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요약
목차
I. 서론 9
1. 연구의 필요성 9
2. 연구의 목적 12
3. 연구가설 12
4. 용어의 정의 13
1) 태극권 운동 13
2) 어깨관절 기능 13
3) 근력(악력) 14
4) 심혈관 기능(Heart bypass function) 14
5) NK Cell 14
6) T helper Cell 14
5. 연구의 제한점 15
II. 이론적 배경 16
1. 태극권 16
1) 태극권의 개념 16
2) 태극권의 특징 16
3) 생활체육으로서의 태극권의 장점 19
2. 태극권 운동 동작 21
1) 쾌속소통기혈(快速疏通氣血) 21
2) 루기통혈 24
3) 신룡전요(神龍纏腰) -접시돌리기 25
4) 청룡회수(靑龍回首) 26
5) 용유장요(龍遊壯腰) 27
6) 두기하침(頭氣下沈) 29
7) 흉기하침(胸氣下沈) 29
8) 박타건신공(拍打健身功) 30
3. 유방암 32
1) 유방암의 발생 요인 32
2) 유방암 수술 후 신체·심리적 기능 변화 34
3) 유방암 수술 후 운동의 효과 37
4. 운동과 면역 39
1) 운동과 초기 면역반응 39
2) 운동과 적응성 면역반응 42
III. 연구방법 44
1. 연구대상 44
1) 유방암 수술 후 암세포가 전이된 환자 44
2) 유방암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한 환자 44
2. 연구설계 44
3. 측정도구 45
4. 연구절차 46
5. 자료 분석방법 46
IV. 연구 결과 47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질병관련 특성 47
2. 연구 대상자의 사전 동질성 검증 49
1) 어깨관절 기능 결과의 동질성 검증 49
2) 심혈관 기능과 면역력 결과의 동질성 검증 50
3. 훈련군과 통제군의 태극권 운동처치 후 어깨관절 기능의 비교 51
1) 훈련군과 통제군의 운동 후 어깨관절 굴곡 가동범위 52
2) 훈련군과 통제군의 운동 후 어깨관절 신전 가동범위 52
3) 훈련군과은 통제군의 운동 후 어깨관절 내전은 가동범위 53
4) 훈련군과 통제군의 운동 후 어깨관절 외전 가동범위 54
5) 훈련군과 통제군의 운동 후 근력(악력) 54
4. 훈련군과 통제군의 태극권 운동처치 후 심혈관 기능의 비교 55
1) 훈련군과 통제군의 운동처치 후 심박동수 55
2) 훈련군과 통제군의 운동처치 후 순환저항 56
5. 훈련군과 통제군의 태극권 운동처치 후 면역력 변화의 비교 57
1) 훈련군과 통제군의 운동처치 후 NK Cell 58
2) 훈련군과 통제군의 운동처치 후 T helper Cell 58
3) 훈련군과 통제군의 운동 후 Cortisol 59
V. 논의 60
1. 태극권 운동이 유방암 수술환자에게 어깨관절기능에 미치는 효과 60
2. 태극권 운동이 유방암 수술환자의 심혈관 기능에 미치는 효과 61
3. 태극권 운동이 유방암 수술환자의 면역력에 미치는 효과 63
VI. 결론 및 제언 66
1. 결론 66
2. 제언 67
참고문헌 68
Abstract 79
감사의 글 81
Figure 1.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 flexion between trained and control group. 52
Figure 2. Comparisons of pre and post extension between two groups. 53
Figure 3. Comparisons of pre and post adduction between two groups. 53
Figure 4.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 abduction between trained and control group. 54
Figure 5.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 HR between trained and control group. 56
Figure 6.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 ECR between trained and control group. 56
Figure 7.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 NK Cell between trained and control group. 58
Figure 8.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 T Helper Cell between trained and control group. 59
Figure 9.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 cortisol between trained and control group. 59
본 연구는 태극권 운동이 유방암 수술 후 환자의 어깨관절 및 심혈관 기능과 면역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상자는 유방암 초기 1∼2 진단을 받고 유방암 수술 후 B광역시에 거주하는 환자 중에서 수술 2개월 이내 방사선치료 및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고 있는 40명을 대상으로 전문강사에 의해 태극권 운동을 하루 60분, 주 4회, 12주간 실시하였다. 실험 전·후 어깨관절·근력(악력) 기능, 순환저항을 측정하고 면역력 요인 NK Cell, T Helper Cell, Cortisol은 혈액검사를 하였다. 어깨관절 기능 및 근력(악력)을 분석한 결과 어깨관절 가동범위는 굴곡, 신전, 내전, 외전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하지만 근력(악력)은 통계적으로 증가하지 않았다(p=.591). 심혈관 기능은 분당 심박동수와 순환저항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면역력은 NK Cell, T Helper Cell, Cortisol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이상의 결과로 태극권 운동은 유방암 수술 후 환자들에게 어깨관절 가동범위와 심혈관질환을 예방하고 면역력을 향상시키므로 유방암 수술 후 환자들에게 권장할 만한 운동이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 없이 휴대폰번호를 입력하세요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