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0

제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0

제2절 연구방법 14

제3절 논문의 구성 15

제2장 이론적 배경 18

제1절 직무소진 18

1. 직무소진의 개념 18

2. 직무소진의 측정 방법 22

제2절 직무소진의 선행연구 25

1. 개인적 요인 26

2. 직무 환경적 요인 30

3. 직무소진의 결과요인 34

4. 직무소진 관련 이론모형 36

(1) 직무통제모형(Job Demand-Control Model) 36

(2) 직무자원모형(Job Demand-Resource Model) 38

(3) 자원보존모형(COR: Conservation of Resources Model) 40

제3장 직무소진 영향요인 42

제1절 직무특성 요인 42

1. 역할 모호성 42

2. 역할 갈등 46

제2절 완벽주의 49

1. 완벽주의의 개념 50

2. 완벽주의의 특성 56

3. 완벽주의와 직무소진 58

제3절 효능감 62

1. 자기 효능감 62

(1) 자기 효능감의 개념 62

(2) 자기 효능감의 근원 및 구성개념 64

2. 집단 효능감 67

제4절 효능감의 조절효과 69

1. 자기 효능감 69

2. 집단 효능감 72

제4장 국민건강보험공단 사례 75

제1절 직무특성 및 환경 75

1. 통합 과정 75

2. 주요 사업 및 직무환경 75

제2절 역할과 임무 78

1. 환경의 변화와 역할 78

2. 직무소진의 문제 85

제5장 방법론 88

제1절 연구모형 및 가설 88

1. 연구모형 88

2. 연구가설 89

제2절 측정도구 및 조작적 정의 93

1. 직무소진 93

2. 독립변수 94

(1) 역할 모호성 94

(2) 역할 갈등 95

(3) 완벽주의 성향 95

(4)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 96

3. 조절변수 97

(1) 자기 효능감 97

(2) 집단 효능감 97

제3절 조사 방법 98

1. 표본 및 자료 98

(1) 표본 및 자료수집 98

(2) 설문지 구성 99

2. 표본의 인구학적 특성 100

제6장 실증 분석 및 가설 검증 102

제1절 분석 방법 102

제2절 변수의 타당성과 신뢰성 102

1. 타당성 검증 102

2. 신뢰성 검증 106

제3절 가설의 검증 107

1. 상관 분석 107

2. 차이 분석 109

3. 위계적 회귀 분석 112

(1)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 114

(2) 집단 효능감의 조절효과 118

제4절 분석결과 122

제7장 결론 130

제1절 함축적 의미 및 시사점 130

제2절 연구의 한계 및 과제 134

참고문헌 138

부록 161

국문초록 168

Abstract 172

표목차

〈표 4-1〉 직급별 연령분포별 현황(2007. 7. 31) 76

〈표 4-2〉 국가별 GDP대비 공공의료비 83

〈표 4-3〉 GDP 대비 사회비 지출 84

〈표 5-1〉 설문지 항목 99

〈표 5-2〉 성별분포 100

〈표 5-3〉 직급별 분포 100

〈표 5-4〉 부서별 분포 101

〈표 6-1〉 직무소진과 선행요인의 요인분석 결과 105

〈표 6-2〉 설문 문항의 신뢰도 분석 결과 106

〈표 6-3〉 상관 분석표 108

〈표 6-4〉 비완벽주의 집단과 완벽주의 집단의 차이분석 110

〈표 6-5〉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과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 간의 차이분석 111

