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5
I. 들어가는 말 8
1. 연구목적 8
2. 선행연구 12
3. 연구범위와 방법 16
II. 신남철 철학의 형성과정 20
1. 삶과 저술 20
2. 유물변증법과 실천철학의 수용과정 25
1) 유물변증법과 헤겔철학의 수용 25
2) 신헤겔주의 비판과 이데올로기 비판 29
3) 철학적 원리 탐구와 현실분석 36
3. 독자적 철학의 확립 42
1) 철학적 문예비평과 신체의 변증법 42
2) 수용, 가공, 표현: 막스 라파엘 49
3) 추상적 유형화 비판: 삼목청 53
III. 신체의 변증법과 역사철학 60
1. 역사철학의 기초로서 인식론 60
1) 인식론의 근본 문제 63
2) 인식의 기원과 자기운동 65
3) 인식의 발전 과정 72
4) 인식의 신체화 75
2. 역사철학: 유물론적 역사 변증법 80
1) 신체의 변증법과 역사의 변증법 81
2) 의식의 역사와 자유 86
3) 세계정신과 개인 93
4) 비판적 개인의 집단적 실천 98
IV. 비판과 논쟁을 통한 현실참여와 철학적 실천 105
1. 문예논쟁과 철학적 문예비평 105
1) 논쟁과 문예 비평 106
(1) 실천개념 논쟁과 자기반성적 자각 106
(2) 주관과 객관 논쟁 110
(3) 문학 창작과 실천 115
2) 사회파시즘 비판과 문예 교육이론 120
(1) 계몽적 사상의 전개와 사회파시즘 비판 120
(2) 변증법적 미학적 문예비평 125
(3) 문화 창조의 기초로서의 교육 130
2. 해방공간에서의 참여활동 136
1) 학술적 교육적 참여활동 137
(1) 민족문화 수립과 민주주의 국가 건설 137
(2) 통일된 사회주의적 자주독립국가 수립을 위한 투쟁 146
(3) 새로운 교육건설을 위한 노력과 국립서울대학교안 반대 150
2) 사회 정치 참여활동 155
(1) 조선학술원에서의 활동과 학술 진영의 분립 155
(2) 정치 참여와 공산당 비판 158
(3) 문화 활동과 이데올로기로서 부르주아 민주주의 채택 162
(4) 진보적 학술 진영의 재편과 분단의 고착화 167
(5) 조선신문학원과 남북회담지지성명 그리고 월북 173
V. 나가는 말 177
참고문헌 182
Abstracts 192
이 글은 우리나라 서양철학의 첫 번째 세대인 신남철이 자신의 철학사상을 확립하여, 그 사상을 자신의 삶에 적용하고 실천해 가는 과정을 살펴본다. 그래서 이 연구는 1930년대 일제 식민지시기부터 해방 후의 혼란스러운 시기를 중심으로 신남철의 철학가로서의 삶을 고찰하였다.
신남철이 살았던 시대는 혼란한 시기였다. 신남철은 식민지라는 조국의 상황이 강제적으로 떠넘겨준 짐을 벗어버리기 위해 노력한다. 그래서 신남철은 해방 전에는 철학도로서 민족해방을 위해 싸움을 선언하고 자신만의 독자적인 철학체계를 확립하여 그것을 실천하기 위해 투쟁한다. 그리고 해방 후에는 좌파 지식인으로서 왜제를 축출하고 봉건세력을 무력화 시켜서 자주민주적으로 통일된 완전한 독립국가 건설을 위해 투쟁한다.
3·1운동이 실패로 돌아가고 좌절한 조선인들은 제국주의에 대항하는 철학으로 마르크스철학을 받아들인다. 이때 신남철은 경성제국대학교에 입학하고 '문우회'에서 마르크스철학을 처음 접한다. 그리고 '경제연구회'에서 마르크스철학을 공부하고 또 헤겔철학을 공부한다. 대학원에 진학하여 철학과 조수로 일하면서 신남철은 '조선사회사정연구회'에서 마르크스경제학을 깊이 있게 연구한다. 그리고 학업을 마치고 동아일보 기자, 중앙고보 교사로 근무 한다.
