 매끄럽고 단단하게 인위적 가공의 정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은 세련된 생략과 축약, 기교와 장식의 기술이 발달하였다. 차분하고 안정성이 부각되는 유사배색이 선호되었고 자연스러움을 강조하기 위한 인위적 가공한 목재가 사용되었다.
한 나라의 주거는 그 사회의 자연환경과 사회적 환경, 사회구성원들의 이념과 가치, 생활과 제도 등 모든 영역의 문화적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때문에 그 사회에 소속된 집단의 역사적 경험과 전통을 반영하는 생활문화의 총체적인 산물로서 주거를 파악한다는 것은 곧 그 나라의 문화를 알 수 있는 척도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주거란 과거, 현재, 미래를 이어주는 문화적 현상으로서 오늘날 우리는 일정 시대만을 살고 있으나, 우리의 생활양식은 지속적으로 과거, 현재의 연속선상에 있고, 또 현재에서 미래로 이어질 것이다. 여기서 과거의 주거문화가 오늘날의 현대주거와 어떤 끈으로 이어지고 있는 지 알아 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어떤 끈'으로 공간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창호'로 연구범위를 제한하여 한국, 중국, 일본을 비교분석하였다. 선조의 훌륭한 유산인 전통창호를 어떻게 미래로 이어갈 지에 대하여 기여하는 연구라 필자는 확신하며 현재에 어떻게 전승되고 있고, 이것의 활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새로운 연구 과제임을 인지하며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편 (2006) 교양으로 읽는 일본사회와 문화, 제이앤씨 | 미소장 |
2 | (2004) 일본, 일본인, 일본문화, 다락원 | 미소장 |
3 | (2000) 일본의 건축, 서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4 | (1999) 중국의 건축, 서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5 | (1996) 한국의 건축, 서울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6 | (2001) 넓게 본 중국의 주택, 열화당 | 미소장 |
7 | (2001) 깊게 본 중국의 주택, 열화당 | 미소장 |
8 | (1995) 북경의 주택_중국 주택의 원형, 사합원을 중심으로, 열화당 | 미소장 |
9 | (1994) 그림으로 보는 중국전통민가, 발언 | 미소장 |
10 | (2006) 한‧중‧일의 공간조영, 도서출판 국제 | 미소장 |
11 | (2001) 공간 디자인 16강, 도서출판 국제 | 미소장 |
12 | (2002) 새로 쓴 한국 주거의 역사, 기문당 | 미소장 |
13 | (2000) 그림으로 보는 한국건축용어, 발언 | 미소장 |
14 | (2005) 한국의 꽃살‧기둥‧누각,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15 | (2005) 한국의 창‧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16 | (2006) 조선 상류 주택의 내부 공간과 가구,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17 | (2001) 한국의 창과 문, 대원사 | 미소장 |
18 | (2000) 한국 건축사, 고려대학교출판부 | 미소장 |
19 | (1999) 한국의 전통민가, 아르케 | 미소장 |
20 | 韓國建築美 | 소장 |
21 | (1996) 창호(한국건축대계 1), 보성각 | 미소장 |
22 | (2000) 세계의 주거문화, 신광출판사 | 미소장 |
23 | (2000) 주거의 문화적 의미, 세진사 | 미소장 |
24 | (2000) 우리 생활 100년-집, 현암사 | 미소장 |
25 | (1998) 우리 옛집 이야기, 열화당 | 미소장 |
26 | (1998) 위리 옛집 이야기 : 한국 전통주택의 실내공간, 열화당 | 미소장 |
27 | (1998) 동아시아의 전통철학, 예문서원 | 미소장 |
28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2001) 동아시아 문화전통과 한국사회_한‧중‧일 문화비교를 위한 분석틀의 모색, 백산서당 | 미소장 |
29 | (2003) 문화분석, 한울아카데미 | 미소장 |
30 | 문화의 이해 | 소장 |
31 |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1993) 비교문화 연구, 일신사 | 미소장 |
32 | (1993) 한‧일 문화의 동질성과 이질성, 신구미디어 | 미소장 |
33 | 국민대학교 대학원 (1993) 현대 일분 건축에 있어서 일본성, 동방디자인 | 미소장 |
34 | (1984) 한국의 풍수사상, 민음사 | 미소장 |
35 | (2002) 중국 고건축 기행, 컬쳐라인 | 미소장 |
36 | (2001) 일본인이 생활, 혜안 | 미소장 |
37 | (2000) 중국 고전건축의 원리, 시공사 | 미소장 |
38 | (1995) 중국고대건축사, 세진사 | 미소장 |
39 | (1995) 전통중국인의 일상생활, 도서출판 신서원 | 미소장 |
40 | 중국전통민가, 발언 | 미소장 |
41 | (1987) 중국의 전축과 도시, 기문당 | 미소장 |
42 | (1985) 주택의 형태와 문화, 태림문화사 | 미소장 |
43 | (1983) 일본 건축사, 세진사 | 미소장 |
44 | 도서출판 경원각발행 ((1976) 건구(문)사진 도안집 | 미소장 |
45 | (2000) 중국 고전 건축의 원리, 시공사 | 미소장 |
46 | (1968) Japanese Architecture, Bunji Kobayashi | 미소장 |
47 | (1998) The Aesthetics of Tokyo, Ichigaya出版社 | 미소장 |
48 | (1999) 町家 | 미소장 |