〈표 6-6〉 대면 업무부서 집단과 비대면 업무부서 집단 간의 차이분석 112

〈표 6-7-1〉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 114

〈표 6-7-2〉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 116

〈표 6-8-1〉 집단 효능감의 조절효과 118

〈표 6-8-2〉 집단 효능감의 조절 효과 120

그림목차

〈그림 1-1〉 논문의 체계 17

〈그림 2-1〉 Job Strain Model 37

〈그림 2-2〉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40

〈그림 5-1〉 연구모형 88

〈그림 6-1〉 자기 효능감에 따른 직무소진 변화추이 125

〈그림 6-2〉 집단 효능감에 따른 직무소진 변화추이 128

초록보기

공공부문에서 효과성 향상을 위해 조직의 효율적인 구조에 초점을 두고, 팀제, 품질관리, 전략적 인사관리 등을 도입하는 다양한 형태의 조직구조 개편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조직 내외부의 경쟁적인 분위기를 조장하는 전략적인 관리기법의 도입과 함께 환경적 요구에 따라 추진되고 있는 구조조정으로 인한 고용조정이나 직제개편을 조직구성원이 직무부담으로 받아들이고, 직무불안정한 요소로 받아들이면 목표달성을 저해하는 방해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상황은 공공부문 종사자들의 인식의 전환과 함께 새로운 긴장과 불안을 심화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직무스트레스를 발생시키고 있다. 조직구성원의 스트레스가 조직의 유효성을 저해하는 부정적인 요소임이 밝혀짐에 따라 조직의 인적자원관리에서 조직구성원의 스트레스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논문의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직무통제모형에 기초하여 직무특성 요인을 역할 모호성, 역할 갈등, 개인의 성격 요인인 완벽주의를 직무요구로서 조작적 정의하여 직무소진의 원인변수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직무소진의 원인변수를 직무특성 요인과 개인특성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직무소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측정하여 조직구성원의 직무소진을 보다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제시하였다. 뿐만 아니라 직무소진의 원인변수와 직무소진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직무통제 변수로 자기 효능감과 집단 효능감을 설정하여 직무소진의 부정적인 효과를 완충하는 대처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표본은 국민건강보험공단지사 직원 541명을 대상으로 구성하였다.