신남철은 헤겔철학이 지난 파시즘적 요소를 비판하지만 변증법은 받아들이고, 헤겔의 역사철학을 비판하지만 상당부분을 받아들인다. 또 신남철은 문예 비평에 참여하고 원서들을 번역하면서 다양한 사상가들의 사상을 접한다. 그리고 막스 라파엘의 '구체적 변증법의 인식론'을 접하고 자신의 독자적 철학체계인 신체의 변증법을 완성하게 된다. 신체의 변증법에는 신남철의 철학적 중심사상이 담겨있다.
신남철의 인식은 주체로서의 의식이 현실적 감성계를 주체적으로 파악하면서 이 의식의 활동을 대상적 활동으로 파악하는 활동이다. 이 활동을 신남철은 수용, 가공, 표현 그리고 신체화의 단계로 설명한다. 감성적 지각은 수용된다. 수용된 지각은 가공되고, 가공된 지각은 표현되게 된다. 표현의 단계는 신체화의 단계이고 여기에서 사유와 존재, 이론과 실천이 변증법적으로 통일되고 구체성을 획득하게 된다.
인간의 의식은 인식과정에서 통일되고 발전되어가기 때문에 변증법적이다. 육체의 모사가능성은 대상을 수용하고 오성은 그것을 가공하여 표현의 단계인 신체적인 인식에 도달한다. 대상과 육체는 통일되고 인식이 표현의 단계, 신체화의 단계에 이르게 된다. 이러한 발전의 과정을 신남철은 신체의 변증법이라고 한다. 신남철은 자신의 철학사상을 현실에 적용한다. 적용하는 과정에서 문학비평에 참여하고 독자적으로 철학하였으며 다양한 글들을 발표한다. 일제 말과 해방 후에는 경성제대 교수, 서울대 교수로 근무한다. 또 해방공간에서는 다양한 저술 활동을 하면서 백남운과 함께 정치에 관여하기도 한다.
신남철은 조선의 문학사가 가공단계에 있다고 본다. 그런데 이인직, 이광수의 문학은 단순한 수용의 차원에 있기 때문에 자각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반면에 신경향파 운동은 현실을 자각하고 있기 때문에 가공의 단계에 있다. 그래서 신남철은 신경향파의 운동을 문학적 실천이라고 생각한다. 신남철은 이성과 낭만사이에서 방황한 하이네가 자신과 같다고 생각했다. 하이네는 혁명적 시인이며 신체적 실천가이자 선구자였다. 신남철도 조국 해방을 위해 노력했고 해방이 되자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기 위해 노력한다.
그러나 친일 제국주의 세력과 봉건세력은 분열을 책동하면서 새로운 국가건설을 방해한다. 신남철은 통일된 조국을 건설하기 위해서는 남북의 분열을 막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자신은 양보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혁명의 방법으로 민중 봉기를 찬성하지만 폭력을 반대하면서 공산당을 비판하고 중간파적 입장에 서게 된다.
