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20

1.1. 연구의 배경 20

1.2. 연구의 목적 및 의의 23

1.3.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6

1.4. 연구개념 설정과 진행체계 30

제2장. 미술관 전시공간의 이론 고찰 34

2.1. 미술관 전시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 35

2.1.1. 미술관의 의미와 전시기능 35

2.1.2. 전시공간계획의 구성요소와 특성 37

2.1.3. 전시공간에 대한 접근관점 논의 49

2.2. 전시공간에 대한 관람객 연구 고찰 54

2.2.1. 관람객의 심리평가 연구 54

2.2.2. 관람행태 연구 63

2.3. 연구 방법론의 제안 69

제3장. 미술관 전시공간의 평가구조 추출 74

3.1. 분석의 틀과 연구방법 74

3.1.1. 레파토리 그리드 발전수법의 개요 76

3.2. 미술관 전시공간의 평가구조 분석 78

3.2.1. 개인별 평가구조 모델 추출 78

3.2.2. 전시공간에 대한 선호도 분석 83

3.2.3. 전시공간에 대한 평가구조 추출 및 비교분석 88

3.3. 소결 94

제4장. 전시공간 관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요인 98

4.1. 조사대상 및 분석방법 개요 98

4.1.1. 조사대상관 선정 및 표집방법 98

4.1.2. 평가항목 설정 및 분석방법 103

4.2. 전시공간에 대한 관람 만족도 분석 108

4.2.1. 관람객의 일반적 특성 108

4.2.2. 관람객 특성별 만족도 분석 110

4.2.3. 평가항목을 통한 관람 만족도 분석 112

4.3. 관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요인 추출 및 분석 116

4.3.1. 평가항목의 축약을 통한 평가요인 추출 116

4.3.2. 평가요인과 관람 만족도 비교분석 118

4.4. 총괄적 평가지표 설정을 통한 평가요인 간 위계 120

4.4.1. 총괄적 평가지표 설정 및 검증 121

4.4.2. 평가요인 간 위계 규명 126

제5장. 전시공간 주요 평가요인에 대한 관람 만족도와 관람행태의 상관성 131

5.1. 분석대상 및 분석방법 131

5.1.1. 분석대상 선정 및 표집방법 132

5.1.2. 분석지표 설정 및 분석방법 135

5.2. 전시공간의 주요 평가요인에 대한 관람 만족도 139

5.2.1. 조사대상 전시공간의 전시개요 139

5.2.2. 주요 평가요인의 물리적 특성 비교분석 143

5.2.3. 주요 평가요인과 관람 만족도 간 상관관계 156

5.3. 관람 만족도와 관람행태의 상관관계 163

5.3.1. 관람 만족도와 관람행태의 상관성 분석 163

5.3.2. 관람유형의 분류와 유형간 특성비교 166

5.3.3. 주요 평가요인과 관람행태의 상관성 분석 169

5.4. 관람 만족도 및 행태 예측모형과 해석 179

5.5/4. 소결 183

제6장. 결론 188

참고문헌 194

부록 200

[1차 인터뷰] 201

[3차 설문조사] 205