논문의 연구결과, 직무특성 요인인 역할 모호성과 역할 갈등, 개인특성 요인인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는 직무소진을 증가시켰지만 완벽주의 성향은 직무 소진을 감소시켰다. 직무소진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은 직무특성 요인인 역할 모호성과 역할 갈등 보다 개인적 요인인 완벽주의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완벽주의 집단 중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를 더 경험한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이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 보다 소진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선행연구 결과와는 달리 비완벽주의 집단이 완벽주의 집단 보다 직무소진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에서 제시한 완벽주의 성향이 직무소진을 감소시키는 결과는 다음과 같이 해석할 수 있다. 전체 완벽주의 성향 10문항 중 본 논문의 연구결과에서는 요인분석 결과 추출된 자기목표 추구적인 요소 3문항만을 완벽주의 성향으로 조작적 정의하여 측정한 결과이고, 완벽주의에 관한 많은 선행연구에서 직무소진에 비적응적 측면 뿐 아니라 적응측면으로 동시에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지고 있다. 또한 민원인과 직접적인 접촉을 주로 업무로 하는 대면 업무부서 직원이 행정업무 및 기타 업무를 담당하는 비대면 업무부서 직원보다 직무소진을 더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보다 여성이 직무소진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효능감을 집단차원과 개인차원으로 구분하여 조절변수로 투입한 결과 자기 효능감은 주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가 모두 나타나지 않아 자기 효능감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 효능감의 경우도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지만 실제로 유의미한 결과로 해석하기에는 너무 낮은 수준이었고, 상호작용 효과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아 집단 효능감의 조절효과 또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함축적의 의미 및 정책적 시사점을 살펴보면, 역할 모호성과 역할 갈등과 같은 직무차원의 직무요구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정보 제공과 조직구성원의 다중적인 역할 기대에 관한 규정을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조직 내·외부에서 발생하는 갈등을 관리할 수 있는 제도를 체계적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별도의 민원을 담당하는 부서를 설치하여 업무수행과정에서 민원을 병행하여 처리함으로써 발생하는 업무방해 요소를 해결해야 한다. 이와 함께 기존의 콜센터 운영을 극대화하기 위해 문제해결의 전문성을 갖춘 상담인력을 배치하고 업무와의 연관성을 고려해야 한다. 대면부서 직원들은 조직의 최일선에서 민원인들을 대상으로 업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민원인과 국민들에게는 조직을 대표하는 성격을 갖는다. 따라서 직원들이 민원인들을 배려하는 고객 지향적 태도를 보임으로써 민원인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 국민들의 의료 보험정책에 대한 불만이나 고민을 수렴하는 창구로 적극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도적인 차원에서 모색하여야 한다. 또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통합과정에서 훼손된 효능감을 향상시키고, 완벽주의의 부정적인 효과를 예방하기 위해 긍정적인 자아개념 향상에 도움을 주는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을 제안할 수 있다.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상호허용적인 분위기를 조성하여 동료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키고 인지유형에 초점을 맞추어 구조화되었기 때문에 완벽주의적인 사고를 수정하는 동기를 제공할 뿐 아니라, 긍정적인 자기 존중감 및 자기 효능감과 같은 긍정적인 자아개념 형성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타인과 상호교류 함으로서 관찰을 통해 학습을 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집단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를 제공하는데 효과적이다. 이외에도 직장인 지원 프로그램인(EAP: Employee Assistance Program)을 도입하여 조직적인 차원에서 개별 근로자들의 스트레스를 체계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이는 사회·정서적 문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여 근로자들의 심리적 부적응을 완화하고, 직무소진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제도이다. 또한 조직 차원에서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의 도입은 안정된 노사관계를 발전시켜 생산성에도 기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직의 이미지와 조직의 사회적 책임에도 효과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20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항공사종사자의 역할스트레스가 감정고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소장
2 A Study of Public Social Worker's Job Stress 소장
3 Counselors` Vicarious Trauma Experience from Working with Victims of Sexual Violence 소장
4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치안센터 민원담당관을 중심으로 소장
5 (1990). 우리나라 해외지사 주재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실증적 연구 : 독일지사 주재원들을 중심으로. 90년 춘계학술연구발표논문집」, 10: 5-18. 미소장
6 Relations among Self-Efficacy, Self-Esteem and Burnout of Employee in Food Service Industry 소장
7 (2002). 일선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유발요인. 「행정논총」, 40(1): 123-147. 미소장
8 公務員의 伏地不動과 職務沒入度 네이버 미소장
9 Sources and management of Psychological Burnout for Police officers 소장
10 (1999). 신뢰와 정부개혁 : 고용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하계 학술대회 발표논문, .25-41. 미소장
11 IMF시대 한국 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식 및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 :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소장
12 (2000〉. 한국인 우울중상표현의 횡문화적 차이 : CES - D의 요인구조분석. 「정신벙리학 , 9(1): 78-87. 미소장
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wo-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소장
14 Effects of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nd Vicarious Trauma on Burnout among Counselors Working with Sex-Workers 소장
15 (1999). 조직신뢰도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r 한국행정학보」, 8(3):121-144. 미소장
16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Local Governments - Focused on Civil Servants` Recognition on the Job Stressors - 소장