신남철의 철학은 투쟁이었다. 그러나 투쟁의 사상은 우리의 것이 아니라 서양으로부터 받아들인 것이었다. 그래서 급변하는 세계질서 속에서 힘의 논리를 보지 못하고, 국가를 이끌어갈 논리를 스스로 개발하지 못했다. 그 결과 국제 감각에 어두워 미, 소관계가 조선의 앞날을 좌우하리라는 것을 예측하지 못했다. 조선의 정치지도자들의 미숙한 정치역량은 남한과 북한의 통합을 이끌어내지 못하고 왜제청산에 실패하고 만다. 모든 노력이 실패로 돌아가고 조국은 분단되어 갔다. 선택을 강요받는 상황에 이르게 되자 신남철은 극단적인 선택을 한다. 신남철은 월북하고 역사의 뒤로 사라진다.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새쌈의 선언」, 「비」, 청년 (청년잡지사, 1928). | 미소장 |
2 | 신남철, 「철학의 일반화와 속류화 - 한치진씨의 하기강좌를 읽고」, 조선일보 (1930. 10. 11~15(11회 연재)). | 미소장 |
3 | 「헤겔 백년제와 헤겔부흥」, 신흥 제5호(태학사, 1929, 역사철학에 재수록). | 미소장 |
4 | 革命詩人 하이네 二 : 理性과 浪漫의 二元苦와 哲學 | 소장 |
5 | 신남철, 「헤겔 백년제에 제하여」, 조선일보 (1931)(필명, 남철). | 미소장 |
6 | 「신헤겔주의와 그 비판」, 신흥 제6호(태학사, 1932, 역사철학에 재수록). | 미소장 |
7 | 革命詩人 하이네 二 : 理性과 浪漫의 二元苦와 哲學 | 소장 |
8 | 革命詩人 하이네 二 : 理性과 浪漫의 二元苦와 哲學 | 소장 |
9 | 「입장의 문제와 이데오로기」, 비판 제14호(비판사, 1932). | 미소장 |
10 | 「이데오로기와 사회파씨슴 - 「신수정주의」와 현계단」, 신계단 제1호 (조선지광사, 1932). | 미소장 |
11 | 民族理論의 三形態 | 소장 |
12 | 신남철, 「연구실을 찾아서 - 팔메니데스적 방법과 헤라클레이토스적 방법」, 조선일보 (1932. 12. 6). | 미소장 |
13 | 이데오로기論 | 소장 |
14 | 「조선어철자법문제의 위기에 대하야」, 신계단 (조선지광사, 1932). | 미소장 |
15 | 신남철, 「철학과 문학 생각나는 대로의 단편」, 조선일보 (1933. 2. 23~3. 1(9회 연재)). | 미소장 |
16 | 「夜 ‧ 無 ‧ 山 ‥‧ 한 개의 서곡 - 五山의 C군에게 보냄」, 중명 제1권 제1호(중명사, 1933). | 미소장 |
17 | 「불안의 사상의 유형화 - 삼목청씨 소론을 읽고」, 중명 제3호(중명사, 1933). | 미소장 |
18 | 「헤라클레이토스의 단편어」, 철학 창간호(1933, 역사철학에 재수록). | 미소장 |
19 | 신남철, 「최근 세계사조의 동향 - 각국에 있어서의 약간의 문제의 적출」, 동아일보 (1933. 9. 13~24(8회 연재)). | 미소장 |
20 | 신남철, 「마르틴 루텔의 생탄 450년, 현대종교에 있어서의 루텔적 과제」, 동아일보 (1933. 11. 24~29(4회 연재)). | 미소장 |
21 | 신남철, 「최근 조선연구의 업적과 그 재출발-조선학은 어떻게 수립할 것인가」, 동아일보 (1934. 1. 1~7(4회 연재)). | 미소장 |
22 | 신남철, 「동양사상과 서양사상, 그 양자는 과연 구별되는 것인가」, 동아일보 (1934. 3. 15~23(8회 연재)). | 미소장 |
23 | 「현대철학의 Existenz에의 전향과 그것에서 생하는 당면의 과제」, 철학 제2호(1934, 역사철학에 재수록). | 미소장 |
24 | 신남철, 「정여사 독창회를 앞두고 하이네의 시 2편 번역 - 연화, 불원」, 동아일보 (1934. 4. 29). | 미소장 |
