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국문요약
목차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2. 연구 문제 15
3. 용어의 정의 15
1) 자폐스펙트럼장애 15
2) 형제자매참여 16
3) 지역사회중심교수 16
4) 물건사기 기술 17
II. 이론적 배경 18
1.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 18
1) 사회적 상호작용의 질적 결함 18
2) 일반화의 어려움 20
2. 지역사회중심교수 22
1) 지역사회 중심교수(Community-based instruction)의 개념 및 특성 22
2) 교실 중심 교수(Class-based instruction)의 개념 및 특성 25
3)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을 위한 지역사회중심교수의 의미 28
3. 형제자매 지원 효과 31
III. 연구방법 35
1. 연구대상 35
1) 대상아동 선정 및 기준 35
2) 대상아동 특성 36
3) 장애아동 형제자매의 선정 및 기준 38
4) 장애아동의 형제자매 특성 39
2. 연구 설계 40
3. 연구 도구 41
1) 사회성숙도 검사 41
2)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ARS: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41
3) 개정판 자폐증 진단 면담지(ADI-R: Autism Diagnositc Interview-Revised) 41
4) KEDI-WISC III 지능검사 42
4. 연구 절차 43
1) 실험 기간 43
2) 실험장소 43
3) 실험절차 44
5. 자료수집 및 측정 53
1) 목표행동의 조작적 정의 53
2) 과제수행율 55
3) 시각적 분석 55
4) 일화기록 분석 56
6. 관찰자간 신뢰도 57
7. 중재 충실도 58
8. 사회적 타당도 59
IV. 연구결과 60
1. 물건사기 기술 수행율 증가에 미치는 효과 60
1) 대상아동 1 64
2) 대상아동2 65
3) 대상아동 3 67
2. 물건사기 기술 일반화에 미치는 효과 69
3. 물건사기 기술 유지에 미치는 효과 70
V. 논의 및 결론 71
참고문헌 81
부록 10
〈부록1〉 과제분석 활동의 내용에 따른 정반응, 오반응의 조작적 정의 87
〈부록2〉 단계별 물건사기 중재전략 89
〈부록3〉 관찰기록표 91
〈부록4〉 중재 충실도 체크리스트 92
〈부록5〉 사회적 타당도 체크리스트 93
〈부록6〉 학부모 설문지 94
〈부록7〉 회기별 대상아동들의 물건사기 기술 과제 수행율 95
〈부록8〉 슈퍼마켓에서 물건사기 과제분석 사진자료의 주요화면 96
〈그림1〉 대상아동별 물건사기 기술 과제 수행율 62
장애인들이 지역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독립적으로 기능을 수행하고 참여하도록 하는 것은 특수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그러나 자페스펙트럼장애 아동은 의사소통과 사회적 상호작용에 질적 결함과 일반화의 어려움으로 인해 교실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지역사회 환경에서 적절히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보인다. 기술의 일반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기술이 사용되는 실제 지역 사회 환경에서 직접적으로 기술을 교수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자연스럽고 친근한 형제자매를 중재 시에 참여시켜 그들의 행동을 이끌어주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형제자매를 지역사회중심교수에 참여시켜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물건사기 기술 수행율 증가에 미치는 효과와 그 효과가 다른 장소에서도 일반화되고 유지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10-13세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 3명이며, 실험설계로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를 사용하였다. 물건사기 기술은 17개의 과제분석단계로 이루어지며 중재는 교실 내에서 형제자매가 물건사기를 실시하는 각 단계를 파워포인트 사진 자료를 보며 연습하고, 실제 지역사회에서 형제자매와 장애아동이 함께 참여하여 기술을 익히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전 회기 중재 효과는 다음 회기 시작 전에 물건사기를 비디오로 녹화하여 관찰기록표에 측정, 기록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일반화에서는 중재 때와 다른 장소에서 물건사기를 3회기 실시하였다. 유지검사는 일반화 검사가 종료된 2주 후에 중재가 실시되었던 장소에서 4회기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제자매가 참여한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게 교수하였을 때, 물건사기 기술 수행율이 증가되었다.
둘째, 형제자매가 참여한 지역사회중심교수를 통해 습득된 물건사기 기술은 다른 상황에서도 일반화되었다.
셋째, 형제자매가 참여한 지역사회중심교수를 자폐스펙트럼 장애아동에게 교수하였을 때, 일반화 종료 2주 후에도 물건사기 기술이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형제자매가 참여한 지역사회중심교수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물건사기 기술의 수행율 증가, 일반화, 유지에 효과적이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형제자매를 활용한 지역 사회중심교수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독립적인 물건사기 기술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전략으로 제시될 수 있다.*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