17 (2007X 직무자원으로서의 신뢰(Trust) 의 효과 : 사무관리직 노농자들을 대상으로. 「산업노동연구j , 13(1):53-81. 미소장
18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Job Demand, Job Burnout and Worker`s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소장
19 A Study on the Effect of Stress on the Turnover of Police 소장
20 (2005). 기능직/역기능직 완벽주의와 정서의 매개변인.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410~411. 미소장
21 Job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Behavior - Factors Affecting Job Commitment and Burnou - 소장
22 Effects of job stress, perfectionism and positive cognition on psychological symptoms in work place 네이버 미소장
23 Negative effect of group-efficacy on group performance 소장
24 academic achievement of Korean students: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소장
25 Study on the Potential Productivity of Female Public Servants in Korea 네이버 미소장
26 일선 공무원의 역할스트레스가 이직충동에 미친 영향에 대한 경로분석모형 검증 : 남녀간 차이를 중심으로 소장
27 Re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네이버 미소장
28 The Maslach Bunout Inventory-General Survey (MBI-GS): An Application In South Korea 소장
29 세무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이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국세청과 지방자치단체 세무공무원간의 비교를 중심으로 소장
30 일반계 여고생의 완벽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시험불안의 관계모형 검증 소장
31 (2001).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j , 35(4):355-373. 미소장
32 경찰조직에서 리더십 유형과 객관적 조직 성과간의 관계: 집단효능감의 매개역할 소장
33 정서노동 및 사회적 지지가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소장
34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Rewards on Employee`s Burnout among Flight Attendants 소장
35 완벽주의 질문지(PQ)에서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 구분의 타당성 연구 소장
36 Moderating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Job Demand and Burn-out: Focused on Tourism Employees 소장
37 변혁적/거래적 리더십이 집단자아존중감과 무사안일행태에 미치는 영향 네이버 미소장
38 The Mediating Role of Collective Efficacy on the Effects of Leadership Styl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Comparisons between Korean and New Zealand Local Government Leaders 소장
39 사회적 지원의 직무스트레스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교육공무원들의 심리적 탈진을 중심으로 네이버 미소장
40 attribution of success/failure experience in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perfectionists 소장
41 A Study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y the Perceptional Job Stress 네이버 미소장
42 완벽성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소장
43 韓國公務員의 組織沒入度 決定要因에 관한 硏究;線型構造模型의 적용 소장
44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원인에 대한 비교분석 소장
45 (1997). 지방공무원 직무스트레스의 원인분석. 「한국행정학회, 97년 동계학술대회 논문집 j , 415-432. 미소장
46 (1996).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심리연구, , 34:19-31. 미소장
47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valuative Concerns and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소장
48 직무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직장인 지원 프로그램 (EAP) 소장
49 (2005). 직장내 직무 따돌림이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경영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발표 논문집j , 21-44. 미소장
50 Perfectionism Tendency, Social Support, and Burnout Among Counselors 소장
51 공무원 직무 스트레스의 유발요인 및 결과변수에 관한 연구 : 중앙부처 공무원을 대상으로 소장
52 근로자의 성향적 특성과 직무소진의 관계 소장
53 The Moderated Effects of Self-efficacy and Group-efficacy on the Hotel Employee`s Burnout Process 소장
54 Effect of depressice response styles on the relationship betwwen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네이버 미소장
55 The Effect of Self-Efficacy, Coping Style and Ego-Threat in the Relation between Procrastination Tendency and Psychological Distress 소장
56 組織構成員의 力量 提高를 위한 임파워먼트 過程에 관한 硏究 : 自己效能感을 中心으로 소장
57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과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의 구분 및 특성 연구 소장
58 완벽성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네이버 미소장
59 (1993). 「 다차원적 완벽성 개념, 측정 및 부적응과의 관련성 , ,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60 Occupational burnout and chronic work disability: An eight-year cohort study on pensioning among Finnish forest industry workers 네이버 미소장
61 Emotional Labor in Service Roles: The Influence of Identity 네이버 미소장
62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y Review, 84: 191-215. 미소장
63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네이버 미소장
64 Social cognitive theory of self-regulation 네이버 미소장
65 Perceived situational moder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ubjective role ambiguity and role strain. 네이버 미소장
66 JOB STRESS, EMPLOYEE HEALTH,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 FACET ANALYSIS, MODEL, AND LITERATURE REVIEW 네이버 미소장
67 Correlates of role indices. 네이버 미소장
68 (1980).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ogy Today, Nov: 34-52. 미소장
69 (2000). Perfectionism as a Predictor of Subsequent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 129-137. 미소장