25 | 신남철, 「학생계몽대의 동원을 기회하야 ‘계몽’이란 무엇이냐 - 역사와 인간에 대한 단상」, 동아일보 (1934. 6. 20~23(3회 연재)). | 미소장 |
26 | 신남철, 「그리운 산 그리운 바다: 명상의 용문산아」, 동아일보 (1934. 7. 23). | 미소장 |
27 | 朝鮮硏究의 方法論 | 소장 |
28 | 신남철, 「문화의 논리학에 대한 일기여-박씨의 ‘문화운동과전승방법’론」, 동아일보 (1935. 1. 29~30(2회 연재)). | 미소장 |
29 | 신남철, 「새로운 조명을 받은 고전문학: 천태산인 「춘향전의 현대적 해석」」, 동아일보 (1935. 2. 1). | 미소장 |
30 | 신남철, 「연애와 결혼에 대한 호개 평론: 이종우 최영우씨의 연애와 결혼관」, 동아일보 (1935. 2. 2~3(2회 연재)). | 미소장 |
31 | 신남철, 「복고주의에 대한 수언: E. 슈프랑거의 연설을 중심으로」, 동아일보 (1935. 5. 9~11(3회 연재)). | 미소장 |
32 | 신남철, 「자유 ‧ 하이네」, 동아일보 (1935. 7. 2). | 미소장 |
33 | 신남철, 「두 개의 인간론」, 동아일보 (1935. 8. 6). | 미소장 |
34 | 신남철, 「한 개의 유치한 폴레모스(전쟁)」, 동아일보 (1935. 10. 6). | 미소장 |
35 | 신남철, 「노서아의 철학과 톨스토이의 이성애(상)(하)」, 동아일보 (1935. 11. 20~21(2회 연재)). | 미소장 |
36 | 신남철, 「최근 조선 문학사조의 변천-신경향파의 대두와 그 내면적 관련에 대한 한개의 소묘」, 신동아 제5권 9호(1935). | 미소장 |
37 | 「신문화 건설의 길」, 사해공론 (사해공론사, 1936). | 미소장 |
38 | 「독서론」, 사해공론 (사해공론사, 1936). | 미소장 |
39 | 신남철, 「스펭글러의 사상 - 그의 부음을 듣고」, 동아일보 (1936. 5. 13). | 미소장 |
40 | 신남철, 「랑케의 생애 - 내적 생활을 중심하야」, 동아일보 (1936. 5. 23). | 미소장 |
41 | 신남철, 「꾀테는 살인범(?) 쉴러는 과연 독살됐나 - 7년 침묵을 깨뜨린 꾀테협회」, 동아일보 (1936. 7. 14~15(2회 연재)). | 미소장 |
42 | 신남철, 「현대 사상과 릭켈트 - 그에 있어서의 산 것과 죽은 것」, 동아일보 (1936. 8. 19~21(3회 연재)). | 미소장 |
43 | 신남철, 「작가심정의 문제-누구를 위하야 쓸 것인가」, 동아일보 (1937. 6. 23). | 미소장 |
44 | 신남철, 「고전이냐 유행이냐 - 최근 문예평론에 대한 2, 3의 단상」, 동아일보 (1937. 6. 24). | 미소장 |
45 | 신남철, 「특수문화와 세계문화 - 문화론의 합과학적인 전진을 위하야」, 동아일보 (1937. 6. 25). | 미소장 |
46 | 신남철, 「문학의 개인성과 사상성 - 취향을 읽고 느낀 것 몇 가지」, 동아일보 (1937. 6. 26). | 미소장 |
47 | 「작가와 비평가의 변-철학적인 작품을 기대」, 조광 (1937). | 미소장 |
48 | 신남철, 「고뇌의 정신과 현대 - 어떤 작가에게 주는 편지」, 동아일보 (1937. 8. 3~7(5회 연재)). | 미소장 |
49 | 신남철, 「금강 기행」, 동아일보 (1937. 10. 31~11. 4(11회 연재)). | 미소장 |
50 | 「인식 신체 급 역사」, 신흥 제9호(태학사, 1937, 역사철학에 재수록). | 미소장 |
51 | 知性은 文化의 武器庫 | 소장 |
52 | 신남철, 「문학과 사상성의 문제」, 조선일보 (1938. 5. 18~21(4회 연재)). | 미소장 |