[2차 설문조사 DATA] 206

[3차 설문조사 DATA] 210

표목차

[표 2-1] 전시공간의 형태에 따른 이미지 비교 40

[표 2-2] 전시공간의 형태에 따른 이미지 비교 48

[표 2-3] 공간의 기능에 따른 심리평가 연구 동향 비교 59

[표 3-1] 조사대상자 구성 75

[표 3-2] 자료 수집대상 미술관 개요 79

[표 3-3] 선정대상 엘리멘트 사진 80

[표 3-4] 비전공자 남녀의 평가항목 제시 개수 비교 83

[표 3-5] 전공자 남녀의 평가항목 제시 개수 비교 83

[표 3-6] 그룹별 선호 전시공간 환경 비교 86

[표 3-7] 그룹별 자발적 평가항목의 특성 비교 91

[표 4-1] 조사대상 미술관 개요 (2차 조사) 99

[표 4-2] 서울시립미술관 개요 99

[표 4-3] 경남도립미술관 개요 101

[표 4-4] 광주시립미술관 개요 102

[표 4-5] 전북도립미술관 개요 103

[표 4-6] 설문지에 포함된 평가항목 및 분류 106

[표 4-7] 설문지에 포함된 평가항목 순서 107

[표 4-8] 설문 표본집단의 분포 비교 108

[표 4-9] 관람시간대별 만족도 추이 111

[표 4-10] 평가항목 별 관람 만족도 비교 113

[표 4-11] 요인분석표 117

[표 4-12] 평가요인의 특성에 따른 분류 및 만족도 119

[표 4-13] 상관계수표 (1. 작품에 대한 집중도 기준) 125

[표 4-14] 중회귀분석 결과표 127

[표 4-15] 주요 평가요인의 위계 및 해당 평가항목의 상관관계 128

[표 5-1] 분석대상 미술관 개요 (3차 조사) 133

[표 5-2] 전시공간 주요 평가요인의 물리적 특성 136

[표 5-3] 관람객의 심리평가와 관람행태 분석지표 136

[표 5-4] 작품에 대한 집중도 관련 분석지표의 측정방법 136

[표 5-5] 서울시립미술관 전시개요 140

[표 5-6] 경남도립미술관 전시개요 141

[표 5-7] 광주시립미술관 전시개요 142

[표 5-8] 전북도립미술관 전시개요 143

[표 5-9] 서울시립미술관의 작품에 대한 주요 평가요인의 물리적 특성 144

[표 5-10] 서울시립미술관의 전시공간에 대한 주요 평가요인의 물리적 특성 145

[표 5-11] 경남도립미술관의 작품에 대한 주요 평가요인의 물리적 특성 146

[표 5-12] 경남도립미술관의 전시공간에 대한 주요 평가요인의 물리적 특성 147

[표 5-13] 광주시립미술관의 작품에 대한 주요 평가요인의 물리적 특성 148

[표 5-14] 광주시립미술관의 전시공간에 대한 주요 평가요인의 물리적 특성 149

[표 5-15] 전북도립미술관의 작품 및 전시공간에 대한 주요 평가요인의 물리적 특성 150

[표 5-16] 미술관 별 주요 평가요인 특성 비교 151

[표 5-17] 전시실 전개 순서에 따른 미술관별 주요 평가요인의 물리적 특성 변화 추이 비교 153

[표 5-18] 미술관 별 주요 환경평가요인 특성과 작품에 대한 집중도 비교 157

[표 5-19] 변수간의 상관계수 표 158

[표 5-20] 분석대상관별 작품에 대한 물리적 특성과 관람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 161

