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감사의 글

목차

국문요약 9

I. 서론 11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1

1) 문제제기 11

2) 연구목적 12

2. 연구방법 및 범위 15

1) 연구방법 15

2) 연구범위 18

3. 연구사 19

II. 웨슬리 신학과 변천 26

1. 존 웨슬리의 생애와 사상적 배경 26

1) 생애 26

2) 사상적 배경 29

2. 존 웨슬리의 신학사상 35

1) 삼위일체론 35

2) 구원론 48

3. 웨슬리 신학의 변천 67

1) 리차드 왓슨 시대 69

2) 존 마일리 시대 72

3) 알버트 누드슨 시대 75

III. 한국 감리교의 '교리적 선언' 78

1. '교리적 선언'의 시대적 배경 78

1) 한국 감리교의 전래 78

2) 선언의 배경 및 형성과정 86

2. '교리적 선언' 형성자들의 신학사상 92

1) 허벗 웰치의 신학사상 92

2) 양주삼(梁柱三)의 신학사상 96

3) 정경옥(鄭景玉)의 신학사상 107

3. '교리적 선언' (1930년) 122

IV. 웨슬리 신학과 '교리적 선언' 비교 124

1. 웨슬리 신학과 '교리적 선언' 129

1) 삼위일체론 129

2) 구원론 136

2. 부결된 항목 145

1) 부결과정 145

2) 한국 감리교에 미친 영향 146

3. 감리회 신앙고백(1997) 147

1) 선언의 배경 및 형성과정 147

2) '교리적 선언'과 '감리회 신앙고백' 비교 153

V. 결론 156

1. 요약 및 평가 156

2. 제언 161

참고문헌 163

부록 169

〈부록 1〉 영국 성공회 39개 신앙 조항(1556년) 169

〈부록 2〉 감리교회 종교의 강령(1784) 183

ABSTRACT 190

초록보기

본 논문은 복음적인 감리교 신앙의 중심인 웨슬리 신학이 한국 감리교에도 나타나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에서 연구하였다. 즉 한국 감리교인들의 신앙교리인 '교리적 선언' 이 한국 감리교회의 신앙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보면서, 교리적 선언의 신학적 문제점을 웨슬리의 신학사상과 비교 연구함으로 한국 감리교의 바람직한 신앙고백이 바르게 정립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 감리교회에서 표준으로 삼고 있는 『교리와 장정』 이라는 책의 '교리적 선언' 서문에 보면, 한국 감리교의 '교리적 선언' 은 작성 당시 웨슬리의 신학사상을 이어 받은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다. 한국 감리교는 웨슬리의 신학적 전통에 서있는 것을 영광으로 여기고 있는 것은 자명하다. 그러나 한편으로 웨슬리 신학이 한국 감리교의 전통이 되고 있지 못함을 살펴볼 수 있다.

웨슬리 신학이 미국 감리교회를 거쳐, 1930년대 한국 감리교의 '교리적 선언' 에 이르는 과정에 나타나는 분명한 것은 웨슬리의 신학적 입장이 변천되어 왔다는 사실이다. 현대 자유주의적 신학사상이 웨슬리의 신학을 재해석하고 대언하므로 낙관주의적으로 자유주의화 시켰다고 볼 수 있다. 웨슬리의 신학사상은 완전히 현대 신학사상과 현대의 사상적 조류에 묻혀서 변천되어 왔다.

웨슬리는 기독교의 기본적인 교리인 원죄, 선재적 은총, 칭의 등의 개념에서 구원론을 밝히고 있다. 그가 현재적 구원을 강조했어도 성화와 그리스도인의 완전으로 연결시켜 하나님의 주권과 역동성을 유지하고, 긴장관계를 지탱했다.

그런데 웨슬리 신학이 미국으로 건너가면서 그 당시 이성과 과학과 도덕을 강조하던 흐름의 영향을 받아 그 신학은 점차 역동적 긴장관계를 상실해 갔다. 한국 감리교는 신학적 부재였던 상황에서 시대적 흐름에 따른 미국 감리교의 웨슬리 신학적 입장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한국 감리교에서도 미국과 똑같은 웨슬리 신학의 변천을 가져 왔다.