53 | 신남철, 「철학자로서 문학자에 일언-작가의 정열적 예지」, 동아일보 (1938. 5. 25~26(2회 연재)). | 미소장 |
54 | 신남철, 「지자를 부르는 나팔 - ‘신방법’ 유토피아작품의 대망, 고대에 붙이는 말」, 조선일보 (1938. 7. 7). | 미소장 |
55 | 신남철, 「작가에의 진언장 - 문제성의 결여」, 동아일보 (1938. 8. 31~9. 3(4회 연재)). | 미소장 |
56 | 신남철, 「신간 비평론」, 동아일보 (1938. 11. 1). | 미소장 |
57 | 신남철, 「제1회 신인문학 콩쿨에 보내는 찬사 - 엄숙한 박진력」, 동아일보 (1938. 11. 3). | 미소장 |
58 | 知性은 文化의 武器庫 | 소장 |
59 | 신남철, 「역사, 문화자료, 조선문화자료관의 필요성을 논함」, 동아일보 (1939. 1. 1~10(4회 연재)). | 미소장 |
60 | 신남철, 「임학수씨 저, ‘후조에 대하야’」, 조선일보 (1939. 2. 18). | 미소장 |
61 | 신남철, 「인류에서 조국으로: 세계대전을 회고함(철학편)」, 동아일보 (1939. 5. 6~7(2회 연재)). | 미소장 |
62 | 文化創造와 敎育 | 소장 |
63 | 轉換期의 人間 | 소장 |
64 | 「사색일기, 형극(荊棘)의 관(冠) - 그날그날의 엑스타시스」, 인문평론 (인문사, 1940). | 미소장 |
65 | 「베르그송의 사와 사상의 운명」, 조광 (조선일보사출판부, 1941). | 미소장 |
66 | 「내가 지금 다시 학생이 된다면」, 조광 (조선일보사출판부, 1941). | 미소장 |
67 | 「신간평- 유진오의 화상보」, 인문평론 (인문사, 1941). | 미소장 |
68 | 「동양정신의 특색」, 조광 (조선일보사출판부, 1942). | 미소장 |
69 | 신남철, 「자유주의의 종언」, 매일신보 (1942. 7. 1~4(3회 연재)). | 미소장 |
70 | 歷史의 發展과 個人의 實踐 : 헤-겔哲學에 對한 한개의 試論 | 소장 |
71 | 「민주주의와 ‘휴매니슴’ - 조선 사상문화의 당면정세와 그것의 금후의 방향에 대하야」, 제1회 조선문학자대회 회의록 건설기의 조선 문학 (1946, '전환기의 이론'에 재수록). | 미소장 |
72 | 文學과 政治 | 소장 |
73 | 「지도자론」, 신세대 제3호(조선지광사, 1946, 전환기의 이론에 재수록). | 미소장 |
74 | 「희랍인의 세계관과 ‘소-크라테-스’」, 민족문화 제1집(1946, 역사철학에 재수록). | 미소장 |
75 | 「애국심」, 협동 창간호(조선금융조합연합회, 1946). | 미소장 |
76 | 「‘루네쌍스’와 ‘휴매니슴’」, 인문학 강좌 (1946, 역사철학에 재수록). | 미소장 |
77 | 신남철, 「민주문화와 민족문화」, 경향신문 (1946. 10, 전환기의 이론에 재수록). | 미소장 |
78 | 「자치훈련과 교육의 근본 義」, 민성 10호(고려문화사, 1946, 전환기의 이론에 재수록). | 미소장 |
79 | 朝鮮敎育建設上의 諸問題 | 소장 |
80 | 신남철, 「국립대학교와 교육의 위기」, 독립신보 (1947. 2. 13, 전환기의 이론에 재수록). | 미소장 |
81 | 「현하의 과학정세와 과학자의 임무」, 민주주의 16(1947, 전환기의 이론에 재수록). | 미소장 |
82 | 「정세파악과 과학」, 신천지 (신천지사, 1947, 전환기의 이론에 재수록). | 미소장 |
83 | 「히틀러 집정 직전의 독일과 꼬르키의 연대책임론」, 협동 (1947, 전환기의 이론에 재수록). | 미소장 |
84 | 신남철, 「민족문화 건설의 방향」, 광명일보 (1947. 5, 전환기의 이론에 재수록). | 미소장 |