[표 5-21] 심리평가와 관람행태 분석지표 간의 상관계수 표 163

[표 5-22] 심리평가와 관람행태 분석지표 간의 요인분석표* 165

[표 5-23] 작품에 대한 집중도를 기준으로 한 관람유형 분류 166

[표 5-24] 관람의 질적 만족도를 기준으로 한 관람유형 분류 168

[표 5-25] 분석 대상관 및 관람유형 별 분석지표의 차이율 비교 169

[표 5-26] 미술관별 작품과 전시공간에 물리적 특성과 관람행태분석지표의 비교 176

[표 5-27] 작품과 전시공간의 특성 및 전개추이와 질적 관람 만족도의 상관관계 179

그림목차

[그림 1-1] 박물관 성격에 따른 관람경험 특성 비교 22

[그림 1-2] 연구 개념 설정 30

[그림 1-3] 연구방법의 구성과 진행 체계-1 31

[그림 1-4] 연구방법의 구성과 진행 체계-2 32

[그림 2-1] 박물관 전시 및 유형의 분류 (미술관 전시 기준) 37

[그림 2-2] 미술관 유형분류의 기준 비교 38

[그림 2-4] 입체전시물을 위한 조명연출 사례 42

[그림 2-5] 광역적 관람동선체계의 사례 44

[그림 2-6] 건축계획상 광역적 동선과 전시물의 속성에 따른 45

[그림 2-7] 평면적인 전시물 관람동선 45

[그림 2-8] 입체적인 전시물 관람동선 45

[그림 2-9] 천창과 측창이 모두 사용된 사례 46

[그림 2-10] 자연채광과 인공조명이 조합된 사례 46

[그림 2-11] 회전 루버를 이용한 자동 47

[그림 2-12] 미술관 전시공간계획 구성요소 49

[그림 2-13] 미술관 전시공간에 대한 접근관점 비교 53

[그림 2-14] 국내외 관람객 심리평가 관련 주요 선행연구 동향 63

[그림 2-15] 국내외 관람객 관람행태 관련 주요 선행연구 동향 68

[그림 2-16] 미술관 전시공간의 연구방법 및 전개방향 72

[그림 3-1] 분석방법 및 절차 76

[그림 3-2] 엘리멘트의 편성방법에 따른 평가항목 추출 개념도 77

[그림 3-3] 개인평가구조의 일례 77

[그림 3-4] 개인적 평가구조 사례-1. (비전공자 No. 2) 84

[그림 3-5] 개인적 평가구조 사례-2. (전공자 No. 9) 84

[그림 3-6] 그룹별 선호도 85

[그림 3-7] 18c 근세미술 작품전시실로 해당시기의 실내색채 및 의장양식을 채용한 사례 87

[그림 3-8] 19c 근대미술 작품전시실로 해당시기의 실내색체를 모던하게 채용한 사례 87

[그림 3-9] 비전공자 그룹의 정성적 평가구조모델 89

[그림 3-10] 전공자 그룹의 정성적 평가구조모델 90

[그림 4-2] 조사대상 미술관의 전시공간의 유형 개요 (2차 조사) 99

[그림 4-3] 평가항목의 설정 근거 및 절차 개념도 105

[그림 4-4] 분석방법 및 절차 개념도 106

[그림 4-5] 성별 관람객 분포 109

[그림 4-6] 연령대별 관람객 분포 109

[그림 4-7] 학력별 관람객 분포 109

[그림 4-8] 관람횟수별 관람객 분포 109

[그림 4-9] 성별 관람 만족도 111

[그림 4-10] 연령대별 관람 만족도 111

[그림 4-11] 학력별 관람 만족도 111

[그림 4-12] 관람횟수별 관람 만족도 111

[그림 4-13] 관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항목 선택 비율 비교 121

[그림 4-14] 미술관별 평가항목 선택 비율 비교 122

[그림 4-15] 성별 평가항목 선택 비율 비교 122

[그림 4-16] 연령대별 평가항목 선택 비율 비교 123

[그림 4-17] 학력별 평가항목 선택 비율 비교 123

[그림 4-18] 관람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평가항목 선택 비율 비교 123

[그림 5-1] 관람경험에 대한 시각적 메카니즘의 규명 개념도 132

[그림 5-2] 분석대상 미술관의 전시공간 면적 비교 133

[그림 5-3] 서울시립미술관 전시실 내부 전경 156

[그림 5-4] 광주시립미술관 전시실 내부 전경 156

[그림 5-5] 경남도립미술관 전시실 내부 전경 156

[그림 5-6] 전북도립미술관 전시실 내부 전경 156

[그림 5-7] 주요 평가요인의 물리적 특성 및 추이와 작품에 대한 집중도 비교 162

[그림 5-8] 미술관별 작품관람 동선궤적 비교 171

[그림 5-9] 관별 전시실의 유인력 추이 비교 174

[그림 5-10] 관별 전시실의 유지력 추이 비교 174

[그림 5-11] 주요 환경평가요인의 물리적 특성과 관람행태 분석지표 비교 178

[그림 5-12] 관람 만족도 및 행태 예측모형 182

초록보기

일반적으로 다른 시설과 달리 미술관(Art museum)에서 관람객의 전형적인 경험은 정적인 전시공간에 ‘고정’되어 있는 작품 속을 관람객들이 자유롭게 ‘이동’하는 과정에서 직접적이고 연속적인 시각적 접촉을 통해 감상하게 된다는 논리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시지각적 경험이 담기는 미술관 전시공간의 경우 타 박물관에 비해 예술작품이 발현하는 심미적 메시지를 전달받고자 하는 감상목적이 강하게 반영 되는 곳으로, 방문한 관람객 대부분은 회화작품(평면적인 전시물)을 볼 수 있다는 시지각 차원의 기대를 가장 크게 가지고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작품의 배경이 되는 미술관의 전시공간은 예술작품에 대한 시각차원의 강한 기대 욕구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도록 극도로 단순화시키거나 간결화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시공간과의 시각적인 커뮤니케이션은 직접적으로 관람객의 심리와 행태에 반영되어 타 박물관과 차별화된 고유한 관람패턴을 생성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미술관 전시공간에 관한 연구의 경우, 관람객의 심리적 평가를 통해 예술작품이 발휘하는 메시지를 관람자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시키기 위한 특정 전시공간 평가구조를 파악하는 동시에, 이 같은 구조가 관람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규명하는 단계적이고도 상호보완적인 관점에서 접근이 이루질 때 그 가치와 다탕성이 진정으로 평가 될 수 있다고 하겠다.

