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선행 연구 검토 및 문제 제기 14

2.1. 선행 연구 검토 14

2.2. 문제 제기 16

II. 이론적 배경 19

1. 읽기에 관한 이론 19

1.1. 읽기 개념 및 특징 19

1.2. 읽기 능력 20

1.3. 읽기 전략 21

2. 텍스트에 관한 이론 37

2.1. 텍스트 개념 및 특징 37

2.2. 텍스트 유형 38

III. 한국어 교재 읽기 텍스트 유형 분석 51

1. 분석 교재 51

2. 교재 별 읽기 텍스트 유형 분석 및 결과 51

IV. 읽기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읽기 전략 활용의 실제 76

1. 읽기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읽기 전략 76

1.1. 읽기 단계별 읽기 전략 76

1.2. 텍스트 유형별 읽기 전략 77

2.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읽기 수업에서의 전략 활용의 실제 82

2.1. 제보적 텍스트의 읽기 수업 지도안 83

2.2. 설득적 텍스트의 읽기 수업 지도안 87

2.3. 표현적 텍스트의 읽기 수업 지도안 91

2.4. 문학적 텍스트의 읽기 수업 지도안 95

2.5. 친교적 텍스트의 읽기 수업 지도안 100

V. 결론 및 제언 105

참고문헌 107

표목차

〈표 II-1〉 Oxford(1990) 의 읽기 전략 23

〈표 II-2〉 박수자(2003) 의 단계별 읽기 전략 28

〈표 II-3〉 서영미(2004) 의 영어 읽기에 쓰이는 전략 30

〈표 II-4〉 최연희·전은실(2006) 의 단계별 읽기 전략 32

〈표 II-5〉 Grosse(1976) 의 텍스트 유형 분류 39

〈표 II-6〉 Brinker(1994) 의 텍스트 유형 분류 40

〈표 II-7〉 강범모 외(1998) 의 텍스트 유형 분류 42

〈표 II-8〉 이도영(1998) 의 텍스트 유형 분류 43

〈표 II-9〉 송금숙(2002) 의 텍스트 유형 분류 44

〈표 II-10〉 이정민(2008) 의 텍스트 유형 분류 45

〈표 II-11〉 언어의 기능에 따른 텍스트의 기능 및 유형 분류 49

〈표 II-12〉 텍스트 유형 분류 49

〈표 III-1〉 『배재한국어 1』 텍스트 유형 분석 52

〈표 III-2〉 『배재한국어 2』 텍스트 유형 분석 52

〈표 III-3〉 『배재한국어 3』 텍스트 유형 분석 53

〈표 III-4〉 『배재한국어 4』 텍스트 유형 분석 54

〈표 III-5〉 『말이 트이는 한국어 1』 텍스트 유형 분석 55

〈표 III-6〉 『말이 트이는 한국어 2』 텍스트 유형 분석 56

〈표 III-7〉 『말이 트이는 한국어 3』 텍스트 유형 분석 56

〈표 III-8〉 『말이 트이는 한국어 4』 텍스트 유형 분석 57

〈표 III-9〉 『한국어 초급I』 텍스트 유형 분석 57

〈표 III-10〉 『한국어 초급II』 텍스트 유형 분석 58

〈표 III-11〉 『한국어 중급I』 텍스트 유형 분석 59

〈표 III-12〉 『한국어 중급II』 텍스트 유형 분석 60

〈표 III-13〉 『서강 New 한국어 1A』 텍스트 유형 분석 60

〈표 III-14〉 『서강 New 한국어 1B』 텍스트 유형 분석 61

〈표 III-15〉 『서강 New 한국어 2A』 텍스트 유형 분석 61

〈표 III-16〉 『서강 New 한국어 2B』 텍스트 유형 분석 61

〈표 III-17〉 『서강 New 한국어 3A』 텍스트 유형 분석 62

〈표 III-18〉 『서강 New 한국어 3B』 텍스트 유형 분석 62

〈표 III-19〉 『서강 New 한국어 4A』 텍스트 유형 분석 62

〈표 III-20〉 『서강 New 한국어 4B』 텍스트 유형 분석 63

〈표 III-21〉 『한국어 읽기 1』 텍스트 유형 분석 64

〈표 III-22〉 『한국어 읽기 2』 텍스트 유형 분석 65

〈표 III-23〉 『한국어 읽기 3』 텍스트 유형 분석 67

〈표 III-24〉 『한국어 읽기 4』 텍스트 유형 분석 68

〈표 III-25〉 『배재한국어』 텍스트 유형 분석 결과 69

〈표 III-26〉 『말이 트이는 한국어』 텍스트 유형 분석 결과 70

〈표 III-27〉 『한국어』 텍스트 유형 분석 결과 71

〈표 III-28〉 『서강 New 한국어』 텍스트 유형 분석 결과 72

〈표 III-29〉 『한국어 읽기』 텍스트 유형 분석 결과 74

〈표 III-30〉 5개 교육기관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 유형 75