85 | 「이데올로기의 역사적 규정」, 과학전선 (1947, 전환기의 이론에 재수록). | 미소장 |
86 | 신남철, 「민족문화 건설의 의의」, 만세보 (1947. 8, 전환기의 이론에 재수록). | 미소장 |
87 | 신남철, 「학생 불상사와 그 대책」, 자유신문 (1947. 10, 전환기의 이론에 재수록). | 미소장 |
88 | 역사철학 (서울출판사, 1948). | 미소장 |
89 | 전환기의 이론 (백양당, 1948). | 미소장 |
90 | (講座) 歷史硏究의 方法論 ![]() |
미소장 |
91 | 「언어의 성립」, 정음 제2호(조선어학연구회, 1934). | 미소장 |
92 | 「왜 지나에는 과학이 없나」, 춘추 제2권 제5호(조선춘추사, 1941). | 미소장 |
93 | 「스따린과 웰스의 대화」, 전환기의 이론 (백양당, 1948). | 미소장 |
94 | 「시인」, 인문평론 (인문사, 1941). | 미소장 |
95 | 「근대 조선의 ‘세계사’ 경험과 역사철학자들 - ‘교토학파’의 논의와 관련하여」, 일본문화 연구 vol 18(2006). | 미소장 |
96 | 우리에게 철학은 무엇인가 (궁리, 2002). | 미소장 |
97 | 구름만 북으로 몰려가는구나 (도서출판 동아, 1989). | 미소장 |
98 | 역사적 현실과 사회철학 : 신남철을 중심으로 | 소장 |
99 | 철학과 현실 ![]() |
미소장 |
100 | 「철학자와 ‘사회적 현실’ - 서양철학 수용사를 중심으로」, 사회와 철학 제4호(한국철학회, 2002). | 미소장 |
101 | 현실속의 철학 철학 속의 현실 (책세상, 2001). | 미소장 |
102 | 「열암에 비춰진 맑시즘과 실존주의를 통해 본 ‘철학과 현실’」(한민족 철학자대회 발표문, 1999). | 미소장 |
103 | 한국 현대 실천 철학 - 박종홍부터 아우토노니즘까지 (돌베게, 2008). | 미소장 |
104 | 「황도유교의 사유체계와 방법론적 문제점에 대한 비판 - 관념적 사유체계와 형이상학적 방법을 중심으로」(비판철학회 제2회 학술대회 발표문, 2004). | 미소장 |
105 | 유교 윤리의 근대적 변형에 대한 비판적 고찰 : 박종홍(1903~1976)의 유교 윤리를 중심으로 | 소장 |
106 | 한국 근현대 문예비평연구 (한얼문고, 1973). | 미소장 |
107 | 「한국 근대 문예 비평사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76). | 미소장 |
108 | 해방공간의 문학사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 미소장 |
109 | 임화연구 (문화사상사, 2000). | 미소장 |
110 | 철학논점 : 월북 철학자들 - 생애와 저작 - ![]() |
미소장 |
111 | 한국 사회철학의 수용과 전개 (동녘, 2002). | 미소장 |
112 | 哲學硏究 ![]() |
미소장 |
113 | 「‘철학하는 것’의 출발점에 관한 일 의문」, 철학 창간호(1933). | 미소장 |
114 | 「철학하는 것의 실천적 지반」, 철학 제2호(1934). | 미소장 |
115 | 現實把握의 길 | 소장 |
116 | 「‘위기’의 철학」, 철학 창간호(1933). | 미소장 |
117 | 「아카데믹철학을 나오며」, 조광 (조선일보사출판부, 1936) | 미소장 |
118 | 「민주주의의 철학적 해명」, 학술 (해방기념논문집, 1946). | 미소장 |
119 | 사상과 현실 (백양당, 1947). | 미소장 |
120 | 한국근현대사상사연구-1930․40년대 백남운의 학문과 정치경제사상 (역사비평사, 1993). | 미소장 |
121 | 역사 철학의 종말? : 이성의 간지 개념 재조명 | 소장 |