49 | (1985) What is Japanese Architecture?, Kodansha International | 미소장 |
50 | (1988) 窓のはなし, 庇島出版社 | 미소장 |
51 | (2001) Minka to Machinami, 山川出版社 | 미소장 |
52 | (2003) 民家, 山と出版社 | 미소장 |
53 | (1984) 和風住宅の知識, 形國社 | 미소장 |
54 | (2005) The Japanese House_In Space, Memory, and Language, I-House Press | 미소장 |
55 | (2003) A Japanese Touch for Your Home, Kodansha International | 미소장 |
56 | (2002) CLASSICAL CHINESE DOOR & WINDOWS, 中國建築工業出版社 | 미소장 |
57 | (2006) China, Japan, Korea Culture and Customs, Booksurge Llc | 미소장 |
58 | 中國建築中心建築歷史硏究所 (1994) 中國江南古建築裝置裝飾圖典, 中國工人出版社 | 미소장 |
59 | (1949) A Grammar of Chinese Lattice, Harvard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60 | 都市 建築物의 窓門디자인에 關한 硏究 ![]() |
미소장 |
61 | 朝鮮時代 班家의 住生活과 空間使用에 대한 연구 | 소장 |
62 | 조선후기 반가의 주거문화 고찰과 공간분석에 의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연구 | 소장 |
63 | (1999)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 창살 비교 분석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실내환경디자인 전공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64 | (2000) 동·서양 전통적인 주택양식의 실내공간특성 비교연구분석,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65 | 전통주택에 사용된 문양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 |
미소장 |
66 | 조선시대 반가의 공간사용에 관한 연구 ![]() |
미소장 |
67 | (2002) 한국 현대 주거건축의 전통 공간요소 적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업 대학원 | 미소장 |
68 | 생태학적 공간 디자인에 있어 한국 전통의 현대화 연구 ![]() |
미소장 |
69 | 한·중·일 창호 비교를 통해 본 조선시대 궁궐 창호의 형태 | 소장 |
70 | (2002) 한, 중, 일 창호비교를 통해 본 조선시대 궁궐 창호의 형태, 연세대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71 | (2004) 한, 중, 일 주거문화 맥락에서 본 전통가구 디자인의 특성 비교연구, 연세대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72 | 한국사상과 전통건축공간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 소장 |
73 | (2004) 전통궁궐건축을 통해 본 한, 중, 일 의장문화 비교연구, 연세대 대학원 주거환경학과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74 | (2005) 한, 중, 일 “ㅁ 자형 전통주거”에 나타난 실내공간의 동질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청구논문 | 미소장 |
75 | 한국 전통주거건축 창호의 비례와 의장적 특성에 관한 연구 | 소장 |
76 | 한국전통건축공간의 구성방법에 관한 연구 | 소장 |
77 | 중국 고전 건축 창호 디자인의 현대적 적용에 관한 연구 | 소장 |
78 | 현대 식음공간의 실내디자인에 있어 동양적 공간구성원리에 관한 연구 : 선과 노자 사상을 배경으로 | 소장 |
79 | 중한 전통주택 비교를 통한 현대적 주택 디자인 개발 : 중국 사합원과 한국 전통 상류주택을 중심으로 | 소장 |
80 | 한국 전통주거의 미적 관점에 의한 공간 연계성 연구 | 소장 |
81 | 중국의 전통적 공간구성원리의 분석을 통한 실내 공간 디자인 방법에 관한 연구 | 소장 |
82 | 중국 사합원의 형성과정과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소장 |
83 | Comparative Study on Graphic Examples of Traditional Lattices in Korea, China, Japan - Focused on grid type from geometrical viewpoint | 소장 |
84 | 현대 주거문화와 전통 주거문화와의 관련성-부엌 공간의 사용형태를 중심으로, 태평양장학문화재단, pp.235~283 | 미소장 |
85 | 전통창호의 재해석과 실내의장 요소로서의 활용방안, 태평양장학문화재단, pp.285~333 | 미소장 |
86 | 한국 정통공간의 공간 정체성 규명과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한‧중‧일 공간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태평양장학문화재단, pp.571~630 | 미소장 |
87 | The Modern Meanings and Attitudes of the Traditional Motives in Upper : Class Houses of Chosun Dynasty | 소장 |
88 | 연세대학교, 전통소재에 의한 한국문화상품의 특성화 연구, 1999년 산업디자인 기반기술개발 지원 산업, 산업자원부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