70 How Adaptive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Relate to Positive and Negative Psychological Functioning: Testing a Stress-Mediation Model in Black and White Female College Students 네이버 미소장
71 The role of different levels of leadership in predicting self- and collective efficacy: evidence for discontinuity. 네이버 미소장
72 Human Performance i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Effects of Exposure Duration, User Control, and Scene Complexity 네이버 미소장
73 Organizational Climate and Job Satisfaction in the Salesforce 네이버 미소장
74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네이버 미소장
75 (1993). A Review of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Academy of Managem ent Review, 18* 621-56. 미소장
76 (2001). The Job-Demand-Resources Model of Burnou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6(3): 499-512. 미소장
77 Self-Critical Perfectionism, Coping, Hassles, and Current Distres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네이버 미소장
78 The Relation Between Perfectionism and Distress: Hassles, Coping,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s Mediators and Moderators 네이버 미소장
79 Self-critical perfectionism and daily affect: dispositional and situational influences on stress and coping. 네이버 미소장
80 Pygmalion, Goal Setting, and Expectancy: Compatible Ways to Boost Productivity 네이버 미소장
81 Burnout and self‐efficacy: A study on teachers' beliefs when implementing an innovative educational system in the Netherlands 네이버 미소장
82 The Perils of Perfectionism in Sports and Exercise 네이버 미소장
83 Perfectionism and learned resourcefulness in depression and self-esteem 네이버 미소장
84 Antecedents and Consequences of Burnout in Accounting: Beyond the Role Stress Model 네이버 미소장
85 (1974). Staff Bumout Syndrome. Journal of Social Issues, 30(1):159-165. 미소장
86 (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n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 449-468. 미소장
87 Perfectionism and Reactions to Athletic Competition 네이버 미소장
88 Reactions to Mistakes Among Subjects High and Low in Perfectionistic Concern over Mistakes 네이버 미소장
89 A comparison of two measures of perfectionism 네이버 미소장
90 (1995). Perfectionism, Hour, and opimism as moderators of health outcomes and determinant of coping styles of women executives. Genetic, Social & General Psychology Monoffraphs, 121(2):213-246. 미소장
91 Activation theory and task design: an empirical test of several new predictions. 네이버 미소장
92 Do They Do What They Believe They Can? Group Efficacy and Group Effectiveness across Tasks and Cultures 네이버 미소장
93 The Efficacy Advantage: Factor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Group Efficacy 네이버 미소장
94 Self-Efficacy: A Theoretical Analysis of Its Determinants and Malleability 네이버 미소장
95 (1986). Burnout and Locus of Control Public Personnel Management. Washington, 15(1): 79-83 미소장
96 Collective Efficacy: A Neglected Construct in the Study of Schools and Student Achievement. 네이버 미소장
97 Collective Efficacy Beliefs: Theoretical Developments, Empirical Evidence, and Future Directions 네이버 미소장
98 Estimates of Burnout in Public Agencies: Worldwide, How Many Employees Have Which Degrees of Burnout, and with What Consequences? 네이버 미소장
99 Burnout in Competitive Junior Tennis Players: I. A Quantita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네이버 미소장
100 HOSPITAL RESTRUCTURING AND BURNOUT 네이버 미소장
101 (1993). Potency in Groups:Articulating a Construct Britis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2:472-485. 미소장
102 (1999). Perfectionism and Its Influence on Social Physique Anxiety.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21: 53. 미소장
103 (1978). Psychodynamics of Normal and Neurotic Perfectionism Psychology, 15: 27-33. 미소장
104 Perfectionism, stress, and vulnerability to depression 네이버 미소장
105 Perfectionism in the self and social contexts: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네이버 미소장
106 Dimensions of perfectionism in unipolar depression. 네이버 미소장
107 Dimensions of perfectionism, daily stress, and depression: a test of the specific vulnerability hypothesis. 네이버 미소장
108 (1993).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Longitudinal Assessment of a Specific Vulnerability Hypothesi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5: 276-280. 미소장
109 Perfectionism and burnout in junior elite soccer players: The mediating influence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네이버 미소장
110 Conservation of resources. A new attempt at conceptualizing stress. 네이버 미소장
111 (2006);. Explaining Pro-Environmental Behavior with a Cognitive Theory of Stress.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6: 1 - 14. 미소장
112 (2003). Does Job Standardization Increase Job Bumout? International Journal of Manpower', 24(5): 590-614. 미소장
113 Efficacy beliefs as a moderator of the impact of work-related stressors: a multilevel study. 네이버 미소장
