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11

I. 序論 1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4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6

3.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17

II. 연구의 기초 18

1. 표현용어의 정의 18

2. 표현용어의 종류와 음악사적 배경 19

1) 셈·여림표(dynamic marks) 23

2) 빠르기말(tempo 伊, Zeitmass 獨, mouvement 佛) 24

3)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 26

4) 프레이징(phrasing) 26

3. 교육과정과 표현지도 27

1) 학교 음악교육의 표현지도 27

2) 음악과 교육과정의 표현과 관련된 내용 33

3) 음악의 생활화와 음악교육 35

III. 음악 표현용어의 의미 및 음악표현 38

1. 음악 표현용어의 의미 38

(1) 셈·여림표(dynamic signature) 39

(2) 빠르기표(Tempo signature) 표현 : 속도를 지시하는 말과 기호나 표 44

2. 셈여림 표현(Dynamic)의 탐색 54

(1) 주선율의 동음진행과 셈여림 표현 55

(2) 음악의 동형진행과 셈여림 표현 61

(3) 조바꿈 악절, 부속화음 연속진행과 셈여림 표현 75

(4) 신장형(伸張型), 수축형(收縮型)의 선율 진행과 셈여림 표현 83

(5) 반진행형(反)進行型) 선율과 셈여림 표현 89

(5) 사진행형(斜進行型) 선율과 셈여림 표현 96

3. 속도(Agogik)표현 100

1) 점점 느리게 변화되는 속도표현 100

2) 점점 빠르게 변화되는 속도표현 106

3) 임의로 자유롭게 변화되는 속도표현 109

4.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표현 114

1) 레가토(Legato)와 스타카토(Staccato)의 표현 114

2) 마르카토(Marcato)와 테누토(Tenuto)의 표현 122

5. 노랫말에 대한 리듬(Rhythm) 표현 128

(1) 노랫말에 대한 리듬 표현상의 문제점 128

(2) 노랫말에 대한 리듬 표현의 적정성 130

IV. 음악 표현지도의 실제 133

1. 음악의 해석과 표현 133

2. 음악 표현지도를 위한 지도 방안 137

3. 표현학습을 위한 수업지도안 164

V. 결론 및 제언 181

1. 결론 181

2. 제언 183

참고 문헌 185

ABSTRACT 189

표목차

(표 1) ① 전체적인 셈·여림표 39

(표 2) * 셈·여림 표현의 정도(程度) 체계 39

(표 3) * 줄여서 쓰거나 기호로 사용하는 점차적인 셈여림표(말) 40

(표 4) * 원어 그대로 사용하는 점차적인 셈여림말(표) 40

(표 5) ③ 부분적인 셈여림표 41

(표 6) accent와 sf 표현의 정도(程度)를 표시한 도표 42

(표 7) 악상기호 fp와 pf의 도형화 44

(표 8) ① 악곡 전체의 속도를 지시하는 표 44

(표 9) ② 속도의 변화를 지시하는 표 46

(표 10) ③ 함께 붙여서 사용하는 표 47

(표 11) (3) 나타냄말(Expression signature)표현 : 악곡의 표정이나 표현을 나타... 47

(표 12) 긴장과 이완을 주는 요소 54

(표 13) 4) 같은 음으로 연속 진행될 경우 표현의 가능성 61

(표 14) 7) 동형진행하여 상행 발전될 경우의 표현의 가능성 74

(표 15) 3) 조바꿈(전조)·부속화음이 연속진행 될 경우의 표현 가능성 82

(표 16) 3) 신장형(伸張型), 수축형(收縮型) 선율로 진행될 경우의 표현 가능성 88

(표 17) 3) 반진행형(反)進行型) 선율로 진행될 경우의 표현 가능성 95

(표 18) 3) 사진행형(斜進行型) 선율로 진행될 경우의 표현 가능성 99

(표 19) *고등학교 교과서의 제재곡중 빠르기표나 빠르기말 대신 나타냄말로 적은 예 104

(표 20) 가락선 138

(표 21) 가락선에 따른 긴장과 이완 140

(표 22) 악곡(조두남의 그리움)의 가락선에 따른 긴장과 이완 140

(표 23) 악곡(브람스의 헝가리 춤곡)의 가락선에 따른 긴장과 이완 141

(표 24) * 긴장과 이완의 원리 146

(표 25) 악곡에 나타난 표현용어 분석 150

(표 26) 가락선을 통한 전체 음악의 흐름과 악상기호의 관계 파악 151

(표 27) 음악의 흐름과 관련된 나선형의 모형 152

(표 28) 선율구조의 형식 156

(표 29) 악상기호의 도표화 157

(표 30) 〈가락선〉 170

(표 31) 프레이징 172

(표 32) 악곡분석에 따른 빠르기말, 나타냄 말, 악상기호 173

(표 33) 셈여림의 표현 분석표 175

악보목차

〈악보 1〉 sf, rf 또는 accent 표현 42

〈악보 2〉 L. V. Beethoven(1770-1827), Piano sonata op.2, No.3... 43