122 | 「실천철학에 대한 검토」, 창작과 비평 1호 통권 57호(창작과 비평사, 1985). | 미소장 |
123 | 「일제말기 역사철학자들의 문예비평 연구」(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6). | 미소장 |
124 | 신남철·박치우의 사상과 그 해석에 작용하는 경성제국대학이라는 장 | 소장 |
125 | 개념사로서의 한국근대비평사 (도서출판역락, 2002). | 미소장 |
126 | 문학과 사상이 살아 움직이고 소통되는 현장 : 해방 이전까지 고보 및 전문대학 교지 | 소장 |
127 | 「‘독일근현대철학’에 관한 연구사와 번역의 문제 - 일제하에서 1950년대 초까지」, 시대와 철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 미소장 |
128 | 「분단시대의 철학적 이데올로기 형성」,(전남대학교 철학연구센터 발표문, 2007). | 미소장 |
129 | 유진오, 「신간평-신남철 저 역사철학」, 동아일보 (1948. 4. 8,10,11(3회 연재)). | 미소장 |
130 | 서양철학의 수용과정과 철학의 주체성 | 소장 |
131 | 김기덕, 한국인의 역사의식 (청년사, 1999). | 미소장 |
132 | 「열암 박종홍의 철학사상에 대한 연구 - 천명사상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미소장 |
133 | 「1930년대 서양철학 수용에 나타난 철학1세대의 철학함의 특징과 이론적 영향」, 시대와 철학 제17권 2호(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6). | 미소장 |
134 | 「일제퇴각이후 한국에서의 헤겔철학 연구사」, 철학연구 50년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편, 혜안, 2003). | 미소장 |
135 | 해방공간의 민족문학론 (태학사, 1992). | 미소장 |
136 | 경성제국대학 (다낙원, 1980). | 미소장 |
137 | 이태준, 「평론에 대하여」, 동아일보 (1937. 6. 27-29). | 미소장 |
138 | 「‘인격존중’ 비판을 대망」, 조광 (조선일보사, 1937). | 미소장 |
139 | 우리의 학맥과 학풍 (문예출판사, 1995). | 미소장 |
140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철학연구 50년 (혜안, 2003). | 미소장 |
141 | 「해방직후 지식인의 민족현실 인식」, 해방전후사의 인식 2(한길사, 2006). | 미소장 |
142 | 1930년대 ‘조선학’ 진흥운동 연구 - 방법론의 모색과 민족문제 인식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미소장 |
143 | 언론과 한국현대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 미소장 |
144 | 「한국에 있어서의 서양철학연구의 어제와 오늘」, 사색 (숭실대학교철학과, 1972). | 미소장 |
145 | 「하인리히 하이네 문학의 수용에 관한 연구(Ⅱ)-1930년부터 1945년까지 한국에서의 하이네에 대한 분석적 연구」, 독일어문학 제20집(2003, 한국독일어문학회), | 미소장 |
146 | 현대 한국의 전기 철학사상 연구 : 일제하의 철학사상을 중심으로 | 소장 |
147 | 「현대 한 ․ 일 철학사상의 비교연구 - 1930년대의 박종홍과 三木淸의 철학사상을 중심으로」, 용봉논총 제12집(전남대학교, 1982). | 미소장 |