114 Efficacy Beliefs and Work Stress: An Exploratory Study 네이버 미소장
115 Perfectionism: Scale Development and a Study of Perfectionistic Clients in Counseling. 네이버 미소장
116 Job Demands, Job Decision Latitude, and Mental Strain: Implications for Job Redesign 네이버 미소장
117 A Longitudinal Study of Burnout among Supervisors and Managers: Comparisons between the Leiter and Maslach (1988) and Golembiewski et al. (1986) Models 네이버 미소장
118 A meta-analytic examination of the correlates of the three dimensions of job burnout. 네이버 미소장
119 Effect of self-efficacy, goals, and task strategies on task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120 Subject-specific components of academic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네이버 미소장
121 Job burnout. 네이버 미소장
122 Vicarious traumatization: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working with victims 네이버 미소장
123 The how, what and why of stress management training. 네이버 미소장
124 (1988). A Professional Decision Marking : an Analogue Stud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ist, 35: 345-351. 미소장
125 Career mothers and perfectionism: stress at work and at home 네이버 미소장
126 Diathesis-stress theories in the context of life stress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depressive disorders. 네이버 미소장
127 A model of financial securities salespersons’ job stress 네이버 미소장
128 Reflections on perfection. 네이버 미소장
129 Organizational determinants of job stress 네이버 미소장
130 When to fix it and when to leave: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control, self-efficacy, dissent, and exit. 네이버 미소장
131 (2002). Are Work Stress relationships universal? A nine-region examination of role stressors, general self-efficacy, and bumout. Journal of Intemation Management 8* 163-187 미소장
132 A Motivational Investigation of Group Effectiveness Using Social-Cognitive Theory 네이버 미소장
133 The impact of perceived group success-failure on motivational beliefs and attitudes: a causal model. 네이버 미소장
134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s 네이버 미소장
135 Impaired cognitive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burnout syndrome 네이버 미소장
136 (2004). Job demand.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ilt-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5* 293-315. 미소장
137 (1988). The Burn out Companion to Study and Practice: A Critical analysis. Tayor & Francis. Schmitz, N., Neumann, W., & Oppermann, R. (2000). Stress, Burnout and Locus of Control in German N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37(2):95-99. 미소장
138 Definition and conceptualization of stress in organizations 네이버 미소장
139 Effect of Self- and Group Efficacy on Group Performance in a Mixed-Motive Situation 네이버 미소장
140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네이버 미소장
141 Construct Validation of the Self-Efficacy Scale 네이버 미소장
14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네이버 미소장
143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Boundary Spanning Burnout for Customer Service Representatives 네이버 미소장
144 Dimensions of Teacher Self-Efficacy and Relations with Strain Factors, Perceived Collective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Burnout 네이버 미소장
145 (2001). The Revised Perfect Scale. Measurement and Evaluation Counseling and Development, 34: 130-145. 미소장
146 Self-Efficacy and Work-Related Performance: A Meta-Analysis 네이버 미소장
147 (2008). Perfectionism, Self-Efficacy, and Aspiration Level: Differential Effects of Perfectionistic Striving and Self-criticism after Success and Failur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5: 323-327. 미소장
148 (2008). Facets of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Feelings of Pride, Shame, and Guilt Following Success and Failur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4:1506-1516. 미소장
149 Perfectionism and performance in a new basketball training task: Does striving for perfection enhance or undermine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150 Some issues associated with the use of moderated regression 네이버 미소장
151 Clarifying some controversial issues surrounding statistical procedures for detecting moderator variables: Empirical evidence and related matters. 네이버 미소장
152 Collective efficacy and vigilant problem solving in group decision making: A non-linear model 네이버 미소장
153 Role Stressors, burnout, mediators, and job satisfaction: A stress-strain-outcome model and an empirical test 네이버 미소장
154 Role Conflict and Role Ambiguity: Integration of the Literature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155 Job Insecurity and Crossover of Burnout in Married Couples 네이버 미소장
156 Impact of conceptions of ability on self-regulatory mechanisms and complex decision making. 네이버 미소장
157 Theories of job stress and the role of traditional values: a longitudinal study in China. 네이버 미소장