'교리적 선언' 을 기초했던 웰치와 양주삼의 글에서 마일리의 신학적 입장과 누드슨의 신학적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한국 감리교 최초의 조직신학자라 할 수 있는 정경옥도 미국에서 공부할 때 리츨의 영향을 절대적으로 받았다. 그러므로 한국 감리교의 신학적인 경향은 리츨이 강조했던 도덕주의나 이성, 그리고 인격주의 등의 경향이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신학사상을 가진 신학자들에 의하여 기초된 '교리적 선언' 은 웨슬리의 신학적 입장이 나타났기보다는 당연히 리츨의 도덕, 이성 그리고 인격주의가 크게 강조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 '교리적 선언' 에는 웨슬리가 강조한 신학적 입장인 칭의, 선재은총, 죄, 보혈의 속죄 등의 교리가 전부 리츨의 도덕주의로 재해석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웨슬리가 주장했던 웨슬리의 구원론적 복음주의가 와해되고 인류학적인 의미로 변천되었다. 이것은 하나님의 주권이 인간의 주권으로 바뀐 자유주의 신학적인 모습이라고 볼 수 있다.

특기할 사실은 지금의 한국 감리교는 1930년대의 자유주의 신학적 경향을 극복하고 웨슬리에게로 돌아가려는 움직임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한국 감리교가 웨슬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웨슬리 신학에 대한 연구서와 번역서가 많이 나오는 것이 이것을 반증한다.