이 같은 인식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우선적으로 미술관 전시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전시공간을 구성하는 계획 요소들의 특성을 파악하는 동시에 다양한 접근논의 및 연구방법을 고찰하여 바람직한 연구방법을 모색하였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바탕으로 관람객과의 단계적이고도 체계적인 대화를 시도하는 한편, 이를 통해 분석된 내용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미술관 전시공간계획에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개선방향과 구체적인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진행되었던 분석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통상 미술관으로 호칭되는 시설유형은 다양한 관련분야 이론과 선행연구들을 통해 일반적으로 박물관 전시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심미적(aesthetic) 작품 감상을 위해 전용(專用)되는 전시공간의 성격과 기능에 대한 차별적이고 독립적인 이해가 관람객의 관점에서 선행될 필요가 있음을 공통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 같은 인식은 박물관과 미술관이 일반 공중의 문화 교육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사회적 문화시설로서의 공통점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 시설이 관람객에게 주로 보여주고자 하는 전시물의 성격과 이를 담아내는 공간의 성격에 원칙적으로 차이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미술관 전시공간계획에 대한 연구는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우선적으로 전시물과 전시공간 계획요소에 대한 분석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는 동시에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도 타당한 분석지표를 설정(관람객은 물론 관련분야 문헌 및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설정)하는 것이 요구된다. 다음으로 분석지표를 기준으로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고 이를 관람객의 심리 및 행태와 비교 분석하여 상관관계를 체계적이고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이러한 연구방법은 관람객 관점에서만이 아니라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과 관련 전문가들의 견해를 조율하여 균형을 이루는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관람객의 심리가 반영된 정보는 미술관 전시공간계획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기준을 제시한다. 이에 관람객을 대상으로 미술관에 대한 선호도(레파토리 그리드 발전수법)와 만족도(현장 설문조사)를 분석하는 심리평가를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고유의 평가구조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전시공간에 대한 선호도 분석결과

비전공자 그룹(일반 관람객)과 전공자 그룹(전시공간 구축자)으로 구분하여 선호하는 전시공간에 대한 평가구조를 비교분석한 결과, 비전공자 그룹은 작품에 집중할 수 있는「전시연출」에 평가의 주안점을 두고 있는 반면, 전공자 그룹은「공간의 분위기 연출」에 평가의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시각 차이는 전시공간 구축자인 전공자 그룹의 공간디자인욕구와 심미적 감상이 주목적인 비전공자 그룹의 작품 감상 욕구가 각 그룹이 지닌 고유한 시각적 평가구조에 각기 투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반면 이 같은 선호경향의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두 그룹 모두 전반적으로 단순하고 밝은 전시공간의 특성이 반영된 현대미술작품전시를 위주로 하는 미술관 전시공간의 이미지를 공통적으로 선호하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는 평면적 전시물이 중심이 되는 미술관 전시공간(본 연구의 범위)의 경우, 브라이언 오도허티(Brian O',Doherty)가 전시공간의 이상적인 상태라 명명한 ‘화이트 큐브’ 의 시대사적 의미와 건축이 작품의「배경」으로 존재해야 한다는 ‘여운의 미술관론’이 유효함을 의미한다하겠다. 따라서 작품에 대한 일반 관람객의 심미적 감상이 주 목적인 미술관 전시공간은 기본적으로 미니멀한 경향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전시공간에 대한 만족도 분석결과

전시공간에 대한 관람 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한 결과, 미술관과 내부 전시공간은 물론 그 안의 조명 및 채광과 안에 걸려 있는 작품과 같은 시지각적 요소에 대해서는 비교적 만족하고 있으나 관람순로와 내부 휴게시설 및 온습도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 같은 실제 관람객의 관람 만족도 경향은「공간」과「전시연출」과 같은 시지각 요소에 대한 평가에 상대적으로 주안점을 두고 있다고 앞서 언급한 선호도 결과를 감안한 때, 시각적으로 선호하고 주안점을 두는 평가항목에 대하여 보다 만족을 느끼는 경향이 존재한다고 판단된다. 즉, 선호도와 만족도 간에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결과로 관람객의 선호도를 기준으로 한 평가구조를 체계적으로 반영한 전시공간 연출을 통해 관람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하겠다.