〈악보 3〉 H. Berlioz, Symphony Fantastique, op.14 '무도회' 55

〈악보 4〉 J. Sibelius, op.26, Symphonic poem, "Finlandia' 56

〈악보 5〉 F. Chopin, Ballad op. 52, No.4, 57

〈악보 6〉 L. V. Beethoven, Lied, 'Ich liebe dich' 57

〈악보 7〉 L. V. Beethoven, piano sonata op.13, 'Pathétique' 58

〈악보 8〉 장일남, 가곡, '기다리는 마음' 59

〈악보 9〉 Vincenzo Di Chiara, Canzone, La 'Spagnora' 60

〈악보 10〉 P. Tschaikowsky, Symphony op.74, No.6 'Pathétique' 62

〈악보 11〉 조두남, 가곡, '또 한송이 나의 모란 63

〈악보 12〉 김규환, 가곡, '남촌' 64

〈악보 13〉 F. Mendelssohn, 'Prelude & Fuga' 65

〈악보 14〉 J. Brahms, op.80, 'Academic Festival Overture' 66

〈악보 15〉 F. Mendelssohn, op.5, 'Capriccio' 67

〈악보 16〉 나운영, 가곡, '가려나' 68

〈악보 17〉 F. Mendelssohn, op.6 piano sonata, 3rd Mov 69

〈악보 18〉 J. S. Bach, Cantata, BWV.140 70

〈악보 19〉 김동진, 가곡, '저 구름 흘러가는 곳' 71

〈악보 20〉 F. J. Haydn, 'Die SCHÖPFUNG''놀라워 주가 하신 일' 72

〈악보 21〉 E. D. Capua, Canzone, 'O! Sole mio' 73

〈악보 22〉 고영신, 'Glad! the King came' '아기 예수를 위한 자장가' 75

〈악보 23〉 김연준, 가곡, '청산에 살리라' 76

〈악보 24〉 F. P. Schubert, Lied, 'An die Musik' 77

〈악보 25〉 A. Vivaldi, Missa, Gloria, '높이 계신 주께 영광 78

〈악보 26〉 한만승, 가곡, '고향' 80

〈악보 27〉 이수인, 가곡, '내 맘의 강물' 81

〈악보 28〉 A. Dvorak, op.95, Symphony No.9, 4th Mov. 83

〈악보 29〉 김규환, 가곡, '남촌' 84

〈악보 30〉 J. Brahms, Waltz, 85

〈악보 31〉 J. S. Bach, BWV.884, Preludio No.15 86

〈악보 32〉 L. V. Beethoven, Lied, 'Ich Liebe dich' 87

〈악보 33〉 E. Chabrier, 광시곡, '스페인' 89

〈악보 34〉 F. Chopin, Etude op.10, No.4 90

〈악보 35〉 채동선, 가곡, '고향' 90

〈악보 36〉 F. Chopin, Etude op.10, No.4 91

〈악보 37〉 F. Chopin, Piano Sonata, op.35 92

〈악보 38〉 J. Sibelius, op.26, Symphonic poem, 'Finlandia' 92

〈악보 39〉 Henry Purcell, 'O Sing unto the lord' 93

〈악보 40〉 박태준, 가곡, '산 길' 94

〈악보 41〉 E. H. Grieg, op.16, Concerto for piano 1st Mov. 96

〈악보 42〉 김성태, 가곡, '동심초' 97

〈악보 43〉 Béla Bartók, 14 Bagatellen op.6 No.5 97

〈악보 44〉 W. A. Mozart, Opera Le Nozze Di Figaro, 'Non piu andrai' 98

〈악보 45〉 C. A. Debussy, Arabesque No.1 100

〈악보 46〉 G. D. Curtis, Canzone, '돌아오라 소렌토로' 101

〈악보 47〉 김성수, 가곡, '꽃' 103

〈악보 48〉 S. V. Rakhmaninov, Piano Concerto op.18, No.2 105

〈악보 49〉 S. S. Prokofiev, Piano Concerto op.10, No.1 106

〈악보 50〉 김동진, 가곡, '가고파' 107

〈악보 51〉 Tito Mattei, 가곡, 'Non é ver' 108

〈악보 52〉 C. C. Saëns, Piano Concerto No.2, op.22 109

〈악보 53〉 C. W. Gluck, "Paride ed Elena" 'O del mio dolce ardor' 110

〈악보 54〉 원곡 42-47마디(현재 악보 5-6마디) 112

〈악보 55〉 F. Liszt, Piano suite, 순례의 연보 'Orage' 113

〈악보 56〉 W. A. Mozart, Piano Sonata K.332, 1st Mov. 115

〈악보 57〉 조두남, 가곡, '산' 115

〈악보 58〉 스타카토 116

〈악보 59〉 J. L. F. Mendelssohn 'Rondo capriccioso'op.14 117

〈악보 60〉 F. P. Schubert, Sonatina for Violin and piano, op.137, No.1, 2nd Mov. 118