이제 남은 문제는 하루속히 한국 감리교회가 변천되어진 웨슬리의 신학사상을 재발견하여 바로 이해함으로, 웨슬리의 신학적 전통으로 돌아가, 영광스러운 소유가 되도록 확인하는 일이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 감리교에서 웨슬리 신학이 재해석되고 올바르게 정착되는데 일익을 담당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참고문헌 (10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기독교대한감리회. 『교리와 장정(1997년판)』.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1998. 미소장
2 『현대의 신학사상』. 서울: 기독교서회, 1975. 미소장
3 『존 웨슬리와 현대목회』.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출판부, 1993. 미소장
4 『정경옥』. 서울: 살림출판사, 2008. 미소장
5 『웨슬리의 실천신학』. 서울: 도서출판 진흥, 2000. 미소장
6 『웨슬리와 사랑의 혁명』. 서울: 도서출판 감 신, 2003. 미소장
7 『웨슬리의 실천신학』. 서울: 도서출판 kmc, 2004. 미소장
8 『웨슬리와 우리의 교리』.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출판부, 2005. 미소장
9 『존 웨슬리의 생애』. 서울: 도서출판 kmc, 2006. 미소장
10 『감리교회사』. 서울: 도서출판 kmc, 2003. 미소장
11 『존 웨슬리의 구원론』. 서울: 성서연구사, 1996. 미소장
12 『존 웨슬리신학의 재발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4. 미소장
13 『존 웨슬리의 경제윤리』.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1. 미소장
14 『구원의 완성을 향한 순례』. 서울: 도서출판 kmc, 2008. 미소장
15 『존 웨슬리의 역사신학적 조명』.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출판부, 1995. 미소장
16 『한국 감리교회사』. 서울: 기감총리원교육국, 1975. 미소장
17 『한국기독교회사』. 서울: 기독교서회, 1976. 미소장
18 『한국개신교회사』. 서울: 연세대학출판부, 1973. 미소장
19 『웨슬레신학과 구원론』.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75. 미소장
20 『웨슬레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7. 미소장
21 『한국신학의 광맥』. 서울: 다산글방, 2003. 미소장
22 『감리교리와 장정』. 서울: 기감총리원, 1953. 미소장
23 『백사당 양주삼 박사 소전』. ‘경천애인문고, 제2권’, 서울: 경천애인사, 1956. 미소장
24 『양주삼총리사 저작전집』(전 5권). 서울: 한국감리교회사학회, 1991. 미소장
25 『정동제일교회 구십년사』. 서울: 기감정동제일교회, 1977. 미소장
26 웨슬리복음주의협의회. 『웨슬리 복음주의 총서』. 제1집, 서울: 도서출판 광림, 1992. 미소장
27 웨슬리 사업회. 『존 웨슬리 총서』. (전 10권), 서울: 유니온 출판사, 1983. 미소장
28 『기독교조선감리교 제1회 총회록』. 서울: 총리원교육국, 1931. 미소장
29 『감리교와 신학대학사』. 서울: 한국교육도서출판사, 1977, 미소장
30 『한국 신앙저작집』. 서울: 혜문사, 1970. 미소장
31 『웨슬리 신학』. 서울: 성광문화사, 1987. 미소장
32 『감리교 교리』. 서울: 신생사, 1966. 미소장
33 『한국초기 교회사』. 서울: 기독교서회, 1970. 미소장
34 『세계감리교 신앙과 현황』. ‘비둘기문고, 제2권’,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총리원교육국, 1972. 미소장
35 『기독교신학개론』. 서울: 감리교회신학교, 1939. 미소장
36 『기독교의 원리』. 서울: 도서출판 kmc, 2005. 미소장
37 정경옥저작전집편집위원회(편). 『정경옥 저작전집』(전 4권).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출판부, 2005. 미소장
38 『웨슬리신학 연구』. 경기: 서울신학대학출판부, 1977. 미소장
39 『웨슬리신학강의 개요』. 경기: 서울신학대학출판부, 1978. 미소장
40 『요한 웨슬레의 신학』.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91. 미소장
41 한국감리교회사학회. 『한국감리교회를 만든 사람들』.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본부교육국, 1987. 미소장
42 한국웨슬리신학회. 『웨슬리와 감리교신학』.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출판부, 1999. 미소장
43 『웨슬리의 조직신학』. 서울: 성광문화사, 1996. 미소장
44 협성신학연구소. 『웨슬리 신학과 오늘의 교회』.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1997. 미소장
45 『존 웨슬리』. 서울: 도서출판 세북, 2003. 미소장
46 『우리가 고백하는 신앙』. ‘기독교교양서선, 제8권’. 서울: 한국기독교 문화원, 1977. 미소장
47 『존 웨슬리의 생애와 사상』.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교육국, 1993. 미소장
48 『감리교회 형성사』. 서울: 도서출판 감 신,1998. 미소장
49 『현대 웨슬리 신학 Ⅰ』.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8. 미소장
50 『현대 웨슬리 신학 Ⅱ』.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9. 미소장
51 『존 웨슬레의 재발견』. 서울: 대한기독교출판사, 1982. 미소장
52 『은총과 책임』.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1997. 미소장
53 『존 웨슬리의 완전론』. 서울: 도서출판 은성,1989. 미소장
54 『웨슬리의 윤리사상』. 서울: 전망사, 1987. 미소장