158 Beyond Self-Efficacy: Interactive Effects Of Role Conflict And Perceived Collective Efficacy 네이버 미소장
159 Perfectionism, academic burnout and engagement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네이버 미소장
160 (1988). The Cognitive Diathesis-stress Theories of depression- Tow ard an adequate evaluation of the Theories valid ities. In L. B. Alloy(ED.). 미소장
161 (1991). Multiple Regression: Testing and Interpreting Interaction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미소장
162 (2001). A Study of Burnout of Counselors in College Counseling Centers. Doctoral Dissertation.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미소장
163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미소장
164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ew York: Freedom and Company. 미소장
165 A Longitudinal Study of Psychological Burnout in Teachers 네이버 미소장
166 (1981). Understanding Bum out:Integration Individ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Within an Ecological Fram ework. Proceeding of the tirst National Conference on Bum out. Philadelphia. 미소장
167 (2008). Gender, Tenure Status, Teacher efficacy, Perfectionism and Teacher Bumout. Unpblished dissertation. Fordham University. 미소장
168 (1980). Professional Bum out in Human Service Organization. New York: Preager Publishers. 미소장
169 (1983). A pplied Multiple Regression: Correlational A 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미소장
170 (2003). A pplied Multiple Regression 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3rd ed). Hillsdale, NJ:Erlbaum. 미소장
171 (1980). Burnout' Stages of Disillusionment in the Helping Professions. Human Sciences Press, New York. 미소장
172 (2001). A Study of Burnout of Counselors in College Counseling Centers. Doctoral Dissertation The State University of New Jersey. 미소장
173 (1973). Organisation Stress Individual Stain, the Failure of Stress. New York- Amacom 미소장
174 (1980). Adjustment as Person-Environment Fit. IN G. V. Coelhg Hamburg, J. F. Adams (eds), Coping and Adaptation- Interdiciplinaty Perception, New York* Basic Books. 미소장
175 (1982). Orgnization •• Behavior, Structure, Process, Business Publicatioa 미소장
176 (1971). Job Pressures and Research Performance. American Science, 59: 64-73. 미소장
177 (1978). Person-Environment Fit and Job Stress. In C L Cooper and R. Payne(ed). Stress At Work. New York: Wiley. 미소장
178 (1993). Social Resources and Social Context. In L. Goldberger & S. Breznitz(ed.), Handbook of Stress: Theoretical and clinical aspects. New York- Free Press, 2 • 685-705. 미소장
179 (1987). Controlling Work Stress Effective Human Resource and Management Strategies. San Francisco, Ca : Jossy-Buss. 미소장
180 (1964). Organisational Stress- Studies in Role Conflict and Ambiguity, NY:Wiley. 미소장
181 (1978).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f2nd eds.). New York • Jlion Wiley & Sons. 미소장
182 (1992). Stress in Organizations. In M. D. Dunnette & L. M. Hough (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미소장
183 (1978).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ations, (2nd ed). New York : John Wiley & Sons. 미소장
184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미소장
185 Stress and burnout among Fren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 transactional approach 네이버 미소장
186 Consistency of the burnout construct across occupations 네이버 미소장
187 Work Motivation and Satisfaction: Light at the End of the Tunnel 네이버 미소장
188 (1985). Organizational Behavior, McGraw. Hill Book Company. 미소장
189 (1982). Burnout •• The Cost of Caring,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미소장
190 (1996). Maslach Bumout Inventory Manual, (3rd ed ), Palo Alto, CA: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미소장
191 Recent developments in tsunami research 네이버 미소장
192 (1996). Maslach Burn out Inventory Manual, (3r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미소장
193 (1978). Stress and in Organization. In M. D. Dunnette(eds.).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sation Psychoogy, Rand Mcnally College Pub. Co. 미소장
194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 New York: McGraw-Hill Book Company. 미소장
195 (1998). Career Burn out: Causes And Cures. New York: Free Press. 미소장
196 (1995).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Perpectionism* Construct Validity of a New Instrument Paper Presented at the 1st Annual World Congress of Behavioral Cognitive Therapy, Copenhagen, July 1995. 미소장
197 (1984). Organizational Stress and Coping : A Model and Overview, in A S. Sethi & R. S. S chler (eds), Handbook of Organizational Stress Coping Strategies. 미소장
198 (1976). The Stress of Life. New York : McGraw Hill. 미소장
199 (2003). Self-Concept and Self-Efficacy Revisited: A Few Notable Differences and Im portant Similarities. In HAV. 미소장
200 (1992). The Alm ost Perfect Scale . Unpublished Manuscript The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