〈표 IV-1〉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읽기 단계별 강화 전략77) 76

〈표 IV-2〉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읽기 단계별 읽기 전략78) 79

〈표 IV-3〉 제보적 텍스트의 ‘소개 글’ 수업 지도안 83

〈표 IV-4〉 설득적 텍스트의 ‘광고 글’ 수업 지도안 87

〈표 IV-5〉 표현적 텍스트의 ‘경험 글’ 수업 지도안 91

〈표 IV-6〉 문학적 텍스트의 ‘고전’ 수업 지도안 95

〈표 IV-7〉 친교적 텍스트의 ‘편지 글’ 수업 지도안 101

그림목차

〈그림 III-1〉 『배재한국어』 텍스트 유형 분석 결과 70

〈그림 III-2〉 『말이 트이는 한국어』 텍스트 유형 분석 결과 71

〈그림 III-3〉 『한국어』 텍스트 유형 분석 결과 72

〈그림 III-4〉 『서강 New 한국어』 텍스트 유형 분석 결과 73

〈그림 III-5〉 『한국어 읽기』 텍스트 유형 분석 결과 74

초록보기

읽기는 학습자가 자신들이 원하는 정보나 지식을 얻기 위해 스스로 학습하여 자신들의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다른 기능들과의 연계를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언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기능이다.

효율적인 읽기란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여 주어진 텍스트 내용을 빠르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텍스트 유형에 따른 적절한 읽기 전략을 제시하여 학습자들의 효율적인 읽기 능력 배양을 돕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I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해 서술하고, 읽기 텍스트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대부분이 교재 분석, 교재 개작, 읽기 전략의 효율성, 단계별 읽기 교육 등에 치중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한국어 학습자들의 읽기 능력 향상을 돕기 위해서는 다양한 텍스트 유형에 따라 전략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전략 교육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출판된 교재 중 대학 교육기관 중심 한국어 교재의 읽기 텍스트를 분석해 텍스트 유형을 분류하고, 텍스트 유형에 따른 읽기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II장에서는 읽기의 개념 및 특징과 읽기 능력, 읽기 전략에 관한 이론과 텍스트의 개념 및 특징, 텍스트 유형에 관한 기존 연구들을 살펴보고 한국어 읽기 텍스트 유형, 기능, 특징, 종류별로 분류하였다.

III장에서는 5개 한국어 교육기관 교재들의 읽기 텍스트를 분석한 결과, 제보적 텍스트가 다른 유형의 텍스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이 제공되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텍스트 관련 활동들로 획일화된 읽기 전략들이 사용되었음을 밝혔다.

IV장에서는 텍스트 유형별 읽기 전략을 읽기 단계별로 분류하여 제안하고, 유형별 텍스트를 1개씩 선정하여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V장에서는 논의의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면서 본 연구의 의의를 밝히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으로 마무리하였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읽기를 잘 하기 위해서는 텍스트 안에서 자신이 원하는 정보 및 지식을 효율적으로 습득할 수 있는 기술, 즉 전략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습자들이 교재나 교재 밖에서 다양한 읽기 텍스트를 접했을 때에도 비슷한 유형의 텍스트에서 학습하였던 읽기 전략을 바탕으로 효과적인 읽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