148 | 韓國과 日本에 있어서의 西洋哲學의 受容形態에 관한 比較硏究 | 소장 |
149 | 「1930년대 후반 전통론 연구 - 시간 ‧ 공간 의식을 중심으로」(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 미소장 |
150 | 中日戰爭과 미키 키요시(三木 淸)의 東亞協同體論 | 소장 |
151 | 「마르크스주의 철학사상 원전 번역사와 우리의 근대성 - 20세기 초엽부터 1953년까지를 중심으로」, 시대와 철학 제14권 2호(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 미소장 |
152 | 한국 근현대 윤리사상 (현실과 과학, 2008). | 미소장 |
153 | Phänomenologie des Geistes, in Werke in zwangzig Bänden 3(Ffm.: Suhrkamp, 1965). | 미소장 |
154 | Vorlesungen über die Geschichte der Philosophie, in Werke in zwangzig Bänden 18(Ffm.: Suhrkamp, 1965). | 미소장 |
155 | 철학입문 (범조사, 1990). | 미소장 |
156 | 마르크스주의의 역사(Ⅱ) (중원문화, 1989). | 미소장 |
157 | Raphael Max, 편집부 옮김, 프루동 마르크스 피카소 (눈빛, 1988). | 미소장 |
158 | Zur Erkenntnistheorie der konkreten Dialektik (Paris, 1934). | 미소장 |
159 | 「졸업생 송별 대강연 개요」, 중외일보 (1928. 3. 19). | 미소장 |
160 | 「경성제대 졸업생 140명 중 한국인」, 동아일보 (1931. 3. 26). | 미소장 |
161 | 「만화경」, 별건곤 제67호(1933). | 미소장 |
162 | 「삼천리 기밀실」, 삼천리 제6권 제8호(1934). | 미소장 |
163 | 「경성제대출신 청년학사는 어데갓는가」, 삼천리 제7권 제7호(1935). | 미소장 |
164 | 「3중고의 성녀 ‘헬렌 켈러’ 20세기 기적의 반생」, 동아일보 (1937. 7. 8,9,10,11). | 미소장 |
165 | 「헬렌 켈러여사 평양 순회 일정」, 동아일보 (1937. 7. 15). | 미소장 |
166 | 「조선학술원 창설」, 매일신보 (1945. 9. 14). | 미소장 |
167 | 「임시정부영수환국전국환영위원회」, 중앙신문 (1945. 11. 10). | 미소장 |
168 | 「조선문화협회 창립」, 서울신문 (1945. 12. 28). | 미소장 |
169 | 「국어문화보급회 창립」, 서울신문 (1946. 2. 12). | 미소장 |
170 | 「민전, 교육 및 문화대책연구위원과 경제대책위원회 위원 선정」, 서울신문 (1946. 2. 26). | 미소장 |
171 | 「전조선문필가협회 결성」, 동아일보 (1946. 3. 9,14,15). | 미소장 |
172 | 「전국문학자대회의 임무」, 조선일보 (1946. 2. 10). | 미소장 |
173 | 「민족문화연구소 창립」, 서울신문 (1946. 5. 7). | 미소장 |
174 | 「신문학원 개원식 성황」, 동아일보 (1947. 4. 6). | 미소장 |
175 | 「조선신문학원에서 1주년 기념식 거행」, 조선일보 (1948. 4. 3). | 미소장 |
176 | 「신문학원 위해 후원회 결성」, 조선일보 (1948. 4. 7). | 미소장 |
177 | 「일제강점기 한국철학의 재발견」, 동아일보 (2006. 12. 20).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