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목차
논문개요 8
제1장 서론 10
제1절 연구의 목적 10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3
제2장 조지 시걸의 생애와 미술사적 배경 14
제1절 생애 14
제2절 미술사적 배경 19
제3장 조지시걸 작품의 특성 25
제1절 실물 뜨기 주조 25
제2절 연극적 환경 36
제3절 시간성과 공간성 43
제4장 조지 시걸의 작품분석 50
제1절 일상성 50
제2절 내적 응시 56
제3절 사회성과 공공성 60
제5장 조지 시걸의 작품이 현대미술에 끼친 영향 64
제6장 결론 67
참고문헌 69
Abstract 83
도판 1. 조지 시걸, 테이블 앞의 남자, 1961 71
도판 2. 파블로 피카소, 기타, 1912 71
도판 3. 리차드 해밀턴, 오늘날 우리 가정을 이토록 색다르고 매력적으로 만든 것은 무엇인가, 1956 71
도판 4. 조지 시걸, 기대누운 여인, 1958 72
도판 5. 앙리 마티스, 청색 누드, 1907 72
도판 6. 조지 시걸, 롯의 전설, 1958 73
도판 7. 앤디 워홀, 캠벨 스프, 1962 73
도판 8. 클레스 올덴버그, 스프링, 2006 73
도판 9. 에드워드 키엔홀츠, 주립 병원, 1964-1966 74
도판 10. 조지 시걸, 저녁 식탁, 1962 74
도판 11. 조지 시걸, 두 손과 드레스 버클, 1978 74
도판 12. 조지 시걸, 간이 식당, 1964-1966 75
도판 13. 조지 시걸, 주유소, 1963-1964 75
도판 14. 조지시걸, 주유소 부분, 1963-1964 75
도판 15. 조지 시걸, 시네마, 1963 76
도판 16. 조지 시걸, 주류판매점, 1994 76
도판 17. 조지 시걸, 세탁소, 1964 76
도판 18. 조지 시걸, 공중 전망, 1970 77
도판 19. 조지 시걸, 허슬, 1980 77
도판 20. 조지 시걸, 러시 아워 1983 77
도판 21. 조지 시걸, 검은 침대위의 연인, 1976 78
도판 22. 에드워드 호퍼, 도시의 여름, 1949 78
도판 23. 조지 시걸, 푸줏간, 1965 79
도판 24. 에드워드 호퍼, 아침 해, 1952 79
도판 25. 조지 시걸, 트럭 운전사, 1966 79
도판 26. 조지 시걸, 음악과 시를 듣고 있는 앨리스, 1970 80
도판 27. 조지 시걸, 처형, 1967 80
도판 28. 조지 시걸, 대학살, 1983 81
도판 29. 조지 시걸, 다음 출발, 1979 81
도판 30. 조지 시걸, 네 개의 벤치에 앉은 세 사람, 1979 82
도판 31. 조지 시걸, 동성연애자, 1980 82
20세기는 두 번의 세계대전과 산업의 발달 및 과학의 급격한 진보로 인한 사회변화가 두드러진 시기였으며, 이런 시대적 배경 아래에서 팝아트(Pop Art)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에 지배적으로 자리 잡고 있던 추상표현주의(Abstract Expressionism)에 대한 반동으로 일어난 대중매체와 예술의 연대로부터 출발하였다. 본고의 중심인물인 조지 시걸(George Segal, 1924-2000)은 1960년대 전후 미국의 시대정신의 한 부분이었던 팝아트의 범주에 속하는 인물이다.
시걸의 작업은 예술과 생활을 혼합시키는 개념을 끌어들인 팝아트, 앗상블라주(Assemblage), 환경미술과 해프닝(Happening)등의 실험적 방법들이 혼합된 결과물로 보인다. 특히 앨런 카프로우(Allan Kaprow)의 해프닝에서 우연과 변화의 요소를 끌어들인 연극적 상황연출에 큰 영향을 받았다. 그의 작업은 종종 팝아트와 동일시 되기도 했지만, 팝아트의 차가운 사물성이나 극 사실주의적으로 인체를 재현한 작가들 보다 시적이다.
시걸은 자신의 주변 인물을 실제 모델로 기용하여 실물 뜨기 주조 방법으로 인체를 재현하였다. 모델은 석고주조가 완성되는 동안에 자신만의 시간을 경험하게 되면서 고유한 생활경험방식을 자연스럽게 드러낸다. 시걸은 이를 통해 좀 더 실재감 있는 인체를 재현할 수 있었다. 이런 과정 예술적 측면은 관객의 참여를 유도하고, 새로운 상황을 제공하여 지속적인 시간의 경험을 요구하는 연극적 성격에서도 드러난다. 관객은 타블로 환경 안에 직접 들어가 작품을 관찰하면서 일련의 충격과 직면하게 된다. 이 때 관객은 타블로 조각과 오브제들과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일상적 경험을 떠올리는 공간의 확장을 요구받는다.
시걸의 작품은 자신이 거주하던 뉴 브런스윅에서 직접 경험한 풍경을 재현하였다. 그는 도시 속의 현대인들이 느끼게 되는 고독과 소외를 나타내기 위해 기계적 조명을 이용하여 문학적 요소와 분위기를 부여한다. 이 때 타블로 인물의 의식은 자기 내면으로 향하는 '내적 응시'의 특징을 보이며, 이를 강조하기 위해 '창'의 형식을 이용하여 관객에게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바라보게 함으로써 엿보는 방식을 취하다가 결국 자신의 내면의 의식으로 향하게 유도한다. 작품의 주제는 전쟁에 대한 잔혹한 폭력성에 대한 각성을 요구하기도 하고, 사회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소외계층에 대해 인간적인 존엄성을 각성시키기도 하면서 다양하게 택해졌다. 이런 측면에서 그의 타블로 조각은 사회 비판적 성격과 공공적 성격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시걸의 타블로 조각은 인간의 삶을 내밀하게 표출한다. 그의 작업은 1960년대 이후에 나타나는 해프닝과 관련된 참여적 성격의 행위예술, 팝아트의 오브제와 관련하여 일상성과 사물성에 주목하는 작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관객이 작품에 직접 참여하는 방식을 통해 예술과 대중의 상호 소통적 가치 획득하였으며, 인체의 실제적 재현 및 사회적 상황을 제시함으로써 현대인들에게 인간성의 회복 및 휴머니즘을 공공적으로 호소하고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