55 『감리교회 신학』. 서울: 도서출판 kmc, 2007. 미소장
56 『웨슬레와 성화』.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교육국, 1984. 미소장
57 『웨슬리 신학 다시보기』.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2000. 미소장
58 『웨슬레 신학의 본질』.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1990. 미소장
59 『웨슬리 설교 해설』.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5. 미소장
60 『존 웨슬리와 감리교의 부흥』.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출판부, 2001. 미소장
61 『존 웨슬리의 성령신학』. 서울: 도서출판은성, 1998. 미소장
62 『현대인을 위한 존 웨슬리의 메시지』. 서울: 도서출판 세복, 1998. 미소장
63 『감리교인은 무엇을 믿는가』. ‘비둘기문고,제7권’,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총리원교육국, 1977. 미소장
64 『새로운 창조』.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 홍보출판국, 1999. 미소장
65 『존 웨슬리의 신학과 유산』.서울: 도서 출판 진흥, 2005. 미소장
66 『존 웨슬리의 신학』. 서울: 전망사, 1983. 미소장
67 『웨슬레신학과 칼빈신학의 비교』. 서울: 보이스사, 1998. 미소장
68 (ed.). A compend of Wesley's Theology. Nashville: Abingdon Press, 1954. 미소장
69 The Theology of John Wesley. Nashville: Abingdon Press, 1946. 미소장
70 The Rediscovery of John Wesley. New York: Henry Holt & Company, 1935. 미소장
71 Theological Transition in American Methodism : 1970~1935. New York: Abingdon Press. 1965. 미소장
72 The Beginnings of American Methodism. Nashville: Abingdon Press, 1961. 미소장
73 The Methodist Heritage. London: Epworth Press, 1951. 미소장
74 Wesley and Sanctification. London: Epworth Press, 1946. 미소장
75 (ed.). The Letters of the Reverend John Wesley(8Vols.). London: Epworth Press, 1970. 미소장
76 Explanatory Notes Upon the New Testament. London: Epworth Press, 1951. 미소장
77 A Plain Account of Christian Perfection. London: Epworth Press, 1970. 미소장
78 John Wesley a Concept of Perfection. Beacon: Hill Press, 1964. 미소장
79 The Office of Bishop in Methodism. New York: Abingdon Press, 1964. 미소장
80 The Work of the Holy Spirit. New York: Abingdon Press, 1962. 미소장
81 (ed.). Doctrines and Discipline of the Methodist Church. Nashville: The Methodist Publishing House, 1964. 미소장
82 (ed.). Standard Sermons of John Wesley(2Vols.). London: Epworth Press, 1951. 미소장
83 (ed.). The Works of John Wesley(14Vols.). Grand Rapids: Zondervan Publishing House, 1872. 미소장
84 John Wesley's Theology Today. Nashville: Abingdon Press, 1960. 미소장
85 기독교대한감리회본부. 『제1차 총회 실행부위원회 회의 자료집』.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본부, 1992. 미소장
86 기독교대한감리회본부. 『제21회 총회 입법의회 회의록』.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본부, 1995. 미소장
87 기독교대한감리회본부. 『제22회 행정총회 결의에 의한 입법총회 회의록』.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본부, 1997. 미소장
88 기독교대한감리회본부 감독회. 『제20회 총회회의록』.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본부, 1993. 미소장
89 기독교대한감리회본부 감독회. 『제21회 총회회의록』.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본부, 1995. 미소장
90 기독교대한감리회본부 감독회. 『제23회 총회회의록』. 서울: 기독교대한감리회본부, 1999. 미소장
91 “웨슬리와 한국감리교회”. 『기독교 사상』, 1978. 10. 미소장
92 한국 감리교회 신앙과 신학 원리에 대하여 : 1930년 <교리적 선언>과 정경옥의 <<基督敎의 原理>>를 중심으로 소장
93 “기독교 신앙과 현대과학”. 『신학세계』, 1923. 2. 미소장
94 “기독교 신앙과 현대과학”. 『신학세계』, 1923. 8. 미소장
95 “오순절 연구”. 『신학세계』, 1930. 5. 미소장
96 “미감리교회 백오십주년 기념에 제하야”. 『신학세계』, 1934. 6. 미소장
97 “구속의 경험론적 비판”. 『신학세계』, 1934. 4. 미소장
98 “기독교 성신론”. 『신학세계』, 1934. 3. 미소장
99 “기독교의 영생론”. 『신학세계』, 1934. 4. 미소장
100 “기독교의 6대경이”. 『신학세계』, 1936. 4. 미소장
101 “나의 신조”. 『신학세계』, 1932. 3. 미소장
102 “종교와 도덕”. 『신학세계』, 1926. 2. 미소장
103 “기독교 대한감리회의 교리적 선언과 한국교회”. 『기독교사상』, 1981. 1. 미소장