〈악보 61〉 F. P. Schubert, Lied, 'An die Musik' 119

〈악보 62〉 A. S. Sullivan, 'The Mikado' 120

〈악보 63〉 F. Busoni, Paganini-Etude for piano'La Campanella' 121

〈악보 64〉 G. F. Händel, Oratorio, Messiah, No.44, 'Hallelujah' 123

〈악보 65〉 현제명, 가곡, '희망의 나라로' 124

〈악보 66〉 E. H. Grieg, Piano concerto op.16, 2nd Mov. 126

〈악보 67〉 G. D. Curtis, Canzone, '돌아오라 소렌토로' 127

〈악보 68〉 윤용하, 가곡, '고독' 128

〈악보 69〉 최영섭, 가곡, '그리운 금강산' 129

〈악보 70〉 김연준 : '청산에 살리라' 131

〈악보 71〉 변훈, 가곡, '떠나가는 배' 132

〈악보 72〉 김규환, 가곡, '남촌' 138

〈악보 73〉 조두남, 가곡, '그리움' 140

〈악보 74〉 예3) 브람스 (Brahms) ; "헝가리 춤곡" 141

〈악보 75〉 이수인, 가곡, '고향의 노래' 142

〈악보 76〉 윤해중, 가곡, '오솔길' 143

〈악보 77〉 장일남, 가곡, '비목' 143

〈악보 78〉 김규환, 가곡, '남촌' 144

〈악보 79〉 조두남, 가곡, '그리움' 144

〈악보 80〉 J. Brahms, '헝가리 춤곡' 145

〈악보 81〉 김규환, 가곡, '남촌' 147

〈악보 82〉 조두남, 가곡, '그리움' 147

〈악보 83〉 W. A. Mozart, Sonata K.545 147

〈악보 84〉 변훈, 가곡, '떠나가는 배' 149

〈악보 85〉 E. H. Grieg, Suite, Peer guynt, '솔베이그의 노래' 155

〈악보 86〉 현제명, 가곡, '희망의 나라로' 158

〈악보 87〉 G. F. F. Verdi, Opera Aria '여자의 마음' 159

〈악보 88〉 F. P. Schubert, Lied, '물위의 노래' 159

〈악보 89〉 W. A. Mozart, Piano Sonata, K.533 1st Mov. 160

〈악보 90〉 W. A. Mozart, 클라리넷 협주곡, K.622, 3rd Mov. 160

〈악보 91-1〉 스페인 민요, '가타툼바' 161

〈악보 91-2〉 스페인 민요, '가타툼바' 유형1, 유형2 162

〈악보 92〉 다양하게 변화시킨 아티큘레이션의 악보 163

〈악보 93-1〉 장일남, 가곡, '기다리는 마음' 169

〈악보 93-2〉 (표현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 예시 악보) 176

〈악보 94〉 동음 연속진행과 동형진행 선율의 표현연습 177

〈악보 95〉 신장형, 수축형 선율의 표현연습 177

〈악보 96〉 동음 연속, 동형, 신장, 수축진행의 표현 178

〈악보 97〉 반진행과 사진행 선율의 표현연습 179

〈악보 98〉 반진행과 부속화음화음 연속진행선율의 표현연습 179

〈악보 99〉 빠르기 변화의 표현연습 179

〈악보 100〉 아티큘레이션 표현연습 180

초록보기

 음악 교육에 있어서 학생들이 작곡가들의 음악작품을 이해하고 악곡의 느낌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게 생각되어지는 영역이다. 먼저 어떤 곡을 연주하려면 그 악보에 나타난 여러 가지 표현용어의 의미를 잘 알아야 하고 작곡자가 작품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의도와 느낌을 잘 파악할 수 있는 악곡의 해석력을 발휘하여 적절한 표현방법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러기위해서는 음악표현에 도움이 되는 표현용어를 단순 암기식이 아닌 악곡에서의 의미와 기능, 효과를 이해하여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표현의 기회를 많이 제공해주고 잠재적인 음악표현 능력과 창의성을 길러 줌으로써 스스로 표현력을 발휘할 수 있는 음악표현을 위한 교육이 필요한 것이다.