일례로 ‘전시실의 밝기의 적정성’에 대하여 평균 만족도 이상으로 만족하고 있다는 2차 조사결과는, 미술관을 방문하는 관람객들은 밝은 환경을 선호한다는 1차 조사결과를 비추어 볼 때, 국내 미술관 전시공간의 빛 환경은 비교적 양호하게 구축되어있음을 의미한다 하겠다. 다만 천창을 채택한 전시공간을 상대적으로 선호한다는 1차 조사결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국내 미술관의 경우 이에 대한 활용이 미흡한 실정임을 감안해 볼 때, 작품의 장르의 특성과 보존 측면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천창을 활용하여 전반적인 전시공간의 빛 환경을 제고함으로써 관람 만족도 향상을 도모하는 계획방법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함께 관람순로와 기타(온습도, 휴게공간)에 대해 관람 만족도가 떨어지는 경향은 국내 미술관 관람객의 경우 심리적 요인(시각적 피로)보다 생리적인 요인(육체적 피로)에 상대적으로 만족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로 추후 이에 대한 선호경향을 파악하여 만족도를 제고하는 접근방법도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미술관 관람 만족도에 대한 총괄적인 평가지표로 선정된「작품에 대한 집중도」는 관람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전시공간의 평가구조에 있어 시지각적 인지심리가 가장 중요하게 작용하며, 이는 미술관의 관람 만족도를 가장 잘 대변할 수 있는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에 이를 기준으로 ‘작품과 전시방법에 대한 평가’, ‘전시실의 의장적 특징에 대한 평가’, ‘미술관 만족도에 대한 평가’, ‘작품의 밀도에 대한 평가’, ‘전시실의 물리적 특징에 대한 평가’, ‘관람동선에 대한 평가’, ‘작품 이해도에 대한 평가’, ‘휴게 및 온습도 환경에 대한 평가’의 순으로 평가요인들의 중요도 및 영향력의 위계가 존재함을 규명해냈다. 이는 관람객의 심리적 만족도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작품(전시물)’과 ‘전시실(전시공간)’에 주안점을 두고, 우선적으로 각 시지각적 평가요인과 가장 밀접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작품 수와 간 간격’, ‘전시실 공간과 벽의 크기’, ‘전시실 구성변화’와 같은 시지각적 요소의 특성에 대해 각각 구체적으로 파악·분석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이 같은 선호도와 만족도 분석결과에 근거로 전시물과 전시공간의 주요 시지각 요소에 대한 관람 만족도와 관람행태 간 상관성을 객관적이고도 실증적으로 규명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과 전시공간 계획지침을 도출하였다.

박물관과 미술관의 건축유형을 분류하는데 있어 대표적인 기준인 전시공간 구조와 규모가 유사함에도 불구하고 분석대상 미술관이 관별로 내포하고 있는 ‘전시물’과 ‘전시공간’의 물리량과 특성에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곧, 미술관의 전시수용 능력 및 전시성능은 전체규모 및 구조가 아닌 내부의 꾸밈에 의해 그 가치가 평가되어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이에 이러한 미술관별 작품과 전시공간의 주요 시지각 요소의 특성차이 및 변화추이가 관람객 관람 만족도와 관람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분석지표들을 비교·검토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전시공간이 전반적으로 단순하면서 전시실 전개순서에 따라 그 경향이 점층적으로 강해지는 양상이 존재하는 미술관의 관람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며 관람행태도 양호하게 유지되는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 심리평가와 관람행태를 모두 반영하는 ‘관람의 질적 만족도’를 기준으로 관람유형을 분류하고 이들의 차이를 비교분석한 결과, 상대적으로 전시공간의 물리적 특성이 단순할수록 관람 유형간 작품에 대한 집중도는 큰 차이가 나타나는 반면, 관람행태(유인력, 유지력)와 작품간 수와 간격에 대한 적정성과 느낌에 대한 만족도 및 인지는 비교적 유사하게 나타나는 일정한 규칙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곧 관람객의 시각적 인지경험과 관람행태 간에는 상당히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의미하는 동시에 이를 통해 관람객의 만족도와 관람행태를 일정부분 예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하겠다. 즉, 작품에 집중할 수 있는 시지각적 전시환경을 구축함으로써 관람의 질적 만족도를 제고하는 것은 관람객의 전반적인 관람행태를 양호하게 도모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바꿔서 말하면, 관람시간 경과에 따른 관람피로도(심리적·육체적)의 일반적 증가 추세를 최대한 감소시켜 유인력과 유지력과 같은 관람행태를 상대적으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초복후단(初複後單)’의 원칙이 반영된 전시물과 전시공간의 연출은 관람객의 심리적 경험의 질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같은 기본원칙은 평면전시물이 위주인 미술관 전시공간에서 관람동선패턴이 대부분 벽을 통해 유사하게 유도되는 경향이 존재한다는 본 연구결과와 관련 선행연구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해볼 때, 타 박물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다 유효한 계획적 지침 및 수단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앞으로 이 같이 미술관의 고유한 전시물과 전시공간의 구축 원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전시공간의 층간분리와 휴게공간의 적절한 배치 등의 추가적 조치를 통해 관람객의 동선을 적절히 단속(斷續)시킴으로써 심리적 피로(시각적 피로)와 생리적인 피로(육체적 피로)도를 감소시키고자하는 지속적이고도 다각적인 접근노력이 요구된다 하겠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관람객 측면에서 미술관 전시공간의 평가구조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관람 만족도와 관람행태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관람객 예측모형을 제시하여 이를 근거로 건축 및 전시계획 측면에서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는 지침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