음악을 표현하는 방법에 있어서 주관적인 방식의 표현 입장이 아니라 작품에 나타난 표현요소들을 파악하거나 분석하고 고찰함으로써 작곡자와 연주자들이 나타내고자 하는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표현의도와 방법을 찾아내어 활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리고 음악표현에 관한 구체적인 탐색을 위하여 가능한 다양한 음악작품을 분석함으로써 이러한 악곡을 통해 작품에서 나타나있는 여러 가지 음악 표현용어의 의미, 셈여림 표현, 속도 표현, 아티큘레이션의 표현, 노랫말에 대한 리듬표현 등을 이해하는 과정도 요구된다.

악곡을 학생 스스로가 연주함에 있어 창의적이고 능동적으로 악상기호를 활용하여 음악표현을 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는 음악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교사가 음악시간에 활용할 수 있는 음악 표현지도의 실제적인 방안을 모색하여 음악의 해석과 표현, 음악 표현지도를 위한 구체적인 학습방법을 꾸준히 연구함으로써 학교 교육현장에서 실효를 거둘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음악을 연주하는데 연주자가 같은 작품을 조금씩 다르게 표현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적절한 표현의 방법이 없이 자기 멋대로 아무렇게나 표현하는 것은 음악 예술적 견지에서 용납될 수 없는 일이라고 사료된다. 특히 음악을 연주함에 있어 기교적인 연주에 지나치게 집중하거나, 테크닉은 전혀 없는데 표현에만 몰두해서는 참다운 음악표현을 할 수가 없다. 결국, 연주기술과 음악해석에 따른 표현이 적절하게 융화되어야 좋은 표현력이 발휘된 연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음악수업 과정에서 이루어 질 수 있는 표현학습지도는 학생들이 단순히 정확한 음을 익히는 것만이 아닌 연주 할 작품에 나타난 표현요소들을 파악하여 악곡의 느낌과 분위기를 살려 능동적으로 표현할 수 있게 하는 학습방법과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악곡을 익히고 연주하는 과정에서 악곡의 전체 구성, 프레이즈 구분, 악곡에 나타난 다양한 표현용어를 파악할 수 있는 학습방법을 제시하여 보았다. 나타냄 말의 의미를 통해 곡의 느낌을 생각하며, 악상기호를 통해 셈여림의 정도를 예상하고, 악곡의 기본템포와 템포의 변화를 통해 전체적인 음악적 흐름을 감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줌으로써 학생들이 단순한 암기형태의 표현용어의 이해가 아닌 표현용어가 악곡에 기여하는 바를 스스로 감지할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표현용어가 구체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은 악곡을 연주하게 될 때는 연주자가 작곡가의 의도를 이해하기 위해 연주악보에 대한 신중한 악곡해석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지도의 실제에서는 악보를 통한 음악 흐름을 이해할 수 있는 가락선 그리기, 선율에 따른 프레이즈 구분하기, 프레이즈에 따른 긴장과 이완의 이해, 나타냄 말, 빠르기말, 악상기호 등의 표현요소 탐색, 아티큘레이션을 파악하는 학습과정을 통하여 음악표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보았다. 앞으로의 음악연주지도는 단순히 음을 익히는 과정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연주할 악곡에 대한 깊은 이해를 통하여 마음껏 표현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도되어야 하며, 음악교사는 학생들이 스스로 표현의 가능성을 넓힐 수 있을 때 까지 표현에 대한 끊임없는 연구와 